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병대 전투

해병대 전투 - 동해 도서작전

by 충실한 해병 2022. 11. 28.

한국전쟁 동안 해병대는 부대의 특성을 활용하여 38도선 이북 동.서해안의 전략 도서 확보 작전으로 적 해안을 봉쇄하고 적 후방을 위협하며, 첩보 수집 및 유엔군의 해군 활동을 보장하는데 기여하였다.

해병대는 동해안 도서 확보를 위하여 1951. 2. 2. 독립 제42중대를 편성하여 1951. 2. 14 원산 앞 여도에 상륙하여 영흥만 일대의 신도 등 7개 도서를 점령하고 원산항을 봉쇄하였다.

1951. 8. 28. 독립 제43중대는 함경북도 명천 부근의 양도에 상륙하여 차기작전 대비 중, 적 상륙기습부대 1개 대대공격을 완전 섬멸하는 전공을 세웠다. 한편 서해안 도서 확보를 위하여 1951. 4. 2 독립 제41중대를 편성하여, 서해안의 교동도(4월 2일), 백령도(4월 23일), 진남포에 인접한 석도(5월 7일)에 각각 상륙하여 해안선을 봉쇄하였다. 1952. 1. 15 해안선 봉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로 해병 도서부대를 편성하여 제7대대를 서해도서인 석도 및 초도에 주둔케 하고, 제9대대를 백령도 및 연평도에 증강 배치하였고 제8대대를 동해도서인 여도 및 양도에 주둔케 하여 휴전 시 까지 약 1개 연대 규모의 병력이 전략도서 확보 작전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작전은 휴전 뒤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 6개 도서를 아군 통제 아래 두는데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여, 국가 안보에 전략적 가치를 부여하였다.


*** 해병대 도서작전 주요 연표
여도 상륙 : 1951.2.14

도서작전을 위한 독립중대 창설 (독립41중대, 42중대, 43중대) : 1951년 3월
서해: 독립41중대, 동해: 독립42중대, 43중대

교동도 상륙 : 1951.4.2
석도 상륙 : 1951.5.7
연평도 상륙 : 1952.1.18
초도 상륙 : 1952.1.22
백령도 상륙 : 1952.1.25
양도 상륙 : 1951.8.28
양도 전투 : 1952.2.20

해병대 도서부대 증개편 (독립 41중대,42중대,43중대 흡수) : 1952년

휴전협정에 따라, 북쪽 도서에서 해병대 철수 : 1953년 7월




(2) 동해 도서작전 - 해상봉쇄및 양도작전

독립 제41중대가 서해 연안에서의 적군 봉쇄와 주요 도서지역 확보를 위한 임무에 주력하고 있던 시점에 동해 연안지역에서는 제42,43중대가 활약 중이었다. 이들 부대도 서해에서와 마찬가지로 해상에서 공산군의 후방을 교란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중국군의 참전 기세가 아직 꺾이지 않고 있던 1951년 1월 16일 북한의 동해안 최대 항구인 원산의 동쪽 해안에 위치한 몇몇 도서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적군이 여도에 90명의 병력을 보냈을 당시 이 지역의 의용청년들에 의해 격퇴된 바 있는데, 곧 해군 경비정 801,505호 그리고 미 소해정 등이 도착하여 기뢰제거와 함포 사격을 가하면서 적의 재침입을 막으려 했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없었다. 이에 해군은 아예 여도 등지에 해병대를 상륙시키고, 원산 연안을 봉쇄하여 이를 해결한다는 방침을 세우게 된다.

그리하여 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수색대원 10명을 포함한 제42중대 병력 일부가 중대장인 심희택 중위의 지휘 아래 경비정 801호에 탑승, 먼저 여도를 향해 갔다. 수색 결과 적의 존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자 다음날인 2월 14일 오후 해군 경비정 2척과 미 구축함 및 상륙함 등 11척의 함선이 지원하는 가운데 독립 42중대의 제1,제2,제3소대가 차례로 여도에 무혈 상륙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제42중대는 여도에 상륙한 이후 신도와 갈마반도의 적군으로부터 포격을 받게 되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월 24일 두 차례에 걸친 상륙으로 신도를 점령해 버렸다.

제42중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2월 25일에는 대도, 3월 14일 원산에서 가장 가까운 황토도에 각각 상륙하여 원산 일대의 봉쇄를 착착 진행시켜 나갔다. 특히 황토도에서는 3월 14일 상륙 성공 이후 5월 23~24일과 11월 29일에 적의 역습을 받기도 했으나 해병대원들은 역투 끝에 이들 격퇴해냈다,

11월 29일의 전투 당시 황토도에 배치된 대원들은 적 15명을 사살하고 11척의 목선(木船)을 노획하는 전과를 거두었지만, 소대장 이장원 소위 등 7명의 사상자를 내는 인명손실을 겪었다.

이와 같은 해병 제42중대의 활약으로 원산 연안의 주요 도서들은 해병대의 손에 들어갔으며, 북한에 대한 동해안 봉쇄는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 결과 국군과 UN군의 해군함정들은 손쉽게 공산군의 연안 진지들을 향해 함포사격 등의 공격을 가하면서 적 후방을 타격할 수 있었고, 수시로 정찰활동을 펼치기 유리한 위치를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이 공산군의 보급과 후속 전력지원 능력 저하를 강요하여 국군과 UN군의 재반격을 용이하게 했음은 물론이다.

1951년 8월 국군과 UN군은 원산 봉쇄의 성공에 이어서 동해안 일대의 북한 봉쇄지역을 보다 이북으로 넓히고자 했다. 목표로 지정된 곳은 함경북도 명천군 상가면 내륙에서 약 4km 떨어진 양도라는 섬이었다. 이 섬은 길주 양도, 명천 양도, 그리고 강후 이도 등의 3개 섬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맞은편의 해안에는 1개 중대 규모의 북한군 병력이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그와 인접한 해안선 일대에도 상당한 규모의 부대가 해안경계를 담당 중이었다.

양도 점령작전의 중책은 신설된 독립 제43중대가 맡게 되었으며, 지휘관은 최청송 중위였다. 8월 28일 오전 4시 30분 제43중대는 별다른 적의 저항을 받지 않고 양도상륙작전을 완료해냈다. 상륙 당시 양도의 주민들은 100명 내외로 대부분 영세 어업으로 생업을 잇던 노약자 및 부녀자이었다. 하지만 적군은 자신들의 동해안 최북단 가운데 하나에 해당하는 양도를 순순히 해병대에 넘겨 줄 생각이 없었다. 제 43중대는 상륙 이후 심심치 않게 맞은 편 해안에 위치한 북한군 부대의 박격포 사격을 받았으며, 특히 북한군 총사령부 직속의 독립 제63보병연대가 이곳에 교대 배치되면서 저항은 더욱 커졌다. 다행히 국군과 UN군의 강력한 함포사격 지원 덕분에 그때마다 적군의 저항을 제압할 수 있었다.

그러던 1952년 2월 18일 1개 대대 규모의 북한군 부대가 양동에 기습상륙을 위해 출발했다. 이들은 북한군 제63연대 소속의 정예 고참병들로 함경북도 부령군에서 1개월 동안의 상륙훈련을 받은 후 나진 해안에서 추가로 9일간 실전훈련을 받은 자들이었고, 실전훈련이 끝난 직후 양도와 바로 반대쪽 해안인 명천군 하가면의 사포동에 도착했던 것이다.

이들은 52척의 목선과 2척의 발동선(發動船)에 탑승하여 양도로 향했으며, 2개조로 나뉘어 각각 길주 양도와 명천 양도 해안에 상륙하려 했다. 2월 20일 오전1시 30분 북한군의 105mm, 120mm 박격포가 발포되면서 전투는 시작되었다. 당시 제43중대는 3개 소총중대와 1개 화기소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었으며, 그 외에 30~50명의 육, 해군 첩보부대원이 활동 중이었다.

적의 공격이 확인된 직후 중대장 최청송 중위는 즉시 부대에 전투배치를 지시했으나 전투 초기 적군의 기세는 대단했다. 해병대원들의 침착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적 병력은 길주 양도의 70고지와 명천 양도의 47고지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마구 환성과 만세를 외치며 기고만장해 했다. 이때 해병 제43중대는 고지 주변에 있던 섬 내부의 동굴 속에 진을 치면서 자신들의 존재를 적에게 숨기고자 애썼고, 날이 밝은 후 본격적인 반격을 시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대장 최청송 중위도 각소대에 '진지 사수'와 '정면에 등장하는 적은 사살할 것' 이외의 적극적인 활동은 금지시켰다. 이처럼 철저한 방호 노력 덕분에 적은 집요한 수색 시도에도 불구하고 제43중대의 존재를 찾지 못한 채 70고지 밖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다. 명천 양도의 47고지에서는 적군이 진지 근방에서 아군을 가장하여 대원들의 이름을 호명하는 기만술을 펼치기도 했다. (적군이 양도 주민들에게 당시 주둔중이던 해병대원들의 이름을 요구, 확인한 결과였다.) 하지만 이미 지리산, 제주도 등지에서 공산 게릴라들을 상대한 경험이 있던 해병대원들에게는 그 정도의 심리전이 통하지 않았다. 오히려 적군의 목소리가 들리는 방향으로 집중사격을 퍼부어 응수할 정도였다.

이처럼 북한군 부대는 기습상륙 이후 고지를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병 제43중대의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섬 전체를 장악하는 데 실패했으며, 수색을 벌일 때마다 계속 해병대원들의 저항으로 병력 손실이 계속되면서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했다.

결국 이날 새벽 5시 20분 적군은 철수를 위해 선박들이 위치해 있던 상륙지점으로 돌아가려 했다. 제43중대가 기다리던 반격의 기회가 온 것이었다. 적의 퇴각을 발견한 뒤 즉시 적 병력이 타고 온 선박들에 모든 화력을 집중하였고, 때마침 양도 동북쪽에 나타난 UN군의 구축함도 함포 사격을 가해 합세하면서 적들의 상륙 선박들은 남김없이 파괴되었다. 돌아갈 배를 잃은 적군은 꼼짝없이 해병대원들의 표적이 되었고, 길주 양도의 70고지도 제2,제3소대의 반격이 아침 7시부터 개시되면서 오전 10시 30분 완전 확보되었다. 이로써 양도 전투는 해병 제43중대의 승리로 마무리된 것이다.

이 전투에서 제43중대는 적군 83명을 사살하고, 73명은 선박 탑승 후 도주 중에 익사시켰으며, 포로 14명(선원 8명 포함)을 생포하고, 15척의 적 선박을 격침시키는 한편 박격포 3문과 기관총 7정 그리고 소총 62정을 노획하는 혁혁한 전과를 거두었다. 대신 해병대원 8명이 전사하고, 2명이 실종되는 희생을 치렀다.

전투를 승리로 이끈 중대장 최청송 중위는 은성을지훈장을 받았으며, 전공자 40명 가운데 10명에게는 충무무공훈장 그리고 나머지 30명에게는 화랑무공훈장이 각각 수여되었다. 미국 정부도 최 중위와 제1소대장 이영덕 병조장, 박격포반장 정진영 이등병조 등에게 은성훈장, 그리고 선임장교 황병호 중위에게 동성훈장을 수여하여 경의를 표했다.

이후 1952년 10월 1일 내려진 해병 도서부대의 개편 방침에 따라 원산 연안에 배치중이던 제42중대와 양도의 제43중대는 각각 여도, 양도부대로 개칭되면서 계속적으로 동해안에서의 적 보급차단 및 연안봉쇄를 위한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던 1953년 7월 말에 휴전이 이루어지자 대부분 휴전선 이북에 위치해 있던 이들 병력은 진해로 철수, 새로 창설된 제2연대에 합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