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전쟁사의 미스테리, 명량해전의 진실(2)
올해는 명량해전(1597년 음 9월 16일)이 발발한지 410년이 되는 해이다.
해마다 해전 발발에 즈음, 해남지역에서는 충무공과 지역 민초들의 극난극복의 의지와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명량대첩 축제를 펼쳐왔고, 올해는 전남도에서 이를 주관해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우수영 울돌목 일원에서 열릴 계획이다.
또한 지난 9월 24일에는 거북선 모양의 유람선인 울돌목 거북배가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에서 취항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항에 나섰다.
이 글은 오는 명량대첩 축제의 성공기원과 울돌목 거북배의 취항, 우수영 유스호스텔 개원 등을 축하하기 위해 남기는 글이다.
13vs133이라는 세계 해전사상 미증유의 명량대첩, 많은 학자들과 사학가들에 의해 이 미스테리 해전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그 많은 논문이나 학설 중 명량해전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못 봤다. 그러한 맥락에서 아래의 글 또한 한갓 추정론에 불과하고, 자칫 잘못된 인식은 명량해전의 이해에 있어 오류를 가져 올 수도 있음을 밝힌다. 다만 그곳은 나의 고향이었고, 늘 그곳에서 뛰어 놀았기에 누구보다 그 명량해전이 펼쳐진 우수영 울돌목에 대해선 자부할 수는 있다.
1부에 이어....
명량해전에서 가장 미스테리한 이순신 함대 배치와 첫 공격시점
<난중일기 음 9월 16일- 곧 여러 배에 명령하여 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가니, 적선 133 척이 우리의 여러 배를 에워쌌다>
이 부분이 명량해전에서 가장 미스테리 한 부분이다.
이순신은 난중일기에서 조선수군의 전술운용과 아군의 정보에 관계된 것은 이렇다할 이야기를 하지 않았고, 또 조정에 보내는 장계에도 어떤 전술과 의병술을 써 적군을 물리쳤는지 세세히 말하지 않고 있다.
그것은 혹여나 아군의 정보가 적군에게 알려질 것을 우려해 일부러 그러한 점도 엿보이지만, 그로인해 많은 학자들과 연구가들은 명량해전의 승첩이 우수영 울돌목의 해류를 이용했다는 것엔 의견에 일치를 보이면서도 먼저 기습을 당했다 또 전술적 운용 형태에 대해선 일자진이다 학익진이다 아니면 각기 다른 주장을 펴며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사실 명량해전이 이해되기 위해선 ‘해전이 일어난 장소가 정확히 어디였느냐? 울돌목 주위로 조선수군은 어떻게 배치되어 있었느냐? 또 조선수군의 첫 공격시점은 언제 시작되었느냐?’이다.
현재 명량해전이 일어난 장소를 정확히 추정해보면, 울돌목 안쪽에서 양도사이가 전투의 중심일 가능성이 크다. 이유는 양도를 너머 서 전투가 전개된다면 뒤로 물러 설 수 없는 적들은 쉽게 앞으로 도망갈 뿐 아니라 투망과 같이 그물 속에 가둔 채 공격하는 이점(利點)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또 울돌목 안쪽에서 양도사이에 전투가 벌어진다면 전투선의 총합은 30~40여척 정도, 그 정도면 더 이상 들어 올려야 들어 올 수도 없다. 1대3 정도의 대결, 이것은 이순신이 원하던 그림이다.
다음은 조선수군의 주변배치, 당연히 엄폐 된 상태였을 것이다. 적에게 최대의 치명상을 주기 위해선 일격의 선제공격, 일격을 위해선 기습작전이 필요로 하고 기습작전은 지형지물을 이용한 엄폐라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zsIl/btrUb3W2ryB/0avWZTYrJr4pCAaLWjIEGk/img.jpg)
(명량해전 초기 이순신 함대와 조선수군 배치도)
신묘한 전략가 이순신라면 의당 울돌목의 지형과 지물을 최대한 이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이순신 함대가 포진해 있던 배치도를 그려보면, 우선 이순신의 엄폐지역은 울돌목의 바로 뒤편(금강산 횟집 아래쪽)이나 양도 뒷부분 중 한 곳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마도 울돌목 바로 뒤편일 가능성이 높다.
또 김응함과 안위, 김억추(김응함과 안위보다 뒤편에 자리했을 가능성도 있음)의 선단은 이순신이 한참 싸우다 <여러 장수들을 돌아보니, 물러나 먼 바다에 있었다>는 말을 말미암아 양도 뒷부분에 감추어 두었거나, 임하도 뒤편에 자리 했을 것인데, 양도 뒷부분일 가능성이 더 높다.
대장선이 홀로 적진 속으로 들어가 포탄과 화살을 비바람같이 쏘아대고
또한 왕조실록에 일반 어선들이 후미에서 병세를 도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순신을 돕던 일반어선은 아마도 적이 쉽게 보일 수 있도록 먼 바다에, 추정하면 임하도 부근 정도(더 멀 수도 있음)에 정렬시켜 허장성세(虛張聲勢)로 위장 시켜 두었다.
그림에는 나타나 있진 않지만, 이순신이었다면 진도 녹진방향(육지) 쪽에도 화포를 숨겨둬 첫 화포공격의 예봉을 극대화 시켰을 것이다.
첫 공격의 시점은 울돌목 안으로 들어온 적선 30여척에게 가장 치명타를 줄 수 있는 그 때, 그 때는 30여척의 구르지마 선단이 울돌목을 통과한 후 양도와 울돌목 중간쯤에 다다랐을 때가 아니면 양도와 임하도 중간쯤에 이르렀을 때(양도와 울돌목 중간지점이 가능성이 높음) 이순신의 함대에서부터 시작됐을 것인데, 양도에서 엄폐했다면 우수영 방향으로 돌아서 공격했을 것이다.
이순신의 함대에서 첫 포격이 시작되면, 양도 뒤편에 숨어있는 김응함과 안위가 항진하는 왜 수군 앞을 막아서며 포격을 가하거나 양도를 돌아서 나와 구르지마 선단의 상단부위를 화포공격 후 돌진, 그 즈음 이순신은 곧바로 구루지마의 후미를 �아 돌진해 초전에 30여척의 배를 무기력화 시켜버리기로 약속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순신의 첫 공격을 알리는 함포소리가 울려 퍼지자 울돌목을 건너기 위해 끝도 보이지 않게 대기하고 있던 왜 함대를 본 김응함과 안위, 김억추는 겁에 질린 나머지 멀리 물러났고, 이순신의 선단만이 구르지마의 후미를 �으며 공격했다. 그리고 뒤쪽에서 오던 또 다른 왜의 전투선이 이순신의 선단 후미를 �는 격이 되며 이순신은 적진 속에 갇히게 되고...(계속)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와 독도함 (0) | 2022.12.21 |
---|---|
세계 전쟁사의 미스테리, 명량해전의 진실(3) (0) | 2022.12.21 |
세계 전쟁사의 미스테리, 명량해전의 진실(1) (0) | 2022.12.21 |
역대 한국군 지휘부 (~2009) (2) | 2022.12.21 |
한, 미, 일 정보력 (2009)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