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부대(單位部隊:Unit)
![](https://blog.kakaocdn.net/dn/erPUAQ/btrT42QJ1Zi/qSXnrkMW8854hMmYvvT7Nk/img.gif)
육군 부대는 일반적으로 분대에서 군(軍:야전군)에 이르는 6-9개 계층으로 되어 있다.
각 하위 부대 2-6개가 모여 상급 부대를 이루며, 단위부대별 지휘관의 계급은 아래에 표시된 것과 같다(대략적인 것으로 세부 기준은 나라마다 다름). 야전군 위에 집단군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국가의 최대 규모 부대는 군단이다. 최근에는 대대를 폐지해 연대에서 바로 중대로 이어지게 하거나, 비사단 편성 여단을 주축으로 해 부대 구조를 가볍게 하는 경우가 많다
분대(分隊:Squad)
![](https://blog.kakaocdn.net/dn/rwKsA/btrT1GnF8Ni/HFVvHxCh8YGR0Kn9tl6Zt1/img.gif)
최소 편성 단위다.
인원은 나라마다 다르지만, 대략 8-12명 사이의 각개 병사로 구성된다. 분대장은 보통 하사, 병장이 맡으며, 3-6명 가량의 2개 내지 3개 '조(組:Team)'로 나눠 운용하기도 한다. 기갑부대에서는 단차(單車:전차 1대)가 1개 분대에 대응한다. 분대 위에 10-25명 내외의 '반(班:Section)' 개념이 존재한다(통신반, 포반, 관측반 등).
소대(小隊:Platoon)
![](https://blog.kakaocdn.net/dn/cSvmw1/btrT4pZZ36y/Sm5KAuTa8BK6sRqEQkd12K/img.gif)
일선 소총소대 편성이다. 1개 소대는 3-4개 분대로 구성되는데, 제1분대에서 제3분대까지는 앞서 설명한 분대 편성의 예를 따르고, 제4분대는 '화기분대'로 중기관총 또는 대전차병기를 장비한 병력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분대당 전투력을 증강시키고
화기분대를 폐지하는 3각편제 방식을 많이 취하고 있다. 예하 단위부대와 병력 숫자가 줄어들면 작전 지휘 및 화력 통제가
보다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중대(中隊:Company)
![](https://blog.kakaocdn.net/dn/bmGZ3F/btrT5TFV0cb/a07mtts7Tkgl5ksjdvSwIK/img.gif)
최소 전술 단위인 중대 편성 사례다. 1개 중대는 앞서 소대 편성 구조와 같이 3-4개의 예하 소대로 이루어진다. 3각편제시에는 화기소대가 없는 대신, 중대본부에 본부 직할로 박격포반, 대전차반, 중기관총반 등이 존재한다. 소총중대는 100-18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전차중대는 10-17대의 전차가, 포병에서 중대급 부대를 호칭하는 '포대(砲隊:포병중대:Battery)'에는 통상 4-8문의 각종 포가 장비된다.
대대(大隊:Battalion)
![](https://blog.kakaocdn.net/dn/cvFbnS/btrT3pzffzm/cPqGDm2tWhC80MEpQE3YFk/img.gif)
보병의 기본 전술 단위인 보병대대 편성이다. 연대 또는 여단을 구성하는 단위부대로 운용되거나 독립적인 행정 및 전술 기능을 지닌 독립대대로 운용된다. 대대장을 보좌하는 본부(참모부)와 2개 이상의 중대 또는 포대로 구성되는데, 보통 3-4개 중대와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통신소대, 공병소대와 같은 대대 직할대로 편성된다. 참모부는 보병대대의 경우, 인사(S-1), 정보(S-2), 작전(S-3), 군수(또는 보급:S-4) 등으로 나뉘며, 1개 대대는 보통 400-9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다. 중대는 유선중대, 무선중대, 중계중대 등과 같은 직접 명칭을 가지기도 한다(통신대대의 경우).
연대(聯隊:Regiment)
![](https://blog.kakaocdn.net/dn/bmnYT6/btrT6dRQevG/cVCNiFnSEnM7nmvpsdJiBk/img.gif)
2,000-4,000명 가량의 인적 자원 및 장비로 편성되는 최대규모의 '단일' 전투부대다. 전투부대는 전투단위부대의 약칭으로 전투지원 또는 전투근무지원이 배제된, 실제 전투 수행을 위해 편성된 독립적인 부대를 의미한다. 보병연대가 대표적인 연대급 전투부대이며, 여기에 여타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부대가 배속되면 연대전투단 또는 여단급 부대가 된다. 1개 연대는 본부(참모부)와 2-5개의 대대 및 연대 본부중대, 기타 직할중대, 직할대로 이루어진다. 왼쪽 편성표의 지원중대는 전투지원중대의 약칭으로 대대의 중화기중대와 같은 성격을 가진 중대 규모의 중화기부대다.
연대전투단(聯隊戰鬪團:Regimental Combat Team)
![](https://blog.kakaocdn.net/dn/tZWgI/btrT5bmwBFi/JFzXebKN5tlsPwOVTHFxu0/img.gif)
보병연대에 전차, 기계화보병 등의 전투부대와 포병, 공병, 화학 등의 전투지원부대, 의료, 보급, 수송 등의 전투근무지원부대 등을 배속시켜, 한층 독립적이고 강력한 전투력 발휘가 가능하도록 한 임시 편성의 한 사례다. 전장 상황이 연대로 하여금 독립적인 임무 수행을 필요로 할 경우(전과확대시)에 주로 편성된다. 보통 해당 연대장이 전투단장이 되나, 경우에 따라 부사단장이 맡기도 한다. (연대급 부대에 이러한 기능을 부가해) 상시적인 독자 전투 능력을 갖추게 한 부대를 '여단(旅團:Brigade)'이라고 한다. 예하에 연대를 두는 등, 여단은 고정된 편성 공식이 없는 편이다.
사단(師團:Division)
![](https://blog.kakaocdn.net/dn/bzl49R/btrT2QX2vcC/inRTKk5F2iNsi5Utsckz50/img.jpg)
전투부대, 전투지원부대, 전투근무지원부대 등을 모두 편성하에 두는 제병협동부대로, 어떤 조건하에서도 지속적이고 독립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사단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8,000-20,000명의 병력으로 이루어진다. 냉전시대 기준으로 서유럽(NATO) 군대는 12,000-20,000명 사이로 편성된 반면, 동구권(WTO) 국대는 10,000-13,000명 내외로 편성되는 차이를 보였다(기행, 병참 부대를 최소화하는 경량 편성으로, 실제 전투병 숫자는 대등. 단, 병참 능력 약화로 지구전에는 불리.).
1개 사단은 9-20개 내외의 최일선 전투(보병, 전차, 기보 등) 대대를 보유한다.
군단(軍團:Corps)
![](https://blog.kakaocdn.net/dn/vfGJy/btrT4GUI6GS/Sk5S69t0olkvc5muno9900/img.jpg)
사단 또는 여단의 상급 부대로, 군단 이상을 대부대(大部隊)라고 한다. 2-7개의 사단 및 여단과 군단 직할 여단, 대대 등으로
구성되며, 최소 3만 이상, 최대 15만 내외의 인원을 가진다. 군단은 실제 전투 수행에 필요한 전술 및 작전을 주기능으로
하며, 이를 위해 강력한 포병 전력을 비롯한 전투지원부대를 아래에 두고 있다. 이외에 기갑, 공병, 통신 등의 군단 직할
부대가 있다. 전투근무지원 기능은 대부분 예하 사단 또는 여단이나 보통 야전군(野戰軍)이라고 불려지는 군(軍)에 맡기고
있다. 사단을 폐지하고 군단, 여단, 대대 정도로 부대를 편성하는 것이 최근 각국 추세다.
군(軍:Army)
![](https://blog.kakaocdn.net/dn/ckBIUa/btrT5sIrROy/13dfFFuQRiov0dDlDN0buK/img.jpg)
전술한 바와 같이 군단의 상급 부대로, 흔히 야전군(Field Army)이라 불린다. 2-5개의 군단을 배속하고 있으며, 보통 10-30만 명
정도의 인원과 장비로 편성되어 있다. 군 직할로 사단급, 여단급 전투부대를 다수 두고 있는데, 광범위한 작전 지역을
통제해야 하므로 통신망과 방공망, 보급(수송), 군정(민사)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2개 이상의 야전군을 기반으로 하는,
군의 상위 개념인 집단군(集團軍:Army Group)의 편성도 야전군의 편성과 같이 2-5개 가량의 하위 부대와 여러 직할부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야전군급 부대를 두고 있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몇 안 된다.
국군(國軍:National Force:ROK Armed Forces)
![](https://blog.kakaocdn.net/dn/nmmBP/btrT6dK2ktj/3Qtk7j6a437Wqxur7FtFPK/img.jpg)
육군을 중심으로 한 국군 체계다. 국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으로, 대통령은 직접 또는 국방부장관을 통해 통수권을 행사한다. 지휘권은 크게 군령권(軍令權)과 군정권(軍政權)으로 나뉘는데, 작전부대 지휘권인 군령권은 합동참모본부에서, 일반 행정권인 군정권은 각군 본부에서 행사하는 이원 체제로 되어 있다. 육군 직할부대에는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교육사령부, 군수사령부 등이, 국군 직할부대에는 기무사령부, 정보사령부, 지휘통신사령부, 의무사령부, 수송사령부, 화생방방호사령부 등이 있다. 한미연합사(CFC)는 별도로 기술하지 않는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군의 전자전/ 사이버전 능력 (0) | 2022.12.20 |
---|---|
중국 양안 군사력 비교 (0) | 2022.12.20 |
동아시아 국가별 군사력 현황(2000) (0) | 2022.12.20 |
국군50년사 자주국방 강화기(1981~1990) (0) | 2022.12.20 |
미국 Clinton 정부의 국방행정 개혁과정과 성과 분석 (1)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