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명칭에 대해...
부대에는 보통 세 가지 이름이 있다. 고유명칭과 통상명칭, 그리고 애칭이다.
고유명칭(Long Name)은 일반 명령혹은 부대편제표에 따라 명명된 원래의 부대 명칭을 말한다. ‘1사단’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고유 명칭이다.
군사 보안상 부대성격·편성·부대규모· 작전 ·장비등을 비닉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대명은 통상명칭(Common Name)이라고 부른다. 3275부대 등이 좋은예다.
애칭은 부대의 역사와 상징물을 감안해 부여된 이름이다. 여기에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사자·호랑이·용·독수리 등 동물이다.
특히 호랑이와 독수리는 육군 각 사단과 예하 부대에서는 상징명칭으로 쓰지않는 부대가 없을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용은 육군 2군단과 25사단·32사단·62사단 등 사단급 이상부대에서 선호하고 있다. 또 말과 곰·박쥐·악어·송골매·황소·코뿔소 등도 애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전사는 이러한 동물들의 보고이기도 하다.
사령부를 비롯해 예하 부대들이 사자와 독수리· 호랑이· 용· 말· 박쥐· 표범들을 골고루 애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물 말고도 나름대로 재미있는 애칭을 가진 부대들도 적지 않다.
무적칼(1사단)· 백골(3사단)· 도깨비(9사단)· 풍익(8사단)· 번개(17사단)· 돌격(26사단)· 강철(50사단) · 올림픽(72사단)· 재구(육사) 처럼 무생물, 사람 이름, 구호 등의 명칭을 사단이나 예하 부대의 애칭으로 차용하고 있는 것이다.
해군은 고유의 함정 번호 외에 이름이 따로 붙는다.
971호가 곧 광개토대왕함이라는 식이다. 이는 함정 하나하나가 독립된 부대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명칭도 초계함과 상륙함, 군수지원함, 구축함 등 함정의 종류에 따라 도시나 산봉우리, 호수, 인명 등을 각각 활용하고 있다.
공군은 1전투비행단·3훈련비행단 등 숫자로 표시한다.
다만 베트남전을 지원한 은마부대나 걸프전의 비마부대, 아프가니스탄의 청마부대처럼 해외 파병지원부대에 대해 말을 애칭으로 삼은 것이 특징이다.
현재 자이툰부대를 지원하고 있는 다이만부대는 여기서 제외된다.
==================================================================
부대 명칭이란 ?
부대에는 보통 세 가지 이름이 있다. 고유명칭과 통상명칭 · 애칭이다.
고유명칭(Long Name)은 일반 명령 혹은 부대 편제표에 따라 명명된 원래의 부대 명칭을 말한다.
‘1사단’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고유명칭이다. ( 예 : 제 1 사단 )
군사 보안상 부대 성격·편성·부대 규모·작전·장비 등을 비닉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대명은 통상명칭(Common Name)이라고 부른다. ( 예 : 1279 부대 ) -> 군용차량 범버에 붙여진 것을 많이 보실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3275부대 등 보통 네 자리 숫자로 된 통상명칭을 사용했지만
지난해부터 사단급 부대의 경우 고유명칭의 사용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고유명칭과 통상명칭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보안상 금기에 해당한다.
고유명칭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부대 존재가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시에는 별도의 위장용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세계 각국 군대의 일반적 관행이다.
중국군은 지금도 다섯 자리 이상의 숫자로 된 위장 명칭을 사용한다.
애칭은 부대의 역사·상징물을 감안해 부여된 이름이다.
육군의 백마부대나 백골부대 같은 것이 애칭의 예다.
유사한 용어 중 단대호(單隊號·Unit Identification)라는 것이 있다.
숫자로 표시된 칭호·병과·지휘 제대를 포함한 완전한 군부대 명칭이 단대호다.
고유명칭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주로 작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라는 점이 다르며 부호와 기호, 도표로서 표시된다 (독도법에 주로 사용)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군 지상군, 해군, 미사일 분포도 (2009) (0) | 2022.12.19 |
---|---|
한국의 방위산업체들 현황 (2009) (0) | 2022.12.19 |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2009) (0) | 2022.12.19 |
도섭과 도하의 차이점 (0) | 2022.12.18 |
독도분쟁시 한국對일본의 군사력 비교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