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 海上 自衛隊
일본은 섬나라다. 바로 그 점이 해상자위대를 이해하는 중심포인트다. 일본을 공격하려는 적국은 반드시 바다를 통해야 한다. 그러니 당연히 일본으로서는 바다를 책임지는 해자대를 중시할 수밖에 없다.
육상자위대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전력을 보유하는데 반해, 해자대가 세계 3위로까지 평가받는 강력한 전력을 확보한 것도 결국 일본이 섬나라이기 때문이다.
해자대는 호위함대·잠수함대·항공집단·소해대군으로 편성된 자위함대 1개와 지방대 5개로 구성돼 있다. 잠수함대·항공집단·소해대군 등은 우리 해군의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에 해당하며 호위함대는 원양 작전을 담당하는 일종의 기동함대다. 지방대는 지역별 연근해 방어 책임을 맡은 부대로 우리 해군의 함대에 해당한다.
우리 해군은 장기적으로 연근해를 담당하는 해역함대와 원양 작전을 책임지는 기동함대 등 2원적인 구성으로 발전시키기를 원하고 있다. 이런 체제는 결국 지방대·호위함대로 나눠 2원적으로 구성된 해자대의 편성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해자대의 최정예 핵심 부대인 호위함대는 4개의 호위대군(護衛隊群)으로 편성된다. 각 호위대군은 3개의 호위대로 편성된다. 각 호위대는 구축함 2~3척으로 편성되며 각 호위대군은 3000∼7500톤의 구축함 8척으로 편성된다. 여기에 8대의 헬기를 추가한 것이 이른바 ‘8·8함대’다. 호위함대에는 4개의 호위대군이 있으므로 호위함대 전체로는 구축함 32척과 헬기 32대가 된다.
2004년 12월 발표된 신방위계획대강에 따른 해자대의 변화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호위대군의 편제 개편이다. 호위대군은 기본적으로 적 잠수함을 상대하는 대잠전이 주목적이며 8척이 동시에 작전을 수행할 것을 염두에 두고 편성돼 있었다.
하지만 신방위계획대강에서는 호위대군의 주 임무로 탄도 미사일 방어와 무장공작선 침투 대응,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호위대를 4척으로 편성, 필요할 때는 4척 단위로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방대는 1~2개의 호위대로 편성되는데 신방위계획대강에서는 각 지방대별로 1개의 호위대로 표준화했다. 항공집단의 경우 P-3C 초계기를 보유한 항공대를 8개에서 4개로 감축하게 되며 헬기 항공대도 9개에서 5개로 감축할 예정이다. 잠수함 부대도 6개 대(隊)에서 4개 대로 줄어들 전망이다.
편제상으로는 전체적으로 축소 지향적이라고 표현할 정도지만 전력 면에서는 질적 강화 기조가 뚜렷하다. 우선 각 호위대군에 1척씩 편성된 5000톤급 헬기 탑재 구축함(DDH)을 교체할 새로운 16DDH함의 건조 계획이 진행 중이다.
16DDH는 명목상 헬기 탑재 구축함이지만 항모 형태의 전통 갑판을 채택하고 있어 사실상 경항모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는 2척의 건조 계획만 잡혀 있지만 장기적으로 4척의 DDH를 모두 교체할 전망이다.
또 현재의 각각 4개의 호위대군에는 1척씩의 이지스 구축함만 편성돼 있지만 신형 이지스 구축함 4척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결국 각 호위대군은 경항모급 16DDH 1척과 이지스 구축함 2척, 일반 구축함 5척이라는 막강한 전력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1) 호위대군(護衛隊群)
1,2,3,4 호위대군을 호위함대라고 부르며, 이 호위함대 전체의 기함인 DDG168 타치카제는 요코즈카를 모항으로 하고 있다. 호위함대에는 함대의 사령관이 지휘하는 함을 가리킨다.
제1호위대군 [모항: 요코즈카, 기함: DDH143 시라네]
제1호위대[모항:요코즈카]: 무라사메(DD101), 하루사메(DD102), 이카즈치(DD107)
제5호위대[모항:요코즈카]: 타카나미(DD110), 오오나미(DD111)
제61호위대[모항:요코즈카]: 하타카제(DDG171), 키리시마(DDG174)
AOE(군수지원함)[모항:요코즈카]: 도키와(AOE423)
제2호위대군 [모항: 사세보, 기함: DDH144쿠라마]
제2호위대[모항:사세보]: 마키나미(DD112), 사와기리(DD157)
제6호위대[모항:사세보]: 유우다치(DD103), 키리사메(DD104), 아리아케(DD109)
제62호위대[모항:사세보]: 사와카제(DDG170), 공고(DDG173)
AOE(군수지원함)[모항:사세보]: 사가미(AOE421)
제3호위대군 [모항:마이즈루, 기함:DDH141하루나]
제3호위대[모항:마이즈루]: 아마기리(DD154), 하마유키(DD126)
제7호위대[모항:오미나토]: 하마기리(DD155), 유우기리(DD153), 세토기리(DD156)
제63호위대[모항:마이즈루]: 시마카제(DDG172), 묘우코우(DDG175)
AOE(군수지원함)[모항:마이즈루]: 하마나(AOE424)
제4호위대군 [모항:구레, 기함:DDH-142 히에이]
제4호위대[모항:구레]: 이나즈마(DD105), 사미다레(DD106), 아케보노(DD108)
제8호위대[모항:구레]: 우미기리(DD158), 아사기리(DD151)
제64호위대[모항:구레]: 아사카제(DDG169), 쵸카이(DDG176)
AOE(군수지원함)[모항:구레]: 토와다(AOE422)
ATS(훈련지원함)[모항:구레]: 쿠로베(ATS4202), 텐류우(ATS4203)
2) 잠수대군(潛水隊群)
제1잠수대군[모항:구레]
제1잠수대: 마키시오(SS 593), 이소시오(SS 594), 미치시오(SS 591)
제3잠수대: 하야시오(SS 585), 아라시오(SS 586, 후유시오(SS 588)
제5잠수대: 아키시오(SS 576), 하루시오(SS 583), 나츠시오(SS 584)
ASR(잠수함구조함): 치하야(ASR403)
제2잠수대군[모항:구레]
제2잠수대: 오야시오(SS 590), 우즈시오(SS 592), 나루시오(SS 595)
제4잠수대: 타케시오(SS 580), 유키시오(SS 581)
제6잠수대: 사치시오(SS 582), 와카시오(SS 587)
AS(잠수함구조모함): 치요다(AS405)
제1연습잠수대[모항:구레]
TSS(연습잠수함): 아사시오(TSS3601), 세토시오(TSS3602), 오키시오(TSS3603),하마시오(TSS3604)
TSS(연습잠수함): 유우시오(SS 573)
3) 소해대군(消解隊群)
제1소해대[모항:구레,소해정(MSC)] 유게시마(MSC 679), 이즈시마(MSC 687), 미야지마(MSC 690)
제2소해대[모항:사세보,소해정(MSC)] 나오시마(MSC 684), 토요시마(MSC 685, 우쿠시마(MSC 686)
제3소해대[모항:요코스카,소해정(MSC)]스가시마(MSC 681), 노토시마(MSC 682), 츠노시마(MSC 683)
제44소해대[모항:마이즈루,소해정(MSC)] 나가시마(MSC 680)
제46소해대[모항:오키나와,소해정(MSC)] 아오시마(MSC 689)
제51소해대[모항:요코스카,소해함(MSO)] 야에야마(MSO 301), 츠시마(MSO 302), 하치죠우(MSO 303)
제101소해대[모항:구레,소해관리정 (MCL)] 야쿠시마(MCL 723), 하하지마(MCL 724)
소해모함(MST): 우라가級 우라가(MST 463), 분고(MST 464)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전의 이해 (0) | 2022.12.18 |
---|---|
별들의 세계 (1) | 2022.12.18 |
북한군 제3제대 (0) | 2022.12.17 |
미국의 ICBM 배치현황 (0) | 2022.12.17 |
손자병법;제7편 군쟁[03]- 지형을 파악하라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