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단포병이란?
북한군에서는 "군단규모의 포병"을 운용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비단 북한만이아니라, 전세계 어느나라에서도 군단규모의 포병은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군단포병"이란 말은 "군단소속"내지는 "군단직할"의 포병부대를 일 컫는 말일 뿐이지요..
북한은 일반적으로 4개포병대대~6개포병대대로 이루어진 포병여단을 각 군단마다 배속시키고 있습니다.
그러한 포병여단을 규모에따라 "포병여단" 또는 "포병단"으로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군단포병은 절대로 군단규모의 포병이란 말이 아니다. 그저 "군단에 직할대로 배속된 포병여단"이란 뜻입니다.
(2) 북한의 포병전력.
북한은 약 10000문의 포를 보유하고있다고 알려져있는데 사실 이것은 조금 과장된 것입니다. 여기에는 120mm 및 100mm이상의 중박격포가 모두 포함되어있는 수량이며, 6.25때 사용하던 다수의 구식 경곡사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문가들에따라 시각은 다르지만 사거리 8Km이상의 실질적인 "간접사격용 포병용 대구경포"는 약 7,500문정도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북한 보병사단의 사단포병.
일반적으로 북한군의 보병사단에는 4개포병대대로 이루어진 "포병연대"가 배속되었읍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갯수의 포병대대를 보유하고있는 보병사단들 도 있습니다. 기계화여단이나 기갑여단의 뒤를 후속하는 보병사단의 경우에는 6개포병대대를 보유하고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포병연대"이외에도 북한의 보병사단은 사단직할포병으로 "박격포대대"를 운용하고 있읍니다. 박격포를 중대나 대대 및 연대배속 근접지원화기로 운용하는 경우가 세계적인 추세이지만, 북한군은 사단에 대대규모로 박격포를 운용하고 있읍니다. 북한군 사단포병의 화기는 보병사단의 경우 100mm견인포, 120mm견인포, 150mm견인포 76mm경곡사포(후방예비사단의 경우) 120mm중박격포등을 주로 운용하고 있읍니다.
하지만, 평야지대나 주요축선을 수비하는 보병사단은 100mm대전차포나 76mm대전차포를 대대규모로 장비하는 경우도 있읍니다. 북한 사단포병은 현재 상당히 구식무장으로 운용되고있으며 포를 견인할 트럭의 운용률도 상당히 떨어져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북한에서 라이센스한 모델의 경우는 조금 덜하지만 해외로부터 과거 공여나 원조 및 유상도입한 모델의 경우 외화부족으로 부품/소모품 조달이 조달이 상당히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4)북한 기갑/기계화사단의 사단포병.
북한 기갑부대는 크게 "기갑사단"과 "기계화보병여단"으로구성됩니다. 일반적으로 "기갑여단"과 "기계화사단"으로 구성하는 세계적인추세와는 완전히 다른, "기계화여단"으로 보유하고있는 특이한 구조의 기갑전력을 보유하고 있읍니다. 북한 기갑사단의 포병은 90%이상 자주화되어있읍니다. 주로, 120mm자주포, 150mm자주포, 170mm자주포등으로 무장하고 있는데, 각사단마다 4개자주포대대로 이루어져있는 "포병연대"를 배속하고 있읍니다. 북한 기계화보병여단의 경우에는 주로 120mm자주포, 150mm자주포를 약 2~3개대대 보유하고 있읍니다. 기갑/기계화부대 자주포의 절대다수는 120/150mm자주포인데 이자주포들은 2차세계대전직후 생산된 상당한 구식입니다. 그리고 사거리도 우리나라의 M-109시리즈보다 다소 짧고 기계적 신뢰성은 상당히 뒤떨어지는것으로 알려져있읍니다.
(5)북한 군단포병.
북한의 군단들은 대부분 군단직할로 1~2개 포병여단을 보유하고 있읍니다. 4~6개 포병대대로 이루어진 이들 여단은 상당수가 170mm견인포와 150mm자주포로 이루어져있읍니다. 특히 휘하에 두고있는 기갑사단에따라서 자주포/견인포의 비율이 달라집니다. 동시에 1~2개의 방사포대대를 보유하기도 하는데 북한의 방사포대대들은 사정거리와 그 수량이 상당합니다. 북한은 매년 70~120대정도의 자주방사포를 각군단들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증강하고 있읍니다 하지만, 북한의 방사포들은 일반적인 트럭에 탑재되어있는 "북한개조형"으로 우리의 MLRS나 M-109팔라딘계열의 장거리포의 대포병사격에 상당히 취약할것으로 예상됩니다.
(6)군직할 포병여단.
북한은 군단이나 사단에 배속되지 않고, 인민군 총사령부 직속의 포병여단도 보유하고 있읍니다. 이들여단은 대부분 170mm장거리포(사정거리 약 37Km)와 200mm 및 170mm급 방사포(사정거리 32~45Km)로 이루어진 대대로 이루어져 있읍니다. 전쟁초반 남한의 각 주요거점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및 후방예비거점들에대한 장거리포격을 전담하는 여단들입니다. 이들 여단은 전쟁발발시 남한 후방지역에대한 가장 큰 위협이 되는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유의 긴 사정거리때문에, 북한의 근접항공지원의 역할을 상당부분 담당할것으로 파악됩 니다. 유사시 유리나라 장거리포병여단들의 1차목표중 하나가 바로 북한의 장거리포병여단들일것입니다. 북한은 이외에도 스커드로 무장하거나 노동계열로 무장하는 여단을 소수 운용하고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자세한 정보는 일체 공개된바 없읍니다. 하지만, 북한의 스커드대대들로 현재 어려운 경제사정으로인해 부차적인 지원장비가 극도로 부족한것이 현실이며, 그러한 상황은 얼마전 실시되었던, 북한 "로켓트부대"의 대대적인 연례 기동훈련에서도 확인된바 있읍니다.
(7)결론.
북한 육상전력중 우리나라에게 가장 위협스러운것은 역시 엄청난수의 포병전력입니다. 이들 포병의 상당수가 전방지역에 추진된 동굴 및 유개진지에 위치되고있어서, 빠른시간내에 대포병사격으로 섬멸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따를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 포병의 무장은 우리나라 사단/군단포병부대들의 무장보다 훨씬 뒤떨어진 구식이 많으며, 운용률도 상당히 저조한것으로 파악되고있읍니다. 이들은 실탄을 사용한 훈련을 어려운 경제난으로인해 자주 벌이지 못하고 있고, 대부분 통신/지휘훈련을 대체하는것으로 보아 전투능력 자체는 지나치게 과대평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들 포병의 엄청난 숫자와 대규모 일제사격은 짧은 종심에 밀도높은 병력을 집중하고있는 한국군의 경우 상당한 위협이 될것입니다. 얼마전부터 우리나라는 MLRS와 M-109팔라딘개량형을 도입하여 북한의 포병들에대한 대포병사격능력을 쌓아나가고 있읍니다. 게다가 다수의 "대포병레이더" 및 부속전자장비가 도입되고 있으며, 유개화된 포병진지등에 강력한 타격을 가할수있는 "포병용기화탄두" 및 "항공기용 호침투탄"등을 도입하거나 도입하려고 하고 있읍니다. 그리고 작년말 미국방부에서도 "유사시 제공권장악을 마친 한미 공군은 휴전선일대 북한포병거점들에대한 대대적인 전략 폭격계획을 입안했다"는 기사가 신문에 발표되었읍니다. 이것은 한미양국군이 북한의 대규모포병에대해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괴인민군 (0) | 2022.12.19 |
---|---|
북한, 수중세력(정규잠수함,특수전잠수정) (0) | 2022.12.19 |
북괴군, 남침작전계획(펌) (0) | 2022.12.19 |
북한기갑전력 (0) | 2022.12.19 |
한국군이 운용중인 헬기현황 2009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