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제3제대는 전략예비군단이라고도 불리는 부대이다. 제3제대는 제1제대, 제2제대처럼 공세적 일변도의 군단이 아닌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성과여부에 따라 제3제대의 임무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제1제대, 제2제대가 공세적 임무가 비교적 활발히 전개 된다고 판단이 설 경우에는 제1제대, 제2제대를 뒤에서 지원사격하고 후방지원을 하는등의 공세적임무가 주를 이루겠지만 만일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이 원할치 못하다고 판단이 설 경우 방어위주의 수세적인 위주로 군단을 재정비한다는 것이다. 즉,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성과여부에 따라 제3제대의 임무와 역할이 변경된다는 것이다.
제3제대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축을 425기계화보병군단과 108기계화보병군단이다.
제3제대
425기계화보병군단은 우리의 기계화보병사단 수준에 해당하는 부대라 보면 될 듯하다. 425기계화군단의 편제도 다른 기계화군단과 편제는 대동소이하지만 보유장비가 구형의 기갑장비가 꽤 있는 실정이다.
425기계화보병군단의 주 목적은 대공수부대 방어이다. 쉽게말하면 한국,미국 공수부대원의 진입을 차단하고 방어하는 임무를 띤 부대라고 보면된다. 특히, 한국의 특전사요원들의 공수작전을 염두에 둔 부대라고 보면된다.
425기계화보병군단이 말이 기계화보병군단이지 거의 모든 전 부대원이 기갑차량이 아닌 군용트럭을 타고 이동,배치되는 경향이 짙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전차대대1개(전차대수31대)가 예하애 있는데 보유전차의 수량은 160대가 넘질 못하는 실정이다. 군단의 보유병력은 약 3만명수준이다.
108기계화보병군단은 425기계화보병군단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군편제를 가지고 있으며 같은 전략예비군단이다. 425기계화보병군단이 공수부대 방어가 주 목적이라면, 108기계화보병군단은 한국의 해병대를 방어하기 위함이 주 목적인 부대이다. 그리고 역시 대부분의 기갑장비는 노후화되어있고 병력이동은 군용트럭을 이용하여 수송을 한다. 군단의 보유병력은 약3만명. 425기계화보병군단과 비슷한 수준의 병력규모이다. 예하에 전차대대1대대(전차대수31대)를 두고 있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들의 세계 (1) | 2022.12.18 |
---|---|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0) | 2022.12.18 |
미국의 ICBM 배치현황 (0) | 2022.12.17 |
손자병법;제7편 군쟁[03]- 지형을 파악하라 (0) | 2022.12.17 |
해군 군수사령부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