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전력 건설방향
우수한 전투체계를 탑재하여 원해 단독작전뿐만 아니라, 연안에서의 작전, 대지ㆍ대공ㆍ대함ㆍ대잠전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함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해역함대의 주력함이 될 차기호위함과 차기고속정 외에 전력투사, 응징보복, 고공 요격능력 등을 갖춘 AEGIS급 구축함을 확보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필요하다면 주변국 추이를 고려, 경항모를 확보해야 한다.
해역함대의 주력함이 될 차기호위함과 차기고속정 외에 전력투사, 응징보복, 고공 요격능력 등을 갖춘 AEGIS급 구축함을 확보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필요하다면 주변국 추이를 고려, 경항모를 확보해야 한다.
이지스급 구축함 소개
이지스(AEGIS)란?
「이지스」라는 말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딸 아테네에게 선물한 방패 이름을 말함인데, 그 뜻은 '어떠한 창칼의 공격도 방어할 수 있는 방패'라는 뜻이다.
이지스급 구축함의 특징
스텔스 개념을 도입한 함정으로 해상에서 적 유도탄, 항공기, 함정 및 잠수함에 대해 동시 교전이 가능하다. 방공능력과 원거리 대지 화력지원 능력이 우수하여 육ㆍ해ㆍ공군이 동시 참여하는 합동 전장에서도 뛰어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함정이다.
수중/항공전력 건설방향
수중전력
수중전력은 우리가 전체적인 해군전력에 있어서 주변국과 대등한 수준을 건설하기는 어려우므로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전력이며, 국가급 전략 무기체계로서도 가장 효과적이고, 실행 가능한 무기체계이다. 따라서, 우리 해군은 현 209급 잠수함의 부족전력 보완을 위해 잠항 지속능력 및 탐지ㆍ공격능력이 향상된 차기잠수함을 확보하고, 향후에는 수중작전 능력이 보다 신장한 잠수함을 추가로 확보해야 할 것이다. |
항공전력
항공전력은 미래전 양상인 해상입체전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력으로, 전장의 광역화 양상에 대처하고 북한 및 잠재적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항공전력을 기능별로 증강 확보해야 한다. 대표적인 추진방향으로 주요 해상교통로 및 핵심해역에 대한 대잠탐색, 공격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해상 초계기(P-3)를 추가로 확보하고, 작전 수행능력이 뛰어난 해상작전헬기를 보강하여 대함/대잠능력을 향상시키며, 소해작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소해헬기의 확보를 추진해야 한다. |
상륙기동/해병대 전력건설방향
상륙기동전력
상륙기동전력은 장차 전략환경변화 및 상륙전/상륙함 발전추세, 연합작전 지원 등을 고려, 헬기 및 공기부양형 고속상륙정을 탑재, 수직/수평 고속 입체상륙작전 지원이 가능한 대형 수송함(LPX)을 확보하여 상륙수송능력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해병대 전력
해병대전력은 현대 상륙작전의 개념 및 발전추세에 부합되고, 미래의 다양한 안보위협에 신속히 대응 가능한 「다목적 신속대응군」으로서의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입체적인 전력을 건설해야 한다.
입체전력의 핵심인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확보하여 「공지기동부대형」부대구조를 갖추고, 무인항공기 등 정보, 감시전력과 디지털 전장에서 운용 가능한 지휘ㆍ통제ㆍ통신 무기체계를 점차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입체전력의 핵심인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확보하여 「공지기동부대형」부대구조를 갖추고, 무인항공기 등 정보, 감시전력과 디지털 전장에서 운용 가능한 지휘ㆍ통제ㆍ통신 무기체계를 점차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수중전력은 우리가 전체적인 해군전력에 있어서 주변국과 대등한 수준을 건설하기는 어려우므로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전력이며, 국가급 전략 무기체계로서도 가장 효과적이고, 실행 가능한 무기체계이다. 따라서, 우리 해군은 현 209급 잠수함의 부족전력 보완을 위해 잠항 지속능력 및 탐지ㆍ공격능력이 향상된 차기잠수함을 확보하고, 향후에는 수중작전 능력이 보다 신장한 잠수함을 추가로 확보해야 할 것이다. |
항공전력
항공전력은 미래전 양상인 해상입체전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력으로, 전장의 광역화 양상에 대처하고 북한 및 잠재적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항공전력을 기능별로 증강 확보해야 한다. 대표적인 추진방향으로 주요 해상교통로 및 핵심해역에 대한 대잠탐색, 공격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해상 초계기(P-3)를 추가로 확보하고, 작전 수행능력이 뛰어난 해상작전헬기를 보강하여 대함/대잠능력을 향상시키며, 소해작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소해헬기의 확보를 추진해야 한다. |
상륙기동/해병대 전력건설방향
상륙기동전력
상륙기동전력은 장차 전략환경변화 및 상륙전/상륙함 발전추세, 연합작전 지원 등을 고려, 헬기 및 공기부양형 고속상륙정을 탑재, 수직/수평 고속 입체상륙작전 지원이 가능한 대형 수송함(LPX)을 확보하여 상륙수송능력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해병대 전력
해병대전력은 현대 상륙작전의 개념 및 발전추세에 부합되고, 미래의 다양한 안보위협에 신속히 대응 가능한 「다목적 신속대응군」으로서의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입체적인 전력을 건설해야 한다.
입체전력의 핵심인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확보하여 「공지기동부대형」부대구조를 갖추고, 무인항공기 등 정보, 감시전력과 디지털 전장에서 운용 가능한 지휘ㆍ통제ㆍ통신 무기체계를 점차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입체전력의 핵심인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확보하여 「공지기동부대형」부대구조를 갖추고, 무인항공기 등 정보, 감시전력과 디지털 전장에서 운용 가능한 지휘ㆍ통제ㆍ통신 무기체계를 점차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섭과 도하의 차이점 (0) | 2022.12.18 |
---|---|
독도분쟁시 한국對일본의 군사력 비교 (0) | 2022.12.18 |
해군의 미래 - 해군본부 (0) | 2022.12.18 |
군 구조개선 내용(1999) (0) | 2022.12.18 |
2000년 일본자위대의 구조개혁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