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저공침투기(AN-2)의 핵무기 탑재 관련
○ AN-2기는 북한 특수군 및 대량살상무기를 운송하기 매우 좋은 운송 수단임
○ AN-2기는 30mX250m의 공간만 주어지면 이착륙 가능
○ 북핵탄두 소형화 (미 DIA 보고: 650~750kg) 시 핵탄두 탑재 가능
□ 현황
○ 북한은 세계에서 최대, 최강의 특수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군사강국. 북한은 주한미군과 남한군의 군사기지를 기습 공격하여 파괴하기 위한 12만명 이상의 고도로 훈련된 특수전 병력을 보유하고 있음
○ 북한은 경보병여단, 저격여단, 공군저격여단, 해상저격여단, 항공육전여단 등 특수전 여단 25개를 보유하고 있음
※ 북한 특수군의 운송하기 가장 좋은 운송 수단이 AN-2기임.
○ 북한 AN-2기는 수도권내 산재한 100여곳의 골프장 어디에도 이착륙이 가능한 실정임.
※ 현재 전국적으로 골프장은 총 231개 이며 서울 경기 인천등 수도권에 약 절반에 달하는 106개의 골프장이 집중해 있으며 게다가 현재 경기지역에 추가적으로 10여곳이 건설중에 있음.
○ 또한 AN-2기가 비행중에는 바퀴가 들어가지 않는 SPLIT-AXLE TYPE(분리축형)으로 설계되어 있고, 공기와 오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짧은 활주거리에도 착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 북한의 AN-2기가 골프장에 착륙을 시도하는 가장 큰 이유
-골프장은 양쪽에 숲이나 나무로 우거져 있는 AN-2기의 착륙이 용이.
-골프장은 우리군의 관측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지역임.
-착륙 후 특수병력을 신속하게 은신지로 배치하여 생존성이 보장됨.
-현재 골프장의 경우 수도권에 집중해 있어 수도권이 침투가 용이.
□ AN-2기의 개발배경
○ AN-2기는 구소련의 ANTONOV BYREV 설계국에서 1940년 초부터 설계 제작하여 1947년 8월 최초로 시험비행을 실시하였으며 1948년부터 양산체제를 갖추고 대량 생산을 하여 배치하여 왔음.
○ 구소련은 1957년 중국에 생산 먼허권을 인계하여 중국에서도 AN-2기를 생산하였으며 동 항공기는 Y-5(YUN SHUJI-5)로 명명하였고 폴란드도 1960년에 구소련으로부터 생산 면허권을 인수받아 현재까지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AN-2기는 모두 17회의 설계변경 및 시험비행 등으로 여러 기능 및 용도에 적합하도록 개조 생산되고 있으며, 동항공기는 구소련, 중국, 폴란드에서 운용하고 있고 현재까지 생산된 항공기는 약 9,000여대
□ 주요 제원 및 성능 - 첨부파일
□ 주요특성 및 성능개량
○ AN-2 동체는 실내 공간을 넓게 하기 위해 SEMI-MONOCOQUE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기골과 표피는 합금의 금속으로 제작되었고, 상하날개는 레이더 파를 흡수하는 도료로 피복된 특수천으로 제작됨.
○ 또한 동체내에는 승객과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으며 출입문 2개를 갖고 있음. AN-2의 조종석은 기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화재에 대비하여 유리섬유로된 방화벽을 쌓여져 있으며, 조종석 형태는 복좌(SIDE BY SIDE)로 되어 있음.
○ 주날개(MAIN WING)는 동체 전방에 상하익으로된 복엽날개로 되어있으며, 상하의 간에는 지지대(STRUT 및 BRACING WIRE)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약간의 상반각을 가지고 있음.
○ 주익의 재질은 직물로 씌어져 있고 레이다 반사파를 흡수하는 도료가 칠해져 있고, 또한 미익에도 동체 후미에 타원형의 날개로 제작되어 직물로 씌어져 있으며, 그 위에 레이다 반사파를 흡수하는 도료가 칠해져 있음.
○ 항공기 임무에 따라 부주(PON TOON)를 장착하거나 눈에서도 착륙할 수 있는 SKI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조하였다는 첩보가 있으나 SKI 관련 내용은 미확인 되고 있음.
□ 북한 AN-2기의 위험성 문제
○ 북한의 AN-2기는 레이더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한반도의 동부산악지형에서 전술적 가치를 발휘하게 됨.
○ AN-2기가 특수전 병력 10명을 싣고 시속 1백60km의 속도로 한반도동부의 산악지대를 초저공으로 비행하면서 주한미군과 남한 군의 방공레이더망을 피할 수 있음.
○ 북한군은 AN-2기를 자체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미 300여대를 실전에 배치하고 있으며 특수선 병력 10-15명을 싣고 초저공으로 침투비행을 할 수 있음
○ 특히, 북한 AN-2기의 경우 저공 침투로 레이더에 미 탐지되며 착륙 및 이륙거리가 짧아 (활주거리 약 250미터면 가능) 남한내 골프장의 어디든지 착륙이 가능하며 우리의 비대칭 전력인 핵무기 및 생·화학무기의 투발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음.
□ 북한군의 AN-2기에 핵폭탄 소형화시에 탑재 가능성 판단
○ 미 DIA는 북한의 핵탄두가 650~750kg 정도 될 수 있다 언급 (2005. 5. 10)
● 자코비 DIA국장은 05년 상원 청문회에서 북한의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 가능하다고 본다고 언급한 바 있음
● AN-2기의 탑재량은 1,022kg ~ 1,522kg이기에 북한이 핵무기를 약 1,5ton으로 소형화 시켰을 경우 탑재가 가능함
● 05년 4월 윤장관은 북한이 핵무기 운반체로 IL-28 폭격기를 사용할 것이라 함 - IL-28에 적재 시 폭탄의 무게는 3.5톤을 넘어서는 안됨
- 북한이 보유한 핵무기는 약 4톤이 넘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
□ 북한군의 AN-2기에 핵폭탄을 탑재하려는 사유
○ IL-28은 느린 속도로 인해 아측 방공망에 쉽게 포착
○ AN-2기는 레이다를 피할 수 있고 저공 침투가 가능해 손쉽게 침투 가능
○ AN-2기는 또한 화학작용제 살포 가능
출처: 송영선의원 홈페이지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군 예하부대 편제 (0) | 2022.12.20 |
---|---|
북한, 22척~26척의 위스키급 잠수함은 특공용으로 쓰일것 (0) | 2022.12.20 |
북한군의 전자전/ 사이버전 능력 (0) | 2022.12.20 |
중국 양안 군사력 비교 (0) | 2022.12.20 |
육군부대 구조 정리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