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격포를 운영하는 주요 부대
밀리터리 리뷰에 나오는 박격포에 대한 설명을 추렸습니다.
4.2인치 박격포 보병연대 12문, 기갑대대 4문, 기보대대 4문, 기수대대 9문 총 5650문 사거리 5650M 최소 770M 발사속도 최대 18발, 지속 2~3발 , 총 305KG
81MM 박격포 보병대대 12문, 기갑중대 4문, 기보중대 4문 총 5938문 4500M->6314M 최대 12발->30발, 지속 10발->5발 42.5KG->40.5KG
60MM 박격포 보병중대 3문, 신형 2162문, 구형 4886문 1800->3500M 최대
[기갑/기보대대의 경우 4문이 아니라 3문이란 자료도 있습니다. ]
어림잡아서 소요량은...
6개 기보사단 6 X [9개 기갑/기보대대(4.2인치 36문, 81MM 108문), 1개 기(갑)수(색)대대 (4.2인치 9문) ]= 4.2인치 270문, 81MM 648문
16개 정규사단 16 X [3개 연대(4.2인치 36문) 9개 대대(81MM 108문) 27개 중대(60MM 81문) ] = 4.2인치 576문, 81MM 1728문 60MM 1296문
12개 동원사단 12 X [3개 연대(4.2인치 36문) 9개 대대(81MM 108문) 27개 중대(60MM 81문) ] = 4.2인치 432문, 81MM 1296문 60MM 972문
5개 기갑여단 5 X [3개 대대(4.2인치 12문, 81mm 36문) 기수대(4.2인치 3문) ] = 4.2인치 75문 81mm 180문
13개 향토사단... 어림잡아서 50개 연대/여단(4.2인치 600문) 220개 대대(81MM 2640문) 500개 타격/지역대(60MM 3000문)
그러면 어림잡아서 소요는
4.2인치 1353문 +600문 가량? 2000문 정도
81mm 3672문 + 2640문 가량? 6300문 정도
60mm 2268문 + 3000문 가량? 5300문 정도
가 될태고,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의문점이 생깁니다.
1. 소요는 2000문 가량인대 5650문에 달하는 4.2인치 박격포 왜 있는 것인가? 그리고 그 전부가 차량화 되어 있는가?
2. 자주박격포로 변신할 경우 현 기보/기갑 편제와 같이 12문에서 4문으로 줄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
3. 기보사단의 여단 지원 화력은 무엇...?
1. 의문 4.2인치 박격포는 무겁기 때문에 전부 장갑차등에 탑제하고 다닙니다.
그렇다면 한국에는 이미 자주박격포가 2000문 이상 배치 되어 잇는 것일까요?
총 수량이 전부 차량화 되어 있다면 자주박격포는 5600문에 달하는...?
기보부대의 81mm 까지 치면 자주박격포 세력은 이미 2700~6300문?
2. 차량화 사단과 신형 박격포의 배치로 박격포 세력 자체가 줄 가능성이 있지 않겠습니까? (기보와 마찬가지로)
3, 기보사단의 여단급 지원 화력에 대해서 들어본바 없는데,(메티스-M 빼고) 박격포의 세력도 대대급에서 이미 종료되서 없는데 여단급 지원 부대는 없는 것일까요?
심곡리 답변 입니다. 1.4.2인치는 전부 차량 이동 입니다..(기계화사단은 장갑차) 2.기보/전차대대의 경우 4.2인치 가 3문 입니다..!! 3.여단자체 화력은 없고 사단에서 배속대는 자주포대대.방공발칸.공격 작전tl 공군 alo에의한 계획 cas. 비계힉cas정도... 4 . 참고사항 전차대대에는 81m가 없습니다..대전차미사일인 메티스 m은 기보대대 운용 입니다..!!2006-01-03
강철기사 음... 딴지는 아니지만 기갑대대는 없습니다. 전차대대가 맞습니다. '기갑'이라는 명칭은 제병협동작전이 가능한 여단급 이상에만 붙이죠. 보병부대가 중대급 이하를 소총중대, 소총소대라고 부르는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2006-01-03
TILL 저흰 기보/전차대대 각 중대별로 3문 ~ 4문 씩 보유했었는데요....이건 제가 정비병 이었던 관계로 여단내 모든 소중화기는 제손을 거쳤습니다.2006-01-05
Alchemist 4.2인치는 모두 차량화 되었지만 자주화 되지는 않았습니다. 야포의 자주포와 견인포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분해해서 전술차량에 싣고 이동 조립 사격합니다. 그리고 신형 박격포를 배치하더라도 박격포의 세력이 줄 가능성은 없다고 보여집니다. 일단 보병이 가지고 다니기에 아주 좋고요. 포의 크기에 비해 화력이 무지 좋고요. 또 한가지 결정적으로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 지형에 더없이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기갑이나 기보에 적은 수로 배치된것은 아마도 기갑 /기보의 특성인 강행 돌파나 빠른 이동 공격에는 적합하지 않는 화기여서 일것 입니다. 하지만 보병의 경우는 다르고요. 실제로 산너머로 쏘아서 지원해줘야 하는 보병전투에서는 박격포는 필수 입니다. 따라서 거의 시가전 아님 산악전으로 이루어질 우리나라에서 박격포의 세력축소는 없을것 으로 보입니다.2006-01-09
핸썸맨 기계화보병대대에는 본부중대에 전투지원소대가 있습니다. 전투지원소대에는 4.2인치 4문, 106미리 2정이 있습니다. .4.2인치는 장갑차 탑재형이구요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군 전차도입라인 및 도입배경 (0) | 2022.12.28 |
---|---|
2005년 국방예산 분석평가 및 2006년 전망 (0) | 2022.12.28 |
신규무기사업과 국방개혁안 전력투자비 비교(공군편) 2009 (0) | 2022.12.28 |
한국군 전차 편제 및 전차 무기체계 (0) | 2022.12.28 |
국산전투기 사업 2009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