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보도 일시 | 본회의 의결 직후 | 배포 일시 | 2022.12.23.(금) |
담당 부서 (국방부) |
기획조정실 | 책임자 | 과 장 | 김종덕 | (02-748-5330) |
인력운영예산담당관 | 담당자 | 서기관 | 김다영 | (02-748-5331) | |
담당 부서 (방위사업청) |
기획조정관 | 책임자 | 과 장 | 정범승 | (02-2079-6710) |
재정담당관 | 담당자 | 중 령 | 이민휴 | (02-2079-6711) |
2023년 국방예산, 전년 대비 4.4% 증가한 57.0조원으로 확정 -F-X 2차 등 한국형 3축체계 신규사업 추가 반영- |
□ 2023년도 국방예산이 12.23.(금) 국회 의결을 거쳐 전년 대비 4.4% 증가한 57조 143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정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장병 복무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2023년 국방예산을 57조 1,268억원으로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한 바 있으며,
◦ 국회 심의 과정에서 집행부진 사업 등 2,093억원이 감액되었으나, 968억원이 증액되어 57조 143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단위 : 억원)
구 분 | ’22 예산 | ’23 정부안 | 국회조정 | ’23 확정 | |||||
증가율 | 증액 | 감액 | 증가율 | ||||||
국방예산 | 54조 6,112 | 57조 1,268 | 4.6% | △1,125 | 968 | △2,093 | 57조 143 | 4.4% | |
전력운영비 | 37조 9,195 | 40조 1,089 | 5.8% | △115 | 314 | △429 | 40조 974 | 5.7% | |
방위력개선비 | 16조 6,917 | 17조 179 | 2.0% | △1,010 | 654 | △1,664 | 16조 9,169 | 1.3% |
□ 정부와 국회는 최근 북한의 빈번한 군사적 도발로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상황에서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핵심전력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는 데 뜻을 같이하고, 2023년 신규 추진이 필요한 한국형 3축체계 등 6개 사업 예산을 추가 반영하였습니다.
◦ 또한, 따뜻한 병영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기조에도 여야가 모두 공감하며 장병들에게 더욱 질 좋은 음식과 편안한 주거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 정부와 국회는 어려운 재정여건에도 불구하고 국방예산에 재원을 중점 배분하였으며, 정부 총지출 증가율을 8.9%에서 5.2%로 대폭 감축하는 상황에서도 국방예산 증가율을 3.4%에서 4.4%로 확대 편성하였습니다.
[ 정부예산 및 국방예산 증가율 추이(본예산 기준) ]
![](https://blog.kakaocdn.net/dn/yrPet/btrUAbgcU3f/RQbNkJ9LMlaGapnylMkRn0/img.png)
□ 군사력 건설을 위한 방위력개선비는 2022년 대비 1.3% 증가한
16조 9,169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국회 심의 과정에서 일부 사업지연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부안 대비 1,664억원을 감액하였으며, 감액재원은 ①F-X 2차(188억원), ②철매-Ⅱ 성능개량 2차(278억원), ③장거리함대공유도탄(9억원), ④전술지대지유도무기-Ⅱ(127억원), ⑤대형공격헬기2차(10억원), ⑥K9A2 성능개량(25억원) 포함 6개 신규사업 등에 654억원을 재투자하였습니다.
◦ 우리 군은 F-X 2차 및 전술지대지유도무기-Ⅱ 사업을 통해 북한 핵·미사일 관련 핵심표적에 대한 타격능력을 향상시키고, 철매-Ⅱ 성능개량 2차 및 장거리함대공유도탄 사업을 통해 탄도미사일 요격능력을 보강하는 등 북한 핵·미사일 대응능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장거리함대공유도탄(SM-6급)> | <대형공격헬기 2차> | |
이지스 구축함(KDX-Ⅲ)에 탑재하여 적 탄도탄 위협을 종말단계에서 대응하기 위한 장거리함대공유도탄 (SM-6급)을 확보하는 사업 |
기동사단의 공중화력 지원 등을 위해 대형공격헬기를 국외구매로 확보하는 사업 |
◦ 주요 감액사업은 대형기동헬기-Ⅱ(△175억원), 근거리정찰드론
(△140억원) 등으로, 사업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연부액을 일부 조정한 것이며 2023년 정상적인 사업추진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 군사력 운영을 위한 전력운영비는 2022년 대비 5.7% 증가한
40조 974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국회 심의 과정에서 집행부진 사업 등 정부안 대비 429억원을 감액
하였으며, 장병들의 복무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 등에 314억원을 재투자하였습니다.
◦ 특히, 정부와 국회는 장병들에게 질 좋은 음식을 제공하고 군과 지역사회의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상생 장병특식’ 사업을 신설하였습니다. ‘지역상생 장병특식’은 월 1회 군 주둔 지역 식당 등과 연계하여 장병들에게 1인당 13,000원 상당의 맛있는 한 끼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이는 장병들의 외식 요구를 충족시키고 근무강도가 높은 조리병에게 휴식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가라는 부가적인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군과 지역사회의 새로운 협력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또한, 모듈러형 간부숙소 시범사업을 위한 예산 73억원을 추가 반영하였습니다. 모듈러형 건축은 건축 부자재를 규격화·표준화
하여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건축에 비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복무여건이 열악한 전방지역 등에서 초급간부의 주거여건을 조기에 개선할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모듈러형 간부숙소(안)>
|
◦ 주요 감액사업은 시설사업 2건(35전대 격납고 △65억원, 항작사 작전지휘시설 △13억원), 방위비분담금 시설분야(△203억원) 등으로, 정부안 편성 이후 공사지연 상황 등을 감안하여 감액한 것입니다.
□ 국방부는 2023년도 예산 집행에 대한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여, 우리 군의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따뜻한 병영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입니다.
붙임 : 국회 증감액 사업리스트
【 붙임 】 국회 심의 세부내역
<전력운영비>
(단위 : 억원)
감액사업 | 증액사업 | |||
감액 | 증액 | |||
합 계 | △429 | 합 계 | 314 | |
① 군무원인건비 | △96 | ① 지역상생 장병특식 신설 | 165 | |
② 병내일준비지원 | △26 | ② 모듈러형 간부숙소 신축 | 73 | |
③ 수도병원 외상센터 위탁운영 | △20 | ③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 18 | |
④ 방위비분담금 시설분야 | △203 | ④ UN참전군 전사자 추모비·조형물 건립 | 5 | |
⑤ 35전대 격납고 | △65 | ⑤ 6·25전쟁 글로벌 아카이브 | 6 | |
⑥ 항작사 작전지휘시설 | △13 | ⑥ 전쟁기념관 국군포로 전시 신설 | 5 | |
⑦ 드론보험료 | △1.5 | ⑦ 육군 8군단 동해안 지역 부대 연병장 인조잔디 설치 | 3 | |
⑧ 자탄분해시설 신축 | △0.7 | ⑧ 해병 2사단 체력증진시설 개선 | 1 | |
⑨ 한미동맹 70주년 기념사업 | △1.5 | ⑨ 개금 예비군훈련장 실내사격장 설치 | 1 | |
⑩ 59년 이전 전역자 퇴직급여 | △0.6 | ⑩ 육군훈련소 실내사격장 설치 | 4 | |
⑪ 지뢰피해자 지원 | △1.6 | ⑪ 육군 8사단 드론교육센터 신축 | 2 | |
⑫ 군인권실태조사 | △0.1 | ⑫ 육군 8사단 궤도차량정비고 신축 | 1 | |
⑬ 육군 8사단 고가초소·경계울타리 신축 | 6 | |||
⑭ 육군 25사단 사령부 본청 개수 | 1 | |||
⑮ 지하구 소방시설 보강 | 4 | |||
⑯ 합동이동 표적감시통제기 확보 관련 연구용역비 및 조사비 | 1 | |||
⑰ 드론봇 페스티벌 행사 | 0.5 | |||
⑱ 2군단 하수처리 원인자부담금 | 16 |
<방위력개선비>
( : 3축체계 603억원 / 단위 : 억원)
감액사업 | 증액사업 | |||
감액 | 증액 | |||
합 계 | △1,664 | 합 계 | 654 | |
① 130mm유도로켓-Ⅱ | △195 | ① F-X 2차 | 188 | |
② 대형기동헬기-Ⅱ | △175 | ② 철매-II 성능개량 2차 | 278 | |
③ 보라매(R&D) | △61 | ③ 장거리함대공유도탄(SM-6급) | 9 | |
④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BlockⅠ-① | △43 | ④ 전술지대지유도무기-II | 127 | |
⑤ VH-92 성능개량 | △41 | ⑤ 광개토-Ⅲ Batch-Ⅱ | 0.4 | |
⑥ 425사업(R&D) | △14 | ⑥ 대형공격헬기 2차 | 4 | |
⑦ GPS유도폭탄(2,000lbs급) 4차 | △9 | ⑦ K9A2 성능개량 | 25 | |
⑧ 특수작전용기관단총(R&D)(소) | △6 | ⑧ 국과연 연구인프라보강 | 15 | |
⑨ 이동형장거리레이더 | △2 | ⑨ 국과연 시설건설유지 | 5 | |
⑩ 특수침투정 | △0.5 | ⑩ 부품국산화개발지원 | 2 | |
⑪ 원가관리 | △0.2 | |||
⑫ 중요시설경계시스템 | △208 | |||
⑬ 근거리정찰드론 | △140 | |||
⑭ 대형수송기 2차 | △132 | |||
⑮ GOP과학화경계시스템 경미한 성능개량 | △103 | |||
⑯ 화생방위험예측분석체계 | △5 | |||
⑰ K9A1 자주포 | △50 | |||
⑱ 신속획득(해안정찰용무인항공기) | △120 | |||
⑲ 국방벤처기업 육성 | △60 | |||
⑳ 지휘소용차량 | △300 |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군사관학교 http://www.afa.ac.kr (0) | 2022.12.27 |
---|---|
손자병법;제8편 구변[03]- 전술의 활용 (0) | 2022.12.27 |
손자병법;제8편 구변[02]- 하지 말아야 할 것들 (0) | 2022.12.25 |
육군 교육사령부 (0) | 2022.12.25 |
손자병법;제8편 구변[02]- 하지 말아야 할 것들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