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투시기 : 1950.9.19-9.21
● 전투지역 : 행주나루 ● 주요지휘관 : 알몬드(Almond) 소장 ● 참고문헌 : 한국전쟁사(국방부), 한국전쟁사(전쟁기념사업회) |
||||
상 세 설 명 | ||||
1. 서울 탈환작전 개요
한국전쟁에 있어서 큰 전환점을 이룬 역사적인 인천 상륙작전은 제 10군단의 공격부대인 미 해병대와 한국 해병대에 의해 1950년 9월 15일 감행되었다. 미 해병상륙단이 저항하는 적을 무찌르고 인천 동쪽 외곽에 설정된 교두보로서의 진격을 계속하는 동안 한국 해병대는 인천시내의 잔적섬멸 작전을 담당하고 있었다. 일단 인천시를 포함한 교두보를 확보한 상륙군은 곧이어 서울탈환 작전에 돌입하고 미 해병 1연대는 경인(京仁)가도의 우측지역을, 그리고 미 해병 5연대는 동 좌측지역을 각각 담당하고 서울을 향하여 진격하게 되었다. 한편 한국해병대는 16일 저녁 2대대를 계속 인천 시내의 잔적섬멸 작전에 임하게 하고 자리를 옮겨 미 해병 5대대의 좌측에 포진한 후 17일 수차에 걸쳐 적의 역습을 물리치면서 김포반도의 잔적(殘賊)을 섬멸하였다. 미 해병 제1연대가 18일 소사(素砂)를 탈환한 다음 영등포를 향하고 있을 때에 미 해병 5연대와 한국해병 1연대와 2연대는 행주(幸州)쪽으로 한강을 도하하라는 명령을 받고 19일에 그 준비를 서둘렀다. 19일 야간을 이용한 도하작전은 미리 알게된 적의 반격으로 실패로 돌아가고, 20일에 도하를 강행하는데 성공하여 능곡에서 수색 방향으로 적을 압박하였다. 17일 뒤늦게 상륙한 미 제 7사단이 미 제 1연대의 남쪽을 차단하고 엄호하는 가운데 미 해병 1연대는 영등포로 진격을 계속하고 격전을 거듭하였다. 최초 서울 서측방을 공격하기 시작한 미 해병 5연대와 한국 해병대는 서울을 사수하려는 북한군의 필사적인 저항에 부딪쳐 연희고지(延禧高地) 일대의 능선상에서 격전이 전개되어 그 전진 속도는 둔화되었다. 그러나 아군의 선전으로 적의 보루는 무너지고 24일에 이르러 연희고지 일대의 능선을 점령하였다. 또한 많은 고전 끝에 영등포를 점령하고 미 보병 제 7사단의 일부가 수원으로 남진하고 있을 24일에 미 해병 1연대는 마포쪽으로 한강을 도하하여 미 해병 5연대 우측에 배치되었는데 이때에 또한 미 해병 7연대도 21일 사령부와 함께 인천에 상륙한 다음 미 해병 5연대 좌측방에 배치되었다. 제 10군단장 알몬드(Almond) 소장은 서울 서측방에서 미 해병대가 고전하자 25일 미 보병 제7사단 예하 32연대와 한국 육군 17연대를 서빙고 쪽으로 도하시켜 서울을 북서쪽과 남동 쪽에서 포위하는 태세를 갖춘 다음 일거에 시내 돌입작전을 전개하였다. 서울 공략의 주공부대인 미 해병대와 한국 해병대는 서울 서측방에서 25일까지는 완전히 능선 일대를 확보하였고 일부 부대는 벌써 서울시에 진입하였다. 북쪽은 미 해병 7연대와 한국 해병 5대대이고, 중앙은 미 해병 5연대와 한국 해병 1대대인데 이때에 남쪽은 미 해병 1연대와 한국 해병 2대대가 배치되어 마치 반원모양의 궁형(弓形) 태세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25일 밤 미 보병 제 32연대와 한국 육군 제 17연대가 남산을 점령하였을 때 공격을 개시한 미 해병대와 한국 해병대는 서대문 방면과 마포 일대에서 공세를 취하였으나 적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이를 격파하는 동안 전진은 불가하였고 26일 아침까지도 변동은 없었다. 다만 원효로와 삼각지 일대를 담당한 한국 해병 2대대가 국부적인 적의 저항을 물리치고 그 일대를 확보하였을 뿐이다. 26일 전투는 철수를 위해 시간을 얻기 위한 적의 지연전술을 분쇄하는 전투였다. 적은 수많은 바리케이드와 지뢰를 매설하고 아군의 진격을 막았으나 아군의 선전으로 저녁에는 서울의 3분의 1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국 해병대는 27일 아침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였으며, 또한 서울시 일원의 잔적을 완전히 섬멸, 29일에는 오랫동안 고대하던 환도식을 거행하였다. 여기에서 한국군 제 17연대는 한국 해병과 임무를 교대하여 서울시 경비에 임하고 미 해병대가 경의가도(京義街道)와 경원(京元)가도를 따라 진격하는 동안 한국 해병대는 경춘(京春)가도를 따라 진격하였다. 이것은 서울 탈환 후 내륙 외곽에 방어선을 구축하기 위한 진격이었는데 10월 3일 미 해병대가 의정부에, 한국 해병대가 북한강에 진출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였다. 경춘가도를 따라 진격한 한국 해병대는 금곡을 점령하고 북한강에 이르렀다. 한편 제 10군단의 일부 부대인 미 제 7사단 31연대는 북상하는 제 8군과의 연계작전을 위해 남진하여 서울이 완전 탈환되기 전 26일 수원 남쪽에서 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었다 2.행주지역 한강 도하작전 대규모의 상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이상, 인천에서 불과 32킬로미터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수도 서울을 아군이 되찾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에 지나지 않았다. 인천에 상륙하여 해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 제 10군단장 아몬드 소장은 상륙 사흘 뒤인 9월 18일 미 해병 1사단에게 전과를 확대하여 서울을 공격, 탈환하라는 명령을 하달했다. 이에 따라 미 해병 1사단장 스미스 소장은 9월 19일 김포반도 일대를 점령하고 있던 해병 5연대로 하여금 바로 그곳에서 적절한 도하지점을 찾아내어 한강을 건너가도록 하는 한편, 그 오른쪽의 해병 1연대로 하여금 영등포 이남 지역에서의 작전에 관한 책임을 미 제 7사단에게 넘겨주는 대로 한강선으로 되짚어 올라와 한강을 건널 준비를 갖추라고 명령했다. 북한군은 “서울지구 방위사령부” 예하에 제 25여단, 제 9사단 87연대와 더불어 제 18사단의 일부를 배치하는 한편, 시민들을 끌어내어 거리 곳곳에 모래주머니와 철조망으로 장애물을 쳐놓고 아군을 기다렸다. 아군의 작전 계획에는 인천 상륙 후 닷새째인 20일에 한강을 건너기로 되어 있었다. 미 해병 1사단은 김포 비행장을 점령한 다음 행주나루와 영등포를 향해 진출했다. 맥아더 사령부에서 인천 상륙 계획을 짜고 있을 무렵, 맥아더 원수는 아몬드 소장에게 “인천에 올라선 지 닷새 안에 장군은 서울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오.”라고 말한 바 있었다. 그때 아몬드 소장은 “그건 어렵습니다. 하지만 두 주일 안에 서울을 점령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대답했었다. 맨 먼저 한강을 건넌 해병 5연대대는 19일 저녁 행주산성을 건너다보는 한강 남쪽 물가에서 14명의 수영 도하반을 편성했다. 8시 정각에 도하반은 물을 건너기 시작하여 곧 대안에 닿았다. 상륙용 궤도차량(LVT)을 대기에 적당한 곳이었다. 강변에 우뚝 솟은 125고지(행주산성)를 점령하기 위해 다섯명을 올려 보냈으나 이들은 꼭대기에 조금 못미치는 곳까지 무사히 올라갔다가 그냥 되돌아 내려왔다. 도하반은 본대에 신호를 보냈다. 수색중대는 9대의 수륙양용차량을 물에 띄어 도하를 개시했다. 그 중 8대가 중간쯤에 갔을 때, 갑자기 북쪽에서 북한군의 박격포와 기관총 사격이 날아오기 시작했다. 물을 건너던 차량들은 방향을 틀어 되돌아왔고, 그로부터 한 시간쯤이 지나서 도하반도 돌아왔으나 세 사람이 다치고 한 명은 행방불명이었다. 그 이튿날인 20일 아침, 해병 5연대는 125고지와 그 언저리에 맹렬한 공격준비 포격을 퍼부은 다음 06:45시부터 제 I중대를 앞세워 적전 강습도하를 개시했다. 125고지에서 날아오는 적의 사격으로 제 I중대는 적지 않은 피해를 입었으나 09:40시에 이 고지의 꼭대기에 올라섰고, 그 뒤를 따라 제 3대대의 병력을 싣고 온 궤도차량들은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뭍에 오른 다음 곧장 능곡 쪽으로 달려나가 경의선 철길을 가로막았다. 거기서 제 3대대는 궤도차량에 탄 채 방향을 동남쪽으로 꺾어 철길을 따라 서울로 향했다. 제 2대대도 10시부터 물을 건넌 다음 제 3대대가 점령한 지역을 거쳐 앞으로 나아갔다. 이날 저녁까지 해병 5연대와 이에 배속된 한국 해병 2연대는 12대의 전차와 함께 도하를 마쳤다. 공병대는 강물 위에 부교를 이어매기 시작했다. 21일 새벽 해병 5연대는 북한군 1개 중대규모의 역습을 물리친 다음, 한강의 하류와 거의 나란히 뻗어 있는 경의선 철길과 도로를 따라, 수색쪽을 향해 내려가기 시작했다. 서울의 변두리에 다가서면서 적의 저항은 점점 강화되어 갔다. 미 해병 3대대는 철길 북쪽의 104고지를 탈취하여 한국 해병대에 넘긴 다음, 거기서 동북쪽으로 방향을 꺾어 296고지(안산)를 향해 나아갔다. 296고지는 서울 시가의 서북쪽 구석에 자리 잡고 있었다. 한편 미 해병 1대대는 철길과 도로의 남쪽에 있는 작은 언덕들을 차례로 점령한 다음 서강 마을 가까이에 다가섰다. 그곳에서 용산역은 3마일이 채 안 되는 거리였다. 이날 저녁 해병 5연대는 남북으로 길게 늘어선 한줄기의 작은 산맥에 부딪쳤다. 크고 작은 고지들로 이어진 이 산맥은 서울의 서쪽 변두리를 감싸안듯이 병풍처럼 둘러서 있었다. 미 해병대는 이 산맥의 발치에서 그날 밤을 넘겼다. 이 산맥이야말로 북한군이 서울을 고수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쳐놓고 있던 난공의 장벽으로서 이를 넘어 서울로 들어서는 데에 나흘 동안 혈전이 기다리고 있음을 아군은 알 리가 없었던 것이다. |
'해병대 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병대 전투 - 마산 서측방 정찰전 (0) | 2022.12.17 |
---|---|
사진으로 보는 마산방어전 (1) | 2022.12.17 |
미 해병대 이오지마 전투 (0) | 2022.12.15 |
인천상륙작전 (0) | 2022.12.14 |
미해병대 장진호 전투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