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2조 1100억원 투입
해병대의 차기 상륙돌격장갑차 엔진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서욱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139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를 개최했다.
방추위는 이날 △상륙돌격장갑차-Ⅱ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 △130㎜유도로켓-Ⅱ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 △3500t급 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배치)-Ⅲ 후속함 건조계획안 △화생방정찰차-Ⅱ(차량형) 후속양산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상륙돌격장갑차-II 사업은 현재 해병대가 운용 중인 상륙돌격장갑차의 수명주기 도래 및 입체고속 상륙작전 발전추세를 고려해 기동성과 생존성이 향상된 차기 상륙돌격장갑차를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방추위는 이날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국산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사업 기간 2036년까지 총사업비 약 2조1100억원이 투입된다. 방위사업청은 이번 사업이 해병대 상륙작전 능력과 국내 기술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30mm유도로켓-II 사업은 접적해역에서 적 해안포 화력 도발과 기습상륙을 시도하는 침투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130mm유도로켓-II 체계를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방추위는 이 사업 연구개발 주관기관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업체로 전환하기로 했다. 사업은 내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진행되며 총사업비는 약 3800억원이다.
현재 해군에서 운용 중인 호위함보다 대공 탐지능력 및 생존성이 향상된 3500t급(울산급 배치-Ⅲ) 신형 호위함 후속함을 국내에서 건조하는 사업도 확정됐다. 선도함은 이달 착공 후 건조 중이다. 오는 2028년까지 사업비 약 2조85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원거리에서 화학 작용제를 감시하고 경보를 내리는 기능과 화학·생물학 작용제를 탐지하고 식별하는 능력을 보강하는 화생방정찰차-Ⅱ(차량형) 사업도 의결됐다. 2019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오는 2025년까지 7900억원이 투입된다.
방위사업청은 “원거리화학자동경보기, 화학 및 생물학 자동탐지기, 생물독소분석식별기 등을 장착함으로써 화생방 오염지역을 더욱 신속하게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결과를 전파해 우리 군의 화생방 정찰작전 수행 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Copyrights ⓒ 세계일보
'해병대 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해병대 Brazilian Marine Corps (0) | 2022.11.07 |
---|---|
미해병대 Sikorsky completes first Connecticut-built heavy-lift helicopter for US Marine Corps (0) | 2022.11.07 |
미해병대, 수중 폭발물 제거용 수중 로봇 배치 (1) | 2022.11.06 |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용 기관총 원격조종장치 전력화 (0) | 2022.11.06 |
미해병대 BAE Systems to deliver additional ACVs to US Marine Corps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