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병대 역사53

해병대 역사 - 짜빈동 전투(’67.2.14~2.15) 짜빈동 작전(’67. 2. 14∼2. 15) 짜빈동 작전(1967. 2. 14. 23:20 ~ 1967. 2. 15. 07:24)은 청룡부대 3대대 11중대가 1967. 2. 14. 23시 20분 손틴군 짜빈동에서 월맹정규군 제2사단 제1연대와 21연대 및 지방 게릴라 1개대대가 인해전술로 파상적 기습공격을 하였으나 제11중대 장병들은 전술기지에 구축한 외곽과 내곽방어선으로 연하는 교통호를 이용하여 일제 사격과 수류탄 및 크레모아 폭발로 침입하는 적을 격퇴하였다. 한때는 제3소대의 진지가 돌파되어 치열한 진내 육박전까지 전개하였지만‚ 지원화기의 적절한 운영‚ 역습부대의 과감한 공격으로 4시간의 사투끝에 적의 주력을 격멸하고 전술기지를 방어하였다. 이 전투결과 한국 해병대는 막강한 전투력을 전 세계에 과시..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추라이지역 작전(’66.8.18~‘67.12.21) 추라이(Chu Lai)지역 작전(’66. 8. 18∼’67. 12. 21) 월맹군의 주요한 해상 침투로인 동시에 연합군의 최대 보급기지인 다낭 비행장과 월남군 1군 지역 배후에서 위협하는 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1966. 8. 16 북극성 작전을 전개‚ 추라이지구(쾅나이성)로 이동한 청룡부대는 황금‚ 비봉‚ 용안‚ 투망‚ 강구‚ 짜빈동‚ 뇌룡‚ 용머리‚ 테로이 매복‚ 용화 작전 등 수많은 작전을 수행하여‚ 추라이지구 내 전술 책임지역을 확보하였다. 특히 짜빈동 작전에서 월맹 정규군 2개 연대 병력의 야간 기습공격을 받고도 육박전‚ 역습 등을 실시하여 4시간 동안 사투 끝에 적을 격퇴하고 적 사살 243명의 대전과를 올려‚ 월남전 사상 중대 규모로 최대의 전승 기록을 남겼다. 이 전투로 중대원 사병 전원이 ..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해풍작전(‘66.7.22~8.17) 해풍 작전(’66. 7. 22∼8. 17) 추라이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일명‘뚜이호아 고별작전’으로 적은 휴송평야와 연접된 고지일대에 분산 칩거하여 소규모 게릴라 전법으로 활동하였다. 청룡부대 제1대대와 제3대대는 1965. 7. 22일부터 27일간 지역일대를 수색 및 탐색하여 적을 소탕함으로써 뚜이호아 지역의 안정과 평화 재건을 위한 기반을 구축함과 동시에 지역 내 1번 도로변의 잔적을 소탕하고 미 건설 공병대의 항만 및 교량건설과 비행장 건설공사를 완공토록 보호하였다. 특히‚ 귀순자의 첩보에 따라 1965. 8. 11 뚜이호아 서쪽 14Km 지점에서 실시한 기습 작전과 적극적인 탐색작전에서 베트콩의 동굴을 탐색하던 청룡부대 제3대대 정보장교 이인호 대위가 보여준 숭고한 희생정신은 전 국군의 귀감이 ..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뚜이호아지역 작전(‘65.12.16~’66.8.17) 뚜이호 아(Tuy Hoa)지역 작전(’65. 12. 16∼’66. 8. 17) 나트랑 서북쪽에서 번개 작전을 수행하였던 청룡부대는 ‘뚜이호아’로 이동하여‚ 1966. 1. 1 청룡1호(여단급) 작전을 전개하여 공산군의 해상 보급 추진의 요람인 ‘봉로’만 일대에 준동하는 월맹 정규군 약 1‚500명을 완전 소탕하여‚ 월남의 대동맥인 1번 도로를 개척하고 월남 곡창지대의 하나인 뚜이호아 평야를 평정하였다. 그 뒤 약 1개월 동안 뚜이호아 서남부 평야에서 주민들과 피난민 추수 보호를 위한 청룡 2호 작전을 수행하였고‚ 1966. 2. 22부터 약 5개월 동안 양민 보호‚ 촌락 재건 등을 위한 재건 작전을 수행한 뒤 ‘봉로’만 부두시설과 1번 도로 개척 및 미군 공대의 교량 복구 보호를 위한 해풍작전에서 제3대..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캄란지역 작전(‘65.10.9~11.14) 캄란지역 작전(’65. 10. 9∼11. 14) 청룡부대는 1965. 10. 19 미 제1공수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캄란’만 일대의 전술 책임 지역을 인수하였다. 1965. 10. 21 제2대대는 워싱턴 작전을 전개하여‚ 판랑의 6Km지점인 부숑 비행장 전술기지의 확장공사에 따른 방어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1965. 11. 4 백경(까투산) 작전을 실시하여 부숑 비행장을 위협하는 까투산의 적을 소탕함으로써‚ 18년 동안 베트콩의 아성으로 군림한 까투산을 탈환하였다. 그 뒤 제3대대는 번개 1ㆍ2ㆍ3호 작전에서 1번 도로를 위협하는 베트콩을 완전소탕‚ 나트랑 서북쪽 산악지역과 나트랑 비행장을 안전하게 확보하여‚ 적의 위협을 제거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청룡부대 창설(’65.9.20) 청룡부대 창설(’65. 9. 20) 공산군의 위협에 대처하고 있는 자유 우방국으로서 공동 운명체의 사명감을 느껴‚ 동남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수호하는데 기여하고‚ 한국전쟁 시 자유 우방 국가들은 은혜에 보답하며‚ 지구상의 모든 공산세력을 소탕하여 자유와 정의를 이룩하는 세계적인 사명과 의의를 가지고‚ 5천년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 파병을 결정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비는 해병대 1개 여단을 포함한 육군 1개 사단의 파월을 결정하였다. 1965. 6. 28 국방부 훈령 1호에 따라‚ 초대 여단장에 이봉출 준장이 임명되었다. 해병대 전투명령 제1호가 하달됨에 따라‚ 1965. 9. 20 경북 포항기지에서 제2연대를 기간으로 해병 제2여단을 창설하여 박정희 대통령 참석아래 전 국민이 축복하며 성원을 보내는 가운..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해병대 월남전 파병(‘65.10.9) 해병대 월남전 파병(’65. 10. 9) 1964. 8. 3 정부와 국회는 공산 침략에 직면한 자유월남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군의 월남 파병을 결정하였다. 해병대는 1965. 9. 20 제2여단 청룡부대를 창설하여‚ 우리나라 5천년 역사상 전투부대로서 최초로 이 부대를 외국 원정군으로 파월하였다. 1965. 10. 9 캄란에 상륙한 청룡부대는 뚜이호아지구‚ 추라이지구‚ 호이안지구 전투를 수행하면서‚ 6년 4개월 동안 짜빈동 작전 등 수많은 전투를 통하여‚ 조국의 명예와 해병대의 용맹성을 발휘하여 ‘신화를 남긴 해병대’의 전통을 수립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상륙전기지 사령부(‘67.5.16) 상륙전 기지 사령부(’67. 5. 16) 해병 포항기지를 기간으로 1967. 5. 16대통령령 제 3‚071호에 의거 창설된 상륙전 기지 사령부는 포항기지의 경비(전시 1개 RLT편성)를 담당하며 1971. 7. 1 예비군 훈련연대(제 21‚ 22‚ 23연대)를 예속하여 예비역의 동원과 관리‚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전략기동부대 예비대로서 언제든지 출전 가능하도록 준비하며‚ 상륙전 훈련에 필요한 교장시설 및 수용시설을 관리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교육기지 사령부(’67.5.16) 교육기지 사령부(’67. 5. 16) 재진부대 행정 및 근무지원 임무를 위하여 1959. 2. 1 국본 일명(해) 제50호에 의거 해병교육단에서 증편된 진해기지는 1967년 5월 16일 대통령령 제3‚070호에 의거‚ 해병교육기지사령부로 개편되어‚ 해병대 장병의 각종 특기교육과 사관‚ 하사관 후보생‚ 신병에 대한 기초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다. 해병학교‚ 상륙전학교(1971. 7 창설)‚ 신병훈련소‚ 상남 보병훈련연대 및 통신교육대(1967. 9 설치)‚ 사격장 관리대 등을 지휘 · 관리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제5해병여단(’66.11.23) 제5해병여단(’66. 11. 23) 해병대는 제1사단 제2연대를 기간으로 제2여단(청룡부대)을 편성하여 파월함으로서 제1사단이 전략기동예비대로서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심각한 상태였다. 해병대 임무 수행 능력 보강을 위하여 5‚470명의 병력이 보충되어 건군사상 최초로 30‚430명으로 증강된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해병대는 증강된 병력으로 1966. 11. 14 제5연대를 신편하여 이 부대를 기간으로 1966. 11. 23 새로운 전투여단인 제 5여단을 창성하고 8년 동안 김포반도에서 휴전선을 지킨 제1임시여단과 1967. 1. 23일 부대 교대함으로서‚ 서부전선 수도권방어력을 보강하였다. 제1임시여단은 수도권방어 임무를 마치고 제1사단으로 복귀하여 제1사단은 전투력 정비가 강화되어 전략기동 예비..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지휘참모대학(’64.1.1) 지휘 참모대학(’64. 1. 1) 1964. 1. 1창설된 해병참모지휘학교는 1967. 7. 1 국본 일명(해) 제9호에 의거‚ 해병 지휘참모대학으로 개편되어‚ 대학반‚ 고등군사반을 운영하였다. 해병대 위관 및 영관 장교에게 사단급 이상 부대의 지휘관 및 참모의 직능 수행에 필요한 지상전 및 상륙전에 관한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항공대(‘58.3.1) 항공대(’58. 3. 1) 해병대 항공대는 제1사단 항공대(1958. 3. 1창설) 및 제2여단 항공대(1965. 9. 20창설) 그리고 제5여단 항공 관측대(1963. 3. 18창설)를 운영하다가 1971. 5. 5 해병대사령부 항공대를 창설하여 휴전선 및 상륙/지상 작전 시 첩보 획득과 탐색 및 정찰 지원을 하였고‚ 월남전 시에는 근접 항공 지원‚ 탐색 및 정찰 그리고 사탄 유도를 하였다. 1971년도에 사령부 전용 운항 및 계류 시설을 설치하였고‚ 1972년도에 신촌리 비행장에 부지 8‚700평을 매입하여‚ 격납고 및 내무실을 신축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상남보병훈련연대(‘57.1.23) 상남보병훈련연대(’57. 1. 23) 1957. 1. 23 해병 교육단의 상남야외훈련대를 창설하여‚ 강하고 힘있는 최고의 군인을 양성하는 실전적 야외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1964. 1. 1 ‘해병 상남보병훈련대’로 개칭한 뒤 1969. 9. 1 해병 교육기지사령부 상남 훈련연대로 증 · 개편되었으며‚ 1973. 9. 1 국방부 훈련 제 157호에 의거‚ 해병 상남훈련연대가 해체되면서 해군 교육단에 인계되었고‚ 1977. 1. 1 까지 20년간 20여 만명의 해병대 장병을 양성하였다. 상남지역(현 창원시)의 산야는 해병대 전술교육장으로 34만평의 부지에 상남훈련연대 본부 (현 용호동 롯대아파트)‚ 각개 전투 및 침투 사격장‚ 수류탄 교장(현 일동아파트)‚ 중 · 소대 전술훈련장 (현 반송아파트)‚ 각종..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교육단창설(’53.2.1) 교육단 창설(’53. 2. 1) 한국전쟁 직후 1953. 2. 1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편성된 해병 교육단은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하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식 교육훈련으로 강인한 해병을 창출하는 산실 역할을 수행하였다. 2022. 11. 14.
해병대 역사 - 보급정비단 창설(‘55.6.1) 보급정비단 창설(’55. 6. 1) 1955. 6. 1 창설한 보급정비단은 해병대 전 부대에 대한 독자적인 보급 및 정비지원을 위하여 각종 보급품의 청구ㆍ획득ㆍ저장 및 불출에 관한 전기능과 해병대 군수물자의 3‚ 4단계(LVT는 4. 5단계)정비를 담당하였으며‚ 전시 작전부대를 위한 전방전투근무단을 편성하여 전투근무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차량‚ 공병‚ 통신‚ 정비교육과 병참 물자의 생산(LVT 재생) 및 기술검사‚ 이동정비를 실시하면서 무기‚ 장비‚ 물자의 폐품처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2022.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