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병대 무기

해병대 연안방어 시스템, RB-17 도입 검토 (2009)

by 충실한 해병 2022. 12. 24.

*** 헬파이어 연안방어 시스템 (HSDS :Hellfire Shore Defense System) , RB-17 해병대 도입 검토

지난, 2006년 디펜스 아시아에서 스웨덴 사브사에서 소개된 RB-17은 각군이 관심을 보였으나, 해병대가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고 합니다. 해병대는 현재 106mm 와 90mm 해안포를 해안방어 대함무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헬파이어 연안방어 시스템 (HSDS)은 북한의 공기부양정 등 고속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적을 저지하기 적합한 무기체계입니다. 그러나 헬파이어 미사일의 획득 자체가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현재 유도무기가 발달하고 있는 한국군에서도 휴대용 대함무기 체계도 개발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라이센스를 취득해서 개발할 수도 있지 않을런지.. 대함과 대공, 대전차가 연동 호환될 수 있는 체계면 더욱 좋지 않을 까요? 그럼 해안이 인접한 국가들에도 잘 팔릴 수 있을텐데... 그냥 혼자 상상해 봅니다.

*** 헬파이어 연안방어 시스템 (HSDS : Hellfire Shore Defense System)
헬파이어 연안방어 시스템(HSDS : Hellfire Shore Defense System)이란 헬파이어 미사일을 대함 미사일로 이용하여 구축하는 연안방어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HSDS의 실현으로 개발된, 휴대용 헬파이어 미사일 대함 유도무기가 RB-17입니다. (HSDS = RB-17)
RB-17은 현재, 해안 지형이 복잡한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RB-17 (HSDS)은 10여년 전에 개발이 완료되어 운용중인 무기체계로서 지상에서 보병의 도수운반, 차량에 의해 발사가 가능한 간편한 대함무기 체계입니다. (이동과 설치가 간편한 휴대용 대함 무기체계)
지상에서 보병의 발사대 방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발사준비까지 5분, 발사 후 철수까지 5분의 시간 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시스템이 간편하며, 헌터-킬러방식에 의하여 관측자가 미사일 명중 5초전까지 목표에 대해 레이저 조사를 하기만 하면 미사일 사수는 목표를 보지 못한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미사일을 발사 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입니다. 최대사거리 8km이며 발사대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무게가 가볍고 해수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펜스 타임즈, 2006년 11월호 발췌)

*** RB(Robot)-17
RB-17은 휴대용 대함 유도무기입니다.
각 부분을 쉽게 분해하여 이동과 설치를 합니다. 설치와 이동이 자유로워 차량 발사, 소형 함정내 발사, 지상설치 발사등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통상 숙달된 대원들은 3분 안에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Rb-17은 발사체(킬러부분)과 조준체(헌터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사체는 대함용으로 개량된 헬파이어 미사일과 거취포가(砲架), 발사 콘트롤 등으로 구성됩니다.
조준체는 미사일을 레이져 빔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분과 야시부분(night sight)이 일체화되어 있습니다.

-속도/거리
최대속도 : 40 m/s (1,3 mach)
최대 발사거리 : 약 8 km

-발사체
헬파이어 미사일 (개량된 헬파이어 미사일을 스웨덴에서 ROBOT으로 부름) : 중량 48kg. 탄두부분 등이 대함용으로 개량되어 있음
미사일 케이스 : 중량 23kg. 헬파이어 미사일을 담는 용기
발사 콘트롤 : 12.79kg
상부 포가 (砲架) : 중량 26kg. U자형태의 미사일 거취부분 (거취, 지지 포가는 상부와 하부로 분해가 됨)
하부 포가 (砲架) : 중량 22kg. 삼발이 형태의 지지부분 (거취, 지지 포가는 상부와 하부로 분해가 됨)
케이블 롤러(Cable Roller ) : 8.52 kg
밧데리 (Battery) : 10.8 kg

-조준체
조준체는 유도부분과 야시부분의 두 분이 일체화되어 있습니다. (두분이 일체화 되어있으나 분해하여 이동이 가능함)
조준체 : 총 중량은 21kg (유도부분, 야시부분, 삼발 형태의 거취대 포함)
유도부분 : 11kg
야시부분 : 7.3kg
밧데리 (Battery) : 10.8 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