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북한의 핵 공격에 대비해 핵폭발 시 발생하는 '전자기 펄스(EM P·electro magnetic pulse wave)' 방호 시스템을 내년부터 주요 국가 전략시설에 도입할 방침인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군 당국은 또 북핵 도발 움직임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정찰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호크 등 장거리 고고도 무인정찰항공기(UAV)도 일정을 앞당겨 내년부터 도입하고, 백두(통신감청) 정찰기 도입 사업에도 100억여원을 추가 투입하는 등 핵 대응 전력 수준을 한층 높일 방침이다. 지하 30m까지 관통해 북한 지하 핵시설이나 지휘시설을 공격하는 데 위력을 발휘하는 지하시설 파괴폭탄 GBU-28(일명 벙커 버스터) 사업에도 640억원을 투입, 당초 2014년까지 도입하려던 것을 4년 앞당겨 내년까지 도입을 끝내기로 했다.
국방부는 이날 한나라당 '북핵·도발 대책특위' 4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북핵대비 전력 강화 대책을 보고했다고 복수의 특위 관계자가 전했다. 국방부는 회의에서 북한이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핵 도발 수위를 한층 높인 최근 위협 상황을 감안해 청와대 등 주요 국가 전략시설에 EMP 피해를 막기 위한 방호시설을 설치키로 하고, 시설 설계예산 60억원을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방침이라고 보고했다. EMP는 핵폭발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마이크로 칩·반도체·회로망 등 전기가 들어가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를 파괴해 전력(戰力)을 무력화시킨다.
![](https://blog.kakaocdn.net/dn/bu9nsZ/btrUgewYFFU/KkR0nuw4knryk7JS16bf5k/img.jpg)
국방부는 또 당초 2011년부터 도입하려던 글로벌호크 등 고고도 UAV 도입 사업도 내년부터 착수키로 하고, 내년도 예산에 80억원을 우선 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현재 도입돼 운영 중인 금강(영상)·백두(통신감청) 정찰기 운용과 관련해 내년 예산에 100억여원을 추가로 투입, 백두산 권역까지 음성신호를 감청할 수 있는 백두 정찰기의 장비를 보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탄도유도탄 조기경보레이더 사업에 2695억원, GPS 유도폭탄(JDAM) 사업에 841억원, 레이저유도폭탄(GBU-24) 사업에 712억여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 특위 관계자는 "핵 도발과 관련한 연관 무기체계까지 포함하면 우리 군 당국의 북핵대비 전력강화 예산은 총 2조원 규모로 집계됐다"며 "감시·정찰 능력과 방호시설 확충 외에도 중거리탄도미사일 도입 규모를 늘리고 시기를 앞당기는 등 타격 능력 강화도 군 당국이 추진 중"이라고 했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北핵.미사일.장사정포 타격시나리오 (2009) (0) | 2022.12.23 |
---|---|
손자병법;제7편 군쟁[05]- 군기와 통제 (1) | 2022.12.22 |
세계-특수부대-현황-Special-Forces-Listings 4 (0) | 2022.12.22 |
세계-특수부대-현황-Special-Forces-Listings 3 (0) | 2022.12.22 |
세계-특수부대-현황-Special-Forces-Listings 2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