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자료468 21세기 전쟁수행 개념에 따른 한국 해병대의 발전 방향 정규성 (자유기고가) 최근까지 한국군은 걸프전의 교훈을 한반도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많은 전략, 작전술 개념을 혁신시켜 왔다. 불과 2년전까지만 해도 입체고속기동전이 매우 훌륭하게 창안된 합동교리로 인식되어 왔으나 21세기에는 선진국 수준의 군대 운용 개념이 요구되고 더욱 정예화된 인적, 물적 자원으로 전략형 군 건설을 위해 한국군의 21세기 전쟁수행 개념과 지상군 전략, 합동전장 운영 개념, 다차원 동시통합전투 등의 교리로 작전에서 교육에 이르기까지 크게 변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IMF 사태를 계기로 군에도 영향을 주게 된 효율적인 군 경영의 필요성으로 가용한 자원과 제한된 전력으로도 향후 전투력을 더욱 고양시키는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세계적으로는 탈냉전이 가져다 준 여파로 지상군의 현격한 감축.. 2022. 11. 3. 21세기 한국군 운용에 절대적인 해병대의 전략적 가치 21세기 군사연구소 미래 전쟁의 요소를 보여준 걸프전 발발이 엇그제 같은데 내년 8월이면 사막의 방패 작전이 개시된 지 벌써 10년째가 된다. 본 연구부는 21세기 군사력 건설 과제의 해설에서 많은 소재 중 걸프전을 주로 인용해 왔으며, 주된 이유는 바로 걸프전이 21세기 전자정보전을 미리 실증했기 때문이다. 당시 한국에는 민간 부문에서 286 컴퓨터가 나와 기업체와 학계에서는 매우 신기하고도 획기적으로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군에서는 겨우 전동 타자기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때였다. 불과 10년 사이에 많은 것이 변하고 국제정치적으로는 탈냉전이 가져다 준 큰 여파로 세계의 군대와 군사력의 판도는 대대적인 군축의 시대에 들어갔고, 미군은 RMA를 실천하며 병력과 국방비 감축하에서도 세계 .. 2022. 11. 3. 꼭 보아야 할 해병대 영화 TAKING CHANCE 2022. 11. 2. 이전 1 ··· 29 30 31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