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

육군 조직과 편성(2006)

by 충실한 해병 2022. 11. 24.

2006년 현재 3개 야전군 체제로 유지되고 있으며, 3개 야전군 외에 별도로 한미연합사령부(ROK-US CFC)가 있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전시 작전을 총괄하는 기구이며, 연합사 지상군구성군은 산하에 대한민국 육군 1, 3군과 미국 육군 제8군을 예하에 둔다.

국방부에서 병력 위주의 구조에서 부대 수를 주리고 기동부대의 전력을 강화하려는 국방개혁2020 계획에 따라 지상작전사령부와 제2작전사령부, 특전사령부, 항공사령부, 유도탄사령부와 5개 군단, 2개 기동군단 체제로 전환된다. 1군과 3군이 통합되어 새로이 신편된 지상작전사령부에 5개의 군단과 2개 기동군단이 편성되며, 수도방위사령부는 임무와 기능이 바뀌어 기동군단에 편성될 예정이다.

 

-육군 본부-

  • 육군 군수 사령부
    • 종합정비창
    • 정비창
    • 탄약창
  • 육군 교육 사령부
    • 육군 대학
    • 학생 중앙 군사학교
    • 병과 학교
  • 육군 전투 발전단
  • 육군 사관학교
  • 육군 3 사관학교
  • 항공 작전 사령부 (불사조 부대)
  • 1 항공 여단
  • 2 항공 여단
  • 화학전 방호 사령부
  • 유도탄 사령부 (무극 부대)
  • 의무 사령부
  • 수도 방위 사령부 (방패 부대)
    • 1 경비단
    • 1 화학전 방호 여단
    • 122 통신 여단
    • 10 방공포단
    • 1113 공병단
    • 헌병단
    • 52 향토 보병 사단 (화살 부대)
    • 56 향토 보병 사단
    • 57 향토 보병 사단
    • 60 동원 보병 사단
    • 71 동원 보병 사단
  • 특수전 사령부 (사자 부대)
    • 707 특수임무대대 (백호 부대)
    • 특수전 교육단
    • 1 공수 특전 여단 (독수리 부대)
    • 3 공수 특전 여단 (비호 부대)
    • 5 공수 특전 여단 (흑룡 부대)
    • 7 공수 특전 여단 (천마 부대)
    • 9 공수 특전 여단 (귀성 부대)
    • 11 공수 특전 여단 (황금박쥐 부대)
    • 13 공수 특전 여단 (흑표 부대)

 

-1 야전군-

  • 3 기갑 여단 (번개 부대)
  • 11 야전 포병단
  • 12 항공단
  • 1107 공병단
  • 1170 공병단
  • 11 기계화 보병 사단 (화랑 부대)
  • 1 군수 지원 사령부
  • 2 군단 (쌍용 부대)
    • 2 포병 여단
    • 2 공병 여단
    • 102 통신단
    • 702 특공 연대
    • 302 경비 연대
    • 7 보병 사단 (칠성 부대)
    • 15 보병 사단 (승리 부대)
    • 27 보병 사단 (이기자 부대)
    • 76 보병 사단 (비호 부대)
  • 3 군단 (산악 부대)
    • 3 포병 여단
    • 3 공병 여단
    • 103 통신 여단
    • 703 특공 연대
    • 303 경비 연대
    • 2 보병 사단 (노도 부대)
    • 12 보병 사단 (을지 부대)
    • 21 보병 사단 (백두산 부대)
  • 8 군단 (동해충용 부대)
    • 8 포병 여단
    • 102 기계화 보병 여단 (일출 부대)
    • 22 보병 사단 (율곡 부대)
    • 23 보병 사단 (철벽 부대)

 

 

-2 작전 사령부-

  • 21 항공단
  • 201 특공 여단
  • 1117 공병단
  • 1120 공병단
  • 5 군수 지원 사령부
  • 9 군단 (2010년 해체 예정)
    • 203 특공 여단 (구 항작사 예하 1 공중 강습 여단)
    • 31 향토 보병 사단 (비호)
    • 32 향토 보병 사단
    • 35 향토 보병 사단 (충경 부대)
    • 37 향토 보병 사단 (충용 부대)
  • 11 군단 (2010년 해체 예정)
    • 205 특공 여단
    • 39 향토 보병 사단 (파도 부대)
    • 50 향토 보병 사단 (강철 부대)
    • 53 향토 보병 사단

 

 

-3 야전군-

  • 1 방공 포병 여단
  • 1101 공병단
  • 1173 공병단
  • 1175 공병단
  • 2 군수 지원 사령부
    • 5 보급대
  • 3 군수 지원 사령부
  • 수도 군단 (충의 부대)
    • 수도 포병 여단
    • 103 보병 여단
    • 100 통신 여단
    • 700 특공 연대
    • 17 보병 사단 (번개 부대)
  • 1 군단 (광개토 부대)
    • 2 기갑 여단 (충성 부대)
    • 1 공병 여단
    • 101 통신 여단
    • 11 항공단
    • 701 특공 연대
    • 301 경비 연대
    • 1 포병 여단
      • 2 야전 포병단
      • 3 야전 포병단
      • 7 야전 포병단
    • 1 보병 사단 (전진 부대)
    • 9 보병 사단 (백마 부대)
      • 101 보병 여단 (2007년 12월에 9사단 예하로 편입)
    • 25 보병 사단 (비룡 부대)
    • 30 기계화 보병 사단 (필승 부대)
    • 72 동원 보병 사단 (올림픽 부대)
 
5 군단 (승진 부대)
  • 1 기갑 여단 (전격 부대)
  • 5 공병 여단
  • 105 통신 여단
  • 15 항공단
  • 705 특공 연대
  • 305 경비 연대
  • 5 포병 여단 (승진포병 부대)
    • 1 야전 포병단
    • 5 야전 포병단
    • 8 야전 포병단
  • 3 보병 사단 (백골 부대)
  • 6 보병 사단 (청성 부대)
    • 2 보병 연대
    • 7 보병 연대
    • 19 보병 연대
  • 8 보병 사단 (오뚜기 부대) - 2010년에 기계화될 예정.
  • 6 군단 (진군 부대)
    • 5 기갑 여단 (철풍 부대)
    • 6 공병 여단
    • 106 통신 여단
    • 16 항공단
    • 706 특공 연대
    • 306 경비 연대
    • 6 포병 여단
      • 6 야전 포병단
      • 9 야전 포병단
    • 5 보병 사단 (열쇠 부대)
    • 26 기계화 보병 사단 (불무리 부대)
    • 28 보병 사단 (무적태풍 부대)
  • 7 군단 (북진선봉 부대)
    • 7 포병 여단
    • 7 공병 여단
    • 107 통신 여단
    • 17 항공단
    • 7 강습 대대
    • 수도 기계화 보병 사단 (맹호 부대)
    • 20 기계화 보병 사단 (결전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