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어링을 뜯어 고쳐 봅시다.
대만은 미해군의 퇴역 기어링급을 1973년부터 83년까지 일곱척 넘겨 받았습니다.
한국의 경우 하푼 대함미사일의 장비, 알루엣 3 헬기의 운용, 시 발칸 장착, 아스록 철거등의 개조를 행했는데 대만이 행한 개조에 비하면 새발의 피입니다. 한국이 한건 개조도 아닙니다.
그 개조목록은 화려해서 기존의 5인치 38구경장 2연장 주포를 모두 철거 1번 주포탑 자리에 오토멜라라 76mm 62구경장 함포를 장착, 2번 주포탑 자리에 고각 조절이 불가능한 스탠다드 SM-1 MR 런쳐를 장착 슝펭2 대함미사일 장착, Mk.32 3연장 SVTT와 아스록 런쳐는 유지, 팔랑스 20mm CIWS 설치
전자장비 교체를 행했습니다.
이것도 무사히 종료 된것은 아니라서 스탠다드 SM-1 시험발사 하다가 미사일이 런쳐위에서 폭발한 적 도 있습니다. 이렇게 개조된 기어링급들은 2003년에 퇴역했습니다.
2. 키드급은 과연...
대만이 미국으로 부터 넘겨받는 키드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은 총 4척입니다.
동급 전체를 넘겨 받게 됬습니다. 키드급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을 베이스로 NTU 기능을 가지는 센서체계와 Mk.26 2연장 런처를 갖춘 구축함입니다. 이란이 팔레비 왕정 시절에 주문했고 이란 혁명으로 인하여 인도되지 않았습니다.
대만이 인도식날 대만 현지에서 찍은 사진에는 전방 마스트에 AN/SPS-49 2차원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더가 존재합니다. 대만 국방부의 지룽급(키드급의 대만이름 基陸級)사진을 보면 전방마스트에 AN/SPS-49가 없습니다.
덕분에 AN/SPS-48 3차원 대공 레이더로 탐색과 추적을 모두 실시해야합니다.
장거리에서 표적의 접근 방위와 속력을 미리 아는 상태에서 고도만 탐색하는 것과 그것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표적의 접근 방위, 속력, 고도를 모두 탐색해서 추적해야하는 경우는 후자쪽이 더 불리합니다.
키드급은 NTU기능을 갖춘 함으로 그 핵심은 AN/SYS-2 표적 자동 분배, 추적장치입니다.
미국이 대만에 키드급을 두면서 이 장비를 땠습니다.
덕분에 센서 정보를 합쳐서 위협순위를 평가하고 자동적으로 추적하는게 불가능합니다.
대만은 NTU 적용해서 시뮬레이션 해보고는 입이 찢어졌습니다만은 정작 쓸 배에는 그게 없군요.
(참고로 KD-2 이순신급에는 달려있다고 합니다.)
일루미네이터는 SPG-60로 OY-88로도 표기합니다. 장비수량은 2기로 Mk.26런쳐에서 스탠다드 SM-2를 4발 발사하고 나면 유도 능력이 포화입니다. Mk.26 런쳐 자체는 약 8초 정도마다 재장전 됩니다. 즉 미사일이 8초 이상의 거리에 존재한다면 쏘고 한참 접근 하고 나서야 제 2사가 가능하다는 것인데 미사일 접근을 고려하면 제 2사의 기회가 거의 없다고 봐야합니다.
대만은 지룽급 도입과 함께 미국에게 스탠다드 SM-2 블록3A를 248발 요청했습니다.
미국은 SM-2 블록 2A 248발을 대만에게 인도하겠답니다.(...)
3. 캉딩급의 우울
캉딩급은 라파예트급을 베이스로 대만이 프랑스에 주문한 프리깃입니다. 덕분에 프랑스한테 바가지 썼습니다. 주포를 오토멜라라 76mm로 교체하고 소나 시스템을 장착하고 엑조세 대함 미사일을 슝펭2로 교체했습니다.
대공전 시스템도 교체했는데 프랑스가 사용하던 나발 크로탈을 시 채퍼럴로 교체합니다.
이는 개악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크로탈이 접근, 후퇴 표적에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의 대응이 가능하다면 시 채퍼럴은 전진표적에 대해서는 대응 불가 후퇴 표적도 상공 상황에 따라서 교전을 장담 못합니다. 채퍼럴 체계 자체가 사이드와인더 초기형을 고기동 차량에 4연장 발사기 형태로 올린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채퍼럴에 사용되는 사이드 와인더는 AIM-9D가 기본이며 시 채퍼럴에는 개량된 미사일이 사용되어 RIM-72C로 표기됩니다. 이 개량된 미사일은 제한적인 전방위 교전 능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기본적으로 시커 감도가 너무 떨어집니다.
그로 인하여 접근 표적에 대해서는 사실상 대응이 불가능하고 후퇴 표적도 상공이 청명하고 습도가 매우 적은 상황에 적이 대응을 하지 않는 경우에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Knox의 비애
미해군이 사용하던 대잠 프리깃인 녹스급을 넘겨 받은건 1992년부터입니다. 98년까지 동급 여덟척을 인도 받습니다.
동급중 일부 함정은 시스패로 8연장 선회 발사기를 갖추고 있었는데 대만에 인도된 여덟척 중에도 한척이 미해군 시절에 시스패로 런쳐를 장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만에 인도된 상태에서는 모두 팔랑스입니다.
대만 해군 최초의 RGM-84 하푼 함대함 미사일 장비함으로 유명한 녹스급은 미해군이 인도하면서 하푼을 빼고 아스록을 넣는것을 깜빡한 덕분에 1992년 하푼을 장비하게 됩니다.(당시 한국은 이미 하푼 다수를 운용중)
대만은 이 녹스급에도 개조를 실시해서 324mm 단장 단어뢰 발사관 4기를 Mk.32 Mod 9 2연장 SVTT 2기로 교체합니다.다만 함포는 교체하지 못해서 미해군의 Mk.42 함포 그대로입니다.
Mk.42는 악평이 많은 함포로도 유명하죠
5. Ferry 급
대만의 O.H.페리급은 일견 멀쩡해보입니다.
하지만 타국의 페리급들이 Mk.13 런쳐의 탄약고에 하푼을 같이 장비하고 있는 것과 달리 대만해군의 페리는 하푼이 없습니다. Mk.13 런쳐의 탄약고에 스탠다드 Sm-1 MR만 가득합니다.(Mk.13 런쳐는 스탠다드, 하푼, 아스록 모두 운용 가능)
페리가 대만해군에 취역한건 1993년부터인데 그때도 미국은 하푼 판매 불허 였습니다. 이때문에 대만은 슝펭2를 페리 상부에 장착합니다.
페리는 지극히 미국적인 발상으로 만들어진 프리깃이기 때문에 대만이 미국처럼 운용한다는건 불가능하죠(...) 대만해군 페리급의 ECM/ESM 및 디코이 시스템은 기어링 개조함에 사용된 것의 발전형으로 구성되있습니다. 실크웜/ 스틱스에는 대응이 가능하겠지만 소브레멘니의 모스키토나 C-801, 802같은거에 대응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6. 대만 수상전투함 공통된 우울
CIWS가 팔랑스입니다. 팔랑스인 관계로 위력이 매우 부족합니다.
위력도 부족하고 사정거리도 짧고 그렇다고 아주 잘 맞추는 것도 아닙니다.
골키퍼라도 쓸수 있다면 모르겠는데 팔랑스는 발전하는 대함미사일들 특히 초음속 대함미사일에는 많이 부족합니다.
7. 잠수함대
대만해군 잠수함대는 하이룽급과 하이시급으로 구성되있습니다.
하이룽급은 네델란드제로 Zwaardvis급입니다. 원래 4척 도입 예정이었으나 사이가 좋지 않은 본토의 압력으로 인하여 2척 도입하고 끝났습니다.
하이시급은 미국의 구피급으로 대만에 인도된 구피급은 사실상 잠수함으로서의 가치가 없게된 상태로 인도됐습니다.
미국은 대만에게 바벨급(미국의 마지막 디젤잠수함)을 팔겠다고 말한 적은 있지만 과연 팔 생각이 있는건지 대만을 놀리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바벨급 한척 가격을 왠만한 원잠보다 더 비싸게 불렀다는 말도 있으니 말입니다.
8. 대만 해병대의 안습
얼마전에 드디어 대만 해병대가 LVTP-7을 미국으로부터 인도 받았습니다.20년간 오키나와에 방치되있던 녀석으로 말입니다. 한국은 그 발전형의 개량형을 100단위로 양산한 상태라는건 비밀이죠
Tien Tan Class
어디까지나 희망사항. 알레이버크와 동급이지만 과연 미국이 해줄까...?
Chi Teh Class (Kidd)
뭐. 안습인건 말 안해도 뻔하죠. FCS쪽에 다운그레이드 된 흔적이 넘치죠. 4척 있습니다.
Chi Teh : DDG 1801 (Ex : U.S Navy DDG-993 Kidd)
Ming Teh : DDG 1802 (Ex : U.S Navy DDG-994 Callaghan)
Tong Teh : DDG 1803 (Ex : U.S Navy DDG-995 Scott)
Wu Teh : DDG 1805 (Ex : U.S Navy DDG-996 Chandler)
Chyo Yang Class (Gearing)
할말 없는 물건. 14척 도입해서 현재 4~6척 남아있네요. 글로벌의 원 소스대로라면 6척이겠지만, 이쪽은 언제 침몰퇴역할지 모르는 상황이라 밀밸을 다시 확인 해 봐야 확답을 할 수 있겠네요. 대충 하는 관계로 시스템 구성요소는 생략합니다.
Chien Yang (ex-James E. Kyes) : 912 (ex DD 787)
Lioa Yang (ex-Hanson) : 921 (ex DD 832)
Shao Yang (ex-Hollister) : 929 (ex DD 788)
Te Yang (ex-Sarsfield) : 925 (ex DD 837)
Chen Yang (ex-Johnston) : 928 (ex DD 821)
Shen Yang (ex-Power) : 923 (ex DD 839)
Yun Yang (ex-Hamner) : 927 (ex DD 718)
Cheng Kung Class (Perry)
뭐. 페리급입니다만. Short Hull버전이기 때문에 좀 능력은 미지수입니다. 거기다가 하푼도 없고, 운영능력도 스스로 터득했다고 보기에는 좀 에러가 많기 때문에... -_-
더군다나 대만에서 91년부터 제작했다고 나오는거 보면. 좀 위험하긴 위험(?)합니다.
1101 Cheng Kung
1103 Cheng Ho
1105 Chi Kuang
1106 Yueh Fei
1107 Tzu I
1108 Pan Chao
1109 Chang Chien
1110 Tian Dan
Chi Yang Class (Knox)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대만 막장 해군에 인도되었습니다. 총 8대 있네요.
Chi Yang (ex-Robert E. Peary) : 932 (ex-FF 1073)
Fong Yang (ex-Brewton) 933 : (ex-FF 1086)
Feng Yang (ex-Kirk) : 934 (ex-FF 1087)
Lan Yang (ex-Joseph Hewes) : 935 (ex-FF 1078)
Hae Yang (ex-Cook) : 935 (ex-FF 1083)
Hwai Yang (ex-Barbey) : 937 (ex-FF 1088)
Ning Yang (ex-Aylwin) : 938 (ex-FF 1081)
Yi Yang (ex-Valdez) : 939 (ex-FF 1096)
Kang Ding Class (La Fayette)
함체는 라파예트지만, 성능은 그다지 잘났다고 보긴 힘듭니다. 화력면에서는 우월하다고 하는 사람도 소수 있지만, FCS의 성능이 라파예트보다 안습이라.(...라파예트도 안습입니다. -_-)
총 6대가 막장해군에 인도되어 있습니다.
Kang Ding 1202
Si Ning 1203
Wu Chang 1205
Di Hua 1206
Kun Ming 1207
Chen Du 1209
대만해군 주력함 목록을 올립니다.
1. 지룽급
2. 치양급
3. 쳉쿵급
4. 캉딩급
5. 하이시급
6. 하이룽급
순서는 함번(원함번), 함명(원 함명), 발주, 취역, 퇴역, 인도
간단한 제원입니다.
취역만 기록되있거나 취역도 월 일이 다 기록되지 않은건 자료부족입니다.
치엔양급은 위키페디아의 함목록, 헤이즈그레이의 함목록, 콘웨이 해군도감의 함목록이 일치하지 않고
퇴역함이라서 제외합니다.
1. 지룽급(키드급)
DDG-1801(DDG-995) 基隆(Scott)
1978년 3월 23일 발주
1981년 10월 24일 취역
1998년 12월 11일 퇴역
2005년 12월 17일 인도
DDG-1802(DDG-994) 蘇澳(Callaghan)
1978년 3월 23일 발주
1981년 8월 29일 취역
1998년 3월 31일 퇴역
2005년 12월 17일 인도
DDG-1803(DDG-993) 左營(Kidd)
1978년 3월 23일 발주
1981년 3월 27일 취역
1998년 3월 12일 퇴역
2006년 11월 3일 인도
DDG-1805(DDG 996) 馬公(Chandler)
1978년 3월 23일 발주
1982년 3월 13일 취역
1999년 9월 23일 퇴역
2006년 11월 3일 인도
전장 172 m
선폭 16.8 m
흘수 9.6 m
만재 배수량 9783톤
LM2500 개스터빈 4기 8만 Shp
장비
SPS-48E 3차원 대공 레이더
SPG-60 일루미네이터 2기
SPS-55 대수상 수색 레이더
SPQ-9A 사통 레이더
SQS-53 소너
SLQ-32(V)3 아웃보드2 전자전 장비
무장
Mk.45 5인치 함포 2문
Mk.26 2연장 런쳐 2기(전방 Mod.3 후방 Mod.4 합계 스탠다드 SM-2 블록2A 68발 수납 가능)
Mk.141 4연장 런쳐 2기(RGM-84 하푼 SSM 8발)
Mk.15 팔랑스 2기
Mk.32 SVTT 3연장형 2기(Mk.46 경어뢰 6발)
S-70C 해상작전 헬기
2. 치양급(녹스급)
FFG-932(FF-1073) 濟陽(Robert.E.Perry)
1964년 7월 22일 발주
1972년 9월 23일 취역
1992년 8월 7일 퇴역
1992년 인도
FFG-933(FF-1086) 鳳陽(Brewton)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2년 7월 8일 취역
1992년 7월 2일 퇴역
1992년 인도
FFG-934(FF-1087) 汾陽(Kirk)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2년 9월 9일 취역
1992년 8월 6일 퇴역
1992년 인도
FFG-935(FF-1078, FFT-1078) 蘭陽(Joseph Hewes)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1년 4월 24일 취역
1994년 6월 30일 퇴역
1994년 인도
FFG-936(FF-1083) 海陽(Cook)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1년 12월 18일 취역
1992년 4월 30일 퇴역
1994년 인도
FFG-937(FF-1088) 淮陽(Barbey)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2년 11월 11일 취역
1992년 3월 20일 퇴역
1994년 인도
FFG-938(FF-1081) 寧陽(Aylwin)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1년 9월 18일 취역
1992년 5월 15일 퇴역
1998년 인도
FFG-939(FF-1096) 益陽(Valdez)
1966년 8월 25일 발주
1974년 7월 27일 취역
1991년 12월 16일 퇴역
1998년 인도
전장 133.5m
전폭 14.17m
흘수 7.46m
만재 배수량 4250t
1200psi 보일러 2기, 증기 터빈, 1축 35000shp
장비
SPS-40B 2차원 대공 레이더
SPG-53 사통 레이더
SQS-26CX 바우 소너
SQR-18 예인소너
SLQ-32(v)5 전자전 장비
SLQ-25 닉시 예인 기만기
무장
Mk.42 5인치 함포 1문
Mk.112 8연장 런쳐(아스록, 하푼 운용)
Mk.15 팔랑스 CIWS 1기
Mk.32 Mod 9 SVTT 2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기
3. 쳉쿵급(올리버 헤저드 페리 급)
FFG-1101 成功
1989년 5월 8일 발주
1993년 5월 7일 취역
FFG-1103 鄭和
1994년 3월 28일 취역
FFG-1105 繼光
1995년 3월 4일 취역
FFG-1106 岳飛
1996년 2월 취역
FFG-1107 子儀
1997년 1월 취역
FFG-1108 班超
1997년 12월 취역
FFG-1109 張騫
1998년 11월 취역
FFG-1110 田單
2004년 3월 11일 취역
전장 138m
전폭 13.7m
흘수 6.7m
LM2500 개스터빈 2기 41000shp, 350hp 포드 추진기 2기
장비
AN/SPS-49 2차원 장거리 대공 레이더
SPS-55 대수상 레이더
CAS, STIR 사통 레이더
SQS-56 소너
AN/SLQ-32(V)5 전자전 장비((V)2 + 사이드킥 ECM)
Mk.13 런쳐 1기(스탠다드 SM-1 MR 40발)
슝펭2 대함미사일 8발
오토메라라 3인치/ 62 함포 1문
보포스 40mm/70 2연장 대공포 2문
Mk.15 팔랑스 CIWS 1기
Mk.32 SVTT 2기
S-70 C 해상작전헬기
4. 캉딩급 (라 파예트급)
FFG-1202 康定
1996년 6월 취역
FFG-1203 西寧
1996년 9월 취역
FFG-1205 武昌
1997년 12월 취역
FFG-1206 迪化
1997년 8월 취역
FFG-1207 昆明
1998년 8월 취역
FFG-1208 承德
1998 1월 취역
전장 125m
전폭 15.4m
흘수 4m
SEMT Pielstick 12PA6V280 STC2 디젤엔진 4기 21800shp
장비
탈레스 DRBV-26D 대공레이더
탈레스 Thales Triton G 대수상 레이더
탈래스 Castor IIC 사통레이더
탈레스 Spherion B 바우소너
탈레스 ATAs (V)2 예인소너
창펭4 ECM/ESM 장비
다게 채프 플레어 발사기 2기
무장
슝펭2 대함미사일 8발
RIM-92 채퍼럴C 4발
오토메라라 3인치 / 62 함포 1문
보포스 40mm/ 70 대공포 2문
Mk.15 팔랑스 CIWS 1기
Mk.32 SVTT 3연장 2기
5. 하이시급(텐치급 - 구피2급)
SS-791(SS-478) 海獅(Cutlass)
1945년 3월 17일 취역
1971년 12월 15일 퇴역
1973년 4월 12일 인도
SS-792(SS-426) 海豹(Tusk)
1946년 4월 11일 취역
1973년 10월 18일 퇴역
1973년 10월 18일 인도
전장 93.57m
전폭 8.33m
흘수 5.18m
배수량 2420t
Fairbanks-Morse 디젤엔진 3기 Elliot motor 2기 5,400 hp
장비
US SS 2 레이더
EDO BQR 2b헐마운트 수동 소너
Raytheon/EDO BQS 4c 능동 소너
Thomson Sintra DUUG 1B 소너
무장
21인치 어뢰발사관 10기
6. 하이룽급 (즈와비스 Mk2 급)
SS-793 海龍
1987년 10월 9일 취역
SS-794 海虎
1988년 4월 9일 취역
전장 66.9m
전폭 8.4m
흘수 6.7m
배수량 2660t
Bronswerk/Stork-Werkspoor RUB 215X12 디젤엔진 3기
Holec 모터 1기 5100hp
장비
시그널 SIASS-Z 소너체계
시그널 Rapids ESM
시그널 ZW-07 대수상 레이더
엘비트 Timnex 4Ch(v)2 수신기
무장
21인치 어뢰발사관 6기(SUT 중어뢰, 슝펭2 잠대함 미사일)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찰및 정부기관 보유 헬기 현황 2009 (0) | 2022.12.30 |
---|---|
대포병레이더(WLR-X) 도입사업의 문제점 (1) | 2022.12.30 |
세르비아육군 보유장비내역 (0) | 2022.12.30 |
해군 함정의 종류 (0) | 2022.12.30 |
폴란드육군 보유장비 내역 - part 2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