< 현재 기사화 된 주요내용들. >
1. 현역 68만(육군55만),예비군304만 -> 현역 50만(육군37만),예비군150만.
2. 10개군단은 4개를 없애 전방 6개군단으로 줄이고, 47개사단은 20여개를 없앤다.
3. 1군+3군 = 지상전작전사령부-6개군단, 2군 = 후방작전사령부
4. 전방군단 7개 중 3개를 해체하는 대신 기동군단 1개를 창설
5. 향토사단을 각 도에 1개씩 배치하고 후방작전사령부로 예속.
6. 동해안 지역을 담당 할 지역 경비여단을 창설하여 동해안 지역 전방사단과 임무교대
7. 해안 경비를 군에서 경찰로 임무대체
그럼 이 7가지 기사내용을 토대로 한번 배치를 예상해보겠다.
동원사단의 해체. 60~76사단은 해체된다. 평시에는 해체되나 전시엔 재구성된다.
제2야전군사령부를 제주를 제외한 각 도의 1개, 8개의 사단을 거느린 '후방작전사령부' 로 개편한다.
2군소속의 9군단,11군단은 해체된다.
경남,경북,전남,전북,충남,충북,강원,경기 각각 향토사단이 1개씩 존재한다고 봤을 때..
기존의 향토사단은 31~57 사단(13개사단) 부산53사와 창원39사 는 통폐합하고 작전지역은 경남 전체로 확대.
3군의 수도군단(수도권 경기 남부)의 17사,51사,55사 통폐합 및 수도군단 해체.
후방작전사령부에 예속되는 사단의 전투력을 향상시켜, 도 지역 전체를 효과적으로 방어.
이른바, 미국의 주방위군 개념하고도 비슷한 도방위군의 개념인 것이다.
후방작전사령부 - 8개의 사단. 도방위군 개념.
31사단-> 전남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35사단-> 전북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32사단-> 충남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37사단-> 충북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39사단+53사단 -> 경남지역 1개 사단으로 재편성
50사단-> 경북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36사단-> 강원지역 사단으로 재편성
17사단+51사단+55사단-> 경기지역 1개 사단으로 재편성
서울 지역의 방어를 맡은..
수도방위사령부는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그대로 유지되는 걸로 보인다. 52사,56사,57사 를 통폐합해 서울지역에 1개의 사단으로 한다.
1군과 3군을 통합해 지상전작전사령부를 신설하고 휘하에 6개군단을 둔다.
전방 7개 중 3개를 해체하고, 기동군단을 신설. 전방의 7개 군단이란, 1,2,3,5,6,8,수도군단 을 의미한다.
이 중 수도군단은 이미 해체, 8군단(동해안)과 6군단의 해체를 의미한다.
이 중 새로운 기동군단의 창설이란 6군단을 6기동군단으로 탄생시킴을 의미한다.
지상전작전사령부 하의 6개군단은 1군단,2군단,3군단,5군단,6기동군단,7기동군단으로 한다.
이로써 서부전선의 1군단-5군단 방어선과 동부전선의 2군단-3군단 방어선이 형성된다.
전방 방어선 1군단-5군단-2군단-3군단
그리고 2개의 기계화된 기동군단(6,7기동군단). 기동군단은 2개의 기계화사단으로 이루어진다.
전방의 상비사단으로 이루어진 군단은 2개의 전투사단과 1개의 예비사단으로 이루어진다.
1군단
1사단 [전투]
5사단 [전투] (6군단 ->1군단)
9사단 [예비]
2기갑여단
2군단
15사단 [전투]
7사단 [전투]
27사단 [예비]
3기갑여단
3군단
21사단 [전투]
12사단 [전투]
2사단 [예비]
6기갑여단 (현재 102여단이 기갑여단으로 개편중)
5군단
6사단 [전투]
3사단 [전투]
8기계화사단 [예비] (현재 기계화 개편중)
1기갑여단
6기동군단 - 경기북부 지역에서 서부평지전선의 기갑세력으로 예비.
26기계화사단
30기계화사단 (원래 1군단, 한 때 90년중반쯤에도 6기동군단 창설시 6군단소속이 되었음)
5기갑여단
7기동군단 - 경기남부 후방지역에서 북진 기갑세력로써 예비.
수도기계화사단
20기계화사단
7기갑여단 (신설)
11기계화사단 - 현재 1군사령부 직할로써 동부산악전선의 예비 기갑부대이다.
지작사 직할 기갑부대로 남아 기갑세력이 미약한 동부전선을 지원할 듯 하다.
GOP방어선 예상..
해병2사단-101여단-1사단-5사단-6사단-3사단-15사단-7사단-21사단-12사단-동해경비여단(신설)
위 처럼 진행될 수 있다.
1,25 통합,5,28 통합,동해8군단(22,23)해체.
고양-양주일대 기존의 1군단 30기계화사단과 기존의 6군단 26기계화사단을 합쳐
새로운 6기동군단의 창설.. 그 외 기존의 1군단과 6군단의 통폐합.
즉, GOP사단의 통폐합 후에.. 전투사단으로 1군단을 만들고, 기계화사단으로 기동군단 만듬.
국방개혁 후에 육군은 6개의 기계화사단과 6개의 기갑여단을 가지게 되는데..
현재 8사단이 기계화개편 중에 있으며, 8군단의 102여단은 기갑여단으로 개편 중이다.
해안경비를 군에서 경찰로 바꾸었으므로 동해안경비를 맡고 있던 102여단이
경비할 필요가 없어져 현재 기갑여단으로 개편중이다.
이건 해군의 작전지역확대 또는 능력향상에 따른 걸로 보인다.
바다에서 부터 해안가 침투를 막는 개념으로 보인다.
그리고 K1A1 및 K2 가 생산되어 전차의 수가 늘어나면 1개의 기갑여단이 더 신설된다.
신설된 6기동군단의 경우 적 기계화군단의 침입이 용이한 평지의 1군단의 뒤를 받치게 된다.
각 군단사령부는 1개의 독립된 기갑여단을 직할로 운용하게 되며,
지상전작전사령부는 1개의 기계화사단을 직할로 운용한다.
5군단의 경우 철원평야를 방어하므로 예비인 8사단은 기계화를 시킨다.
나머지 전방군단의 예비사단은 차기보병전투차의 생산이 시작되고, 교체 후의 K200장갑차와
차기차륜장갑차의 개발 후 생산되는 차기차륜장갑차로 차량화한다.
이후에 K2 의 생산이 늘어나면 기동군단의 교체 후의 K1개량전차로 기계화한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집 불린 日해상보안청 ‘제4의 軍’ (0) | 2022.12.19 |
---|---|
현재의 한국육군 편제와 보유전차와 중화기편제 2009 (0) | 2022.12.19 |
한국공군의 비행단 (0) | 2022.12.19 |
북한의 방첩, 간첩, 보안부서 (0) | 2022.12.19 |
일본 육상자위대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