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

북한, 수중세력(정규잠수함,특수전잠수정)

by 충실한 해병 2022. 12. 19.

북한의 해군세력중 가장 경게해야 할 세력은 수상함세력이 아니고, 수중세력인 잠수함이다.

잠수함은 은밀함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뭐.. 북한은 은밀성을 추구하는 잠수함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상어급,유고급 소형 잠수함과 특수전용 잠수정외에는 은닉성과 기밀성을 유지하는 수중세력은 없다고 보면된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꾸준히 세력을 성장시키고 있는 것을보면, 미사일세력에 비해 성장세는 둔화 된 상태이지만, 여튼 수중세력의 정점이라는 점에선, 무시해선 안 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특히, 정규잠수함세력은 한국에 비해 딸리는 것은 분명하나, 특수전용 소형잠수함과 소형 침투 잠수정등은 설계기술과 건조능력에서 한국을 앞지르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과거 돌고래급 잠수함인 특수전용 잠수함을 운용한 바 있으나, 성능상의 이유로 인해 이탈리아제 코스모스급 소형 잠수함의 운용을 결정 한 바 있다. 그렇다고 완전히 돌고래급을 퇴출시킨것은 아니고 성능을 더욱 강화시켜 향상 된 버전의 돌고래급 잠수함을 건조회사에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의 수중세력은 이렇게 정규 잠수함세력과 특수전 잠수함세력으로 양분된다. 다음은 북한 수중세력의 핵심인 잠수함들에 관한 글 들이다.

 

1. 로미오급 잠수함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로미오급 잠수함은 소련이 독일의 유보트를 흉내내어 건조한 잠수함이다. 단기적으로 부상과 잠항을 반복하는 기능을 가진 잠수함이다. 즉, 오랫동안 잠항 할 수 있는 능력은 없는 잠수함인 것이다. 또한, 로미오급 잠수함에는 2차대전 때 독일군이 사용했던 어뢰를 복제하여 만든 직진어뢰만이 탑재되어 있다. 유도가 안 된다. 복잡한 지형의 수중에서는 전혀 쓸모없는 무기인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즘의 잠수함들은 기뢰의 다량탑재를 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그런데, 북한의 로미오급 잠수함은 기뢰를 다량 탑재 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겨울철이 되면 해류가 북에서 남으로 흐르기 때문에, 적은 동력 혹은 엔진을 아예 끊은 채라도 북에서 남으로 저속침투를 할 수 있다. 물론, 한국군의 소나에는 아무것도 안 잡힌다. 이런 저속잠항을 통해 동해로 침투하여 주요 항구의 입구마다 기뢰를 뿌려놓고 도주한다면 한국군의 피해도 만많치 않을 것이다.

 

로미오급은 북한 잠수함대의 주력으로 20여척 이상을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부족으로 가동률이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북한해군의 로미오급은 탑재하는 어뢰가 모두 대수상함 전용으로 대잠수함 공격능력이 없는 실정이다. 1956년에 실용화된 53-56 대수상함용 산소어뢰와 1961년부터 사용된  패시브 소너를 장착하는 SAET60 대수상함용 호밍 어뢰를 탑재한다고 한다.

한마디로 낡은 선체는 가만히 두고 무기만 현대화 하겠다는 뜻인데, 근원적인 선체의 대폭적인 수술이나, 바꿈이 없이는 전투능력의 향상은 불가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승조인원: 군관 8명

              하전사 43명

전체길이: 76.6m

전체너비: 6.70m

배수량 :1,390톤(수상)

           1,712톤(수중)
흘수선: 4.95m

축형식: 2축추진

작전일수: 60일
잠수심도: 200미터
엔진형식: Type 1Z38 디젤엔진 2기, 전기엔진 1기.

엔진출력: 4400shp(디젤엔진), 2400shp(전기엔진)
최대속도: 13.0노트(수중)

              15.2노트(수상)
항속거리: 25,928km(수상 9노트 기준)  수상에서의 항속거리가 월등하게 수중에서의 항속거리를 넘는다.

              563km(수중 13.6노트 기준)
무장형태: 533mm 어뢰발사관 6기 (선수 4기, 선미 2기) 어뢰 14발 기뢰 28발 수납
전자장비: Tamir 능동식 소나

              MG-10 Ferniks 수동식 소나

              항해 레이더

 

 

 

2. 위스키급 잠수함

 

북한이 보유한 위스키급 잠수함 역시 독일해군이 운용하였던 VII형 U-보트를 승전국인 소련이 잠수함의 기술을 터득하고자 그대로 모방생산 한 잠수함의 원형이다. 따라서, 잠수했다가 떠오르는 잠수함의 기본적인 기능외에 별다른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않다. 특히, 스노클 장비가 없는 관계로 수상으로 부상하는 횟수가 잦다. 수상으로 부상한다는 것은 잠수함으로서 치명타. 적 함정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 줄수 있기 때문이다. 잠수함으로서 은밀성을 잃어버리는 순간이다. 때문에, 소음이 많은 로미오급 잠수함과  물속의 관 형제라고 불리운다.

 

그러나, 위스키급 잠수함이 엔진을 끄고 해류를 타고 넘어오면서 기뢰20발을 전략적인 위치에다가 뿌려놓으면 아군의 피해도 어느정도 감수해야 할것이다. 특히, 북한군부는 어뢰보다는 기뢰쪽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관계로 성능이 놓은 기뢰의 구입을 꾸준히 구매 할 가능성이 높아 긴장감이 더 해진다.

 

승조인원: 군관 9명

              하전사 52명

전체길이: 75.94m

전체너비: 6.31m

배수량 :1,045톤(수상)

           1,133톤(수중)
흘수선: 4.9m

축형식: 2축추진

작전일수: 60일
잠수심도: 200미터
엔진형식: Type 37D 디젤엔진 2기, 전기엔진 2기.

엔진출력: 4600hp(디젤엔진), 2500hp(전기엔진)
최대속도: 13.6노트(수중)

              17.00노트(수상)
항속거리: 8.580해리(수상 9노트 기준)

              13.8해리(수중 13.6노트 기준)
무장형태: 533mm 어뢰발사관 6기 (선수 4기, 선미 2기) 어뢰 12발 기뢰 20발 수납
전자장비: Tamir 능동식 소나

              MG-10 수동식 소나

              항해 레이더

 

 

이제까지 북한의 정규 잠수함세력인 로미오급, 위스키급 잠수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은 특수전용 잠수함세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1. 상어급 잠수함(상어급은 200톤이상이므로 잠수함으로 본다.)

 

상어급 잠수함은 사바급을 참고로 하여 설계를 한 잠수함이나, 대형잠수정인 사바급에 비해서 소형잠수함으로서 침투용으로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다. 배수량은 3백25t, 길이34m로 승조원만 11명에 비정규 요원 10명이 탑승할 수 있다. 유고급은 길이 21.3m, 전폭 3m로 승조원 6명에 보통 5∼6명이 추가 탑승할 수 있다. 제인연감에 따르면 잠수함과 잠수정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게로, 2백t급 이상일 때 잠수함이라고 부른다. 북한은 이밖에 W(위스키급), R(로미오급) 등을 보유하고 있다. 위스키급은 수중무게 1천55t, 길이 76m이며 로미오급은 수중무게 1천8백t, 길이 76.8m이다. 이번 유고급 잠수정은 북한이 수 척을 도입한 뒤 80년 이후 기술을 습득, 함남 신포 등지에서 자체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잠수정은 수중 최대 속도 8노트, 수상 최대 속도 13∼14노트로 최대 항속거리는 1백40∼1백50㎞. 2개의 디젤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수심 70∼1백m에서 작전 가능하며, 단거리 어뢰를 발사할 수 있는 어뢰관 2문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사바급과 상어급 잠수함의 자세한 제원이다.

 

-상어급 잠수함 제원-                                              -사바급 잠수함 제원-

전장 : 35.5미터                                                        전장 65.8미터
전폭 : 3.80미터                                                        전폭 7.00미터
전고 : 3.70미터                                                        흘수 5.50미터
배수량 : 277톤                                                         배수량   수상 배수량 770톤 수중 배수량 964톤
엔진 : 디젤 엔진, 1 샤프트                                         엔진  
속도 : 8.8노트                                                         속도  수중61노트
탑승인원 : 19명의 승조원과 6명의 잠수침투조. 총 25명   탑승인원 35명
무장 : 2인치, 4.21인치 어뢰                                       용도 특수작전용
용도 : 해안 침투 공작용

 

약 22척 정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짐.

 

 

 

 

2. 유고급 잠수정(유고급은 톤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0톤 미만이므로 잠수정으로 본다.)

 

속초 해상에서 발견된 70t급 북한 잠수정은 유고에서 특수전용 침투 잠수정으로 제작된 기종이라는 의미에서 유고급’(YUGO CLASS)으로 불린다.

 

길이 20m 폭 3.1m 높이 4.6m로 북한이 보유중인 잠수함 가운데 제일 소형으로 지난 96년 강릉 해안에서 좌초된 3백50t급 ‘상어급’(Sang-O)잠수함의 4분의 1크기다.

 

최대속도는 물위에서는 12노트, 잠수시에는 8노트이며 최대 항속거리는 1백40∼1백50㎞로 수심 70∼1백m에서 작전이 가능하며, 선체가 플라스틱으로 돼 있어 레이더 탐지가 어렵고 잠수및 부상속도, 발진속도가 빨라 기동성을 요하는 비정규전이나 특수 공작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단거리 어뢰(2 x 21 inch)를 발사할 수 있는 어뢰관 2문을 갖추고 있으며 유사시에는 항구에 접근해 상선및 함정을 격침하거나 기뢰를 부설해 항만을 봉쇄하는 능력도 있다.

대개 모선에 붙어 다니다 해안에 침투하는 방식으로 활동하지만 모선없이 독자적인 운항도 가능하다. 탑승인원은 승무원 4명외에 최대 7명까지의 추가 승선이 가능하다.

 

잠수정은 유고에서 특수침투 목적용으로 첫 제작됐으며 74년 북한이 수척을 도입, 유고로부터 6척을 처음 수입했으나 80년이후부터 함남 신포의 잠수함 건조기지 등에서 50척을 제작해 주로 동해안 송전항에 배치해 놓고 있다.  또, 이란 등지로 수출까지 하고 있다. 그리고 잠수정의 운항을 위해 8척의 모선을 운영중이다.

 

승선인원은 6~7명 정도이나 내부개량 정도에 따라서는 10~11명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외에도 상어급 10척과 1,800t급 로미오 1척,위스키급 26척 등의 정규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나 대부분 낡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고급 잠수정 제원-
수상배수량 70톤
수중배수량 85톤
전장 20.0미터
전폭 3.1미터

전고 4.6미터
흘수 2.5미터

어뢰 21인치 단어뢰 2문장비.
전동기 엔진 2개
출력 68마력

최대항속거리 140km ~ 150km
속력 수상 12노트 수중 8노트
승무원 4명, 잠수공작원 7~8명

 

 

이렇게 북한의 잠수함과 잠수정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 잠수함은 정규전에 대비한 전력으로 판단되며, 잠수정은 특수부대 침투부대용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어급 잠수함은 은닉성이 좋다는 판단아래 특수부대 침투용 잠수함 모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지상군의 7대 군구  (0) 2022.12.19
북괴인민군  (0) 2022.12.19
북한의 군단포병  (0) 2022.12.19
북괴군, 남침작전계획(펌)  (0) 2022.12.19
북한기갑전력  (0) 2022.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