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

북한군 지상군, 해군, 미사일 분포도 (2009)

by 충실한 해병 2022. 12. 19.
북한군 지상군,해군,미사일 분포도  
 
 

북한은 휴전선 부근 최전방 부근에 1제대 기계화 전연군단인 4, 2, 5, 1 4개의 기계화군단을 배치 해 두고 있다. 특히 1제대 전선을 뒷 받침하는 전력인 2제대 전력을 1제대 바로 뒤에 포진시켜 1제대 공격의 연속성을 더해주고 있다.

 

2제대는 1제대가 기계화군단인 것에 비하여 1제대를 지원하는 목적이 강하므로 포병전력과 기갑전력이 주류를 이룬다. 물론 기계화전력도 존재한다.

 

3제대는 아주 독특한 성격의 제대이다. 1,2제대의 공격이 수월하게 전개 된다고 판단이 설 경우에는 공격적인 제파전력이 되지만, 1,2,제대의 공격이 수월치 않고, 한국군-미국군의 반격이 만만치 않다고 느껴질때에는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전력이 된다.

쉽게 말하면, 상황 상황에 따라 3제대 임무의 성격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3제대는 주로 기계화보병군단으로 구성된다.

 

4제대는 수도 평양의 방어와 사수를 위한 제대이다. 1,2,3제대는 공격성향이 강한 제대이나, 4제대는 이미 기울어진 전세를 역전시키기 어려운상태에서 평양의 방어를 전념하기위한 임무를 띠고 있다.

평양의 방어는 육상과 반 항공에 걸쳐 다중으로 방어막을 치고 있어 쉽게 뚫리기는 어려운 방어막을 가지고 있다. 특히,반항공사령부(평양고사포사령부라고도 부른다)의 경우 3중으로 밀집도가 높게 원형 반항공 장벽을 둘러쌓아 조밀한 화망을 구성하는것으로 알려진다.

 

 

---제1제대: 최전방 휴전선 부근에 위치, 4개전연군단이라 부른다.
전방 4, 2, 5, 1 기계화군단.

 

---제2제대: 1제대 바로 뒤에 위치, 기동화군단이라고 부른다---
전방2개기계화보병군단은 806기계화보병군단,815기계화보병군단.
전방1개전차군단은 820전차군단.
전방2개포병군단은 620포병군단,강동포병군단.

 

---제3제대:  평양의 남쪽 중부지역에 위치, 전략예비군단이라고 부른다---
중부지역의 전략예비군단은 425기계화보병군단,108기계화보병군단.

 

---제4제대: 평양을 비롯 후방및 전략요충지에 위치/방어, 후방군단이라고 부른다---

중부지역의 4개군단은 3,7,9,12군단.
중부평양지역의 1개 평양 방어 사령부.
중부평양지역의 1개 평양 반(反)항공 사령부.
후방지역의 4개군단은 6,8,10,11군단.

◆ 해군 사령부 : 평양

◆ 동해함대 사령부 : 함남 낙원군 소재 - 동해함대 10개 전대 570여척
◆ 서해함대 사령부 : 남포직할시 소재 - 서해함대 6개 전대 420(잠수함 및 지원함 포함)여척의

 

해군 총사령부 산하에는 2개 함대가 있다. 동해함대는 낙원에 사령부가 있고, 서해함대는 남포에 사령부가 위치한다.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의 전투함정인 수상전투함은 모두 430여척, 상륙함정 270여척과 해상경비정 등 200여척을 합쳐 총 900여척을 보유하고 있다.


배수량 1500톤급의 자국산 나진/원산급 프리깃함에서부터 100톤이 안되는 소형 경비정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같은 무장을 한 고속정이라도 구소련제와 중국제, 자국산이 뒤섞여 있어 북한의 전투함정을 구분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제3전대(동해) - 함남 낙원군, 잠수함대
제7전대(서해) - 황해남도 비파곶 추정
제8전대(서해) - 황해남도 사곶 추정
제9전대(서해) - 황해북도 초도, 서해함대 주전력
제11전대(서해) - 남포, 잠수함대
제12전대(서해) - 평북 염주군 다사도, 특수전부대 상륙 지원부대
제13전대(동해) - 강원도 문천, 잠수함대

 

북한에는 사정거리 300㎞이상인 스커드C,노동1호등 중장거리 미사일 생산시설이 적어도 4곳 이상의 미사일 제조공장과 12곳 정도의 미사일 기지가 있다

유력한 소식통에 의하면 북한의 미사일 제조/생산시설은
▲로켓/미사일 관련 부품을 만드는 26호 공장(자강도 강계시)
▲로켓/미사일 발사체 엔진을 생산하는 118호 공장(평남 개천군 가감리)
▲로켓/미사일을 조립하는 125호공장(평양시 형제산구역 중계동)
▲탄두/폭약을 만드는 약전 기계공장(평양시 만경대리) 등에 있다.


☞북한 미사일 기지는


▲청강읍(자강도 후창군) - 건설완료
▲용림읍(자강도 용림군) - 건설완료
▲지하리(강원도 이천군) - 건설완료
▲터 골(황해북도 평산군) - 건설완료
▲마양도(함경남도 신포시) - 건설완료
▲노 동(함경북도 화대군) - 건설완료
▲대포동(함경북도 화대군) - 건설완료
▲백운리(평안북도 구성군) - 건설완료
▲상남리(함경북도 허천군) - 건설완료
▲강감찬산(평안남도 증산군) - 건설완료
▲옥평/노동자구(강원도 문천군) - 건설완료
▲상원군(평양시) - 건설완료
▲오류리(평양시) - 건설완료
▲중화군(평양시) - 건설완료
▲영저리(자강도) - 건설완료
▲덕송군(함경남도) - 건설 중
▲용오동(함경남도) - 건설 중
▲삭갓몰(황해북도) - 건설 중
▲금천리(강원도) - 건설 중

이며 이들 미사일기지는 이미 건설완료가 되었거나 현재 건설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