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

한국해군, 5성분전단[53상륙전대]

by 충실한 해병 2022. 12. 19.

5성분전단은 작전사령부 예하의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는 부대이다.
5전단은 예하에 많은 4개의 전대를 보유하는데, 이들 전대는 각각의 고유임무를 부여받고 그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는 이 5전단이 기동함대로 개편된다는 소문이 있는데, 기동함대에는 기뢰,상륙,구조전대는 없는 것이 관례이니, 기뢰,상륙,구조전대는 작전사령부의 직속 예하부대로 남을 듯 싶다.

 

대잠,기뢰전력이 방어적인 성격이 짙은 전대라고 한다면, 적국에 상륙하여 돌격하는 부대는 공격적인 성향이 짙은 부대일 것이다.
53상륙전대가 바로 그 성격의 부대이다. 53상륙전대는 운봉급 상륙함 2척이 퇴역함으로서, 전차상륙함LST 4척을 운용하는 부대이다.
운봉급 상륙함은 지난 2006년 12월28일부로 마지막까지 잔존해 있던 운봉,위봉함이 퇴역함으로서, 운봉급 상륙함의 모든 함정은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운봉ㆍ위봉함의 퇴역으로, 1950년 이후 한국 해군이 미국으로부터 인수한 상륙함 8척(덕봉ㆍ비봉ㆍ계봉ㆍ수영ㆍ북한ㆍ화산ㆍ운봉ㆍ위봉) 모두가 해군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며 현역에서 은퇴하였고, 한국 해군은 현재 자체 기술로 건조한 한국형 상륙함으로 상륙작전 및 수송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 해군은 미국에서 도입한 상륙함의 퇴역에 대비하고 상륙전 능력 강화를 위해, 이미 1980년대 부터 체계적으로 최신예 상륙함 건조 계획을 추진해 왔으며, 1994년 한국형 상륙함 1번함인 고준봉함을 시작으로 현재 모두 4척의 상륙함을 건조하여 운용중에 있다.
1943ㆍ44년에 건조된 운봉ㆍ위봉함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상륙작전에 참전하는 등 14년간 미해군의 주력 상륙함으로 운용되어 왔으며, 1955ㆍ59년에 대한민국 해군에서 인수한 이후 정부의 월남전 파병 결정에 따라 월남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백구부대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적의 기습위협과 낙후된 항만시설의 악조건을 극복하고 한국군의 후방작전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참전장병들이 월남전에서 혁혁한 전과를 거두는데 큰 공헌을 했다.
운봉함은 지난 50년간 101회의 단독 및 연합상륙훈련을 실시하여 해군의 상륙작전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140여회의 각종 수송작전과 낙도봉사활동, 110여회의 훈련지원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해양에서의 국익을 보장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또한 위봉함은 평소 부단한 훈련과 노력으로 90여회의 각종 상륙훈련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봉함과 함께 낙도봉사활동은 물론, 180여회의 사관생도 연안실습 및 부사관ㆍ병 함정 실습 지원으로 정예 해군 육성에 핵심 역할을 수행해 왔다.
지난 2005년말에 역시 운봉급 상륙함인 북한함, 수영함의 퇴역으로 마지막 함정으로 남아있던, 운봉함은 이제 완전퇴역을 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진 4척의 전차상륙함이 전부이지만, 조만간 대형상륙함인 독도함이 상륙전대 배치되게 되면, 상륙전대의 전력이 급 상승하게 될 것이다. 독도함의 수송능력이 크다는 것을 감안하면, 전력의 급상승은 당연한 일 일것이다.

===================================================================================

 

독도급 대형상륙수송함)


우리나라는 고준봉級 LST(Landing Ship Tank)4척, 운봉級 LST 4척의 연안접안형 상륙함을 8척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연안접안 방식의 함정을 기초로 적의 해안 화력과 연안에 부설된 기뢰의 위험을 무릅쓰고, 적지 해안에 상륙해야하는 전술을 구사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적의 화력 앞에 손쉽게 노출되어 많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전근대적인 작전개념 이다.  그러나 LPX의 도입으로 우리 군은 비로서 이런 위험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개념의 초수평선 상륙작전을 벌일 수 있게 된다.

 

1999년부터 약 96억원의 예산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설계작업을 벌여왔으며, 2002년 착수금으로 181억원이 집행되어 한진중공업에서 건조에 들어간다. 처음에는 일본의 Osumi級 보다 작은 만재 10,000t 급 정도로 구상하였으나, 이 후 19,000t 급으로 바뀌었으며, 예산상의 문제로 늦추어 지다가 국방부는 2002.10.28 한진중공업과 1번함의 건조계약을 맺었다. 1번함의 상세설계 및 건조비는 3,257억7천만원 이다. 2척의 총도입비는 9,513억원으로 1척당 4,757억5천만원 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LHD Wasp級의 축소형 이다. 위의 사진에서처럼 항공기 운용에 많은 비중을 두는 평갑판 형태의 상륙함/수송함으로 영국의 Ocean級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어, 필요시 뱃머리 왼쪽현에 스키점프대를 장착개조할 수 있을 것이다. 평갑판형 상륙함에 스키점프대를 두는 형태는 이탈리아에서 2004년 7월 진수시킨 Cavour號(옛 프로젝트명 Andrea Doria) 또는 프랑스의 BIP級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준봉급 전차상륙함)


 

 

제2차대전 이후, 미국이 사용하던 구식 LST를 사용하던 한국해군은 KDX계획의 일종으로 제한적이나마 LST형 상륙함을 건조하였다.
고준봉급 전차상륙함에는 중형헬기의 1대정도의 착륙갑판이 마련되어있으나, 이 상륙 함정의 주목적은 국내의 전차세력을 상륙하기 위한 함정으로 설계되었다. 이 전차 상륙함은 한국군의 주력전차인 K-1전차를 기준으로 약 16대정도를 수송하여 상륙작전이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면 16노트라는 약간 느린 속력을 가진다는 점이며, 함포가 장비되어 있긴 하나, 대공방어장비는 전무 한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약간의 재정이 허락을 한다면 휴대용 대공 미사일 즉, 미스트랄 같은 것을 적재 하였음 하는 바램이긴 하지만 요원한 실정이다.

 

고준봉급 전차상륙함
==================================================================================
함         명                    /    함     번      /  제 조 회 사                       
----------------------------------------------------------------------------------
고준봉                          /    LST-681     /  코리아타코마[현 한진중공업]  
----------------------------------------------------------------------------------
비로봉                          /    LST-682     /  코리아타코마                      
----------------------------------------------------------------------------------
향로봉                          /    LST-683     /  코리아타코마                      
----------------------------------------------------------------------------------
성인봉                          /    LST-685     /  코리아타코마                       
==================================================================================

 

+------- 제원 -------+
배수량 : 기준배수량 2,600t , 만재배수량 4,200t
크기 : 112.7 x 15.4 x 3.1 (m)
동력 : CODAD 방식
     - SEMT 피엘스틱 16 PA 6V 280 디젤엔진 2기
     - 2축 추진방식

속력 : 최대 16노트, 순항 12노트
탑승인원 :
         - 함선운영요원 : 120 명
         - 상륙군 : 240명

적재능력 :
           - 차량 700톤
           - 상륙정 200톤

+------- 무장 -------+
함포 :
     - 노봉 41mm 2연장 기관포 1기
     - 20mm Sea Vulcan 2기

대응장비 :
          - DAGAIE 채프/플레어 발사기

+------- 센서 -------+
지휘통제 레이더 :
                 - Selenia NA 18, WCS-86

레이더 : 
       - SPS-64 수상레이더
       - TANCAN : SN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