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섭하지 마라
- 손자병법;제3편 모공[05]-
장수는 통치자를 보좌한다. 보좌가 완전하면 국가가 강대해질 것이고, 보좌가 불완전하면 국가가 약화된다.
통치자가 군을 위기에 빠지게 하는 경우가 세 가지 있다.
군대가 진격해서는 안 되는데 알지도 못하고 진격하라고 명령하며, 군대가 후퇴해서는 안 되는데 알지도 못하면서 후퇴하라고 명령하는 등 군을 속박하는 일이다. 이것을 코 꿰인 군대라고 한다.
그리고 전군의 내부사정을 알지도 못하면서 군정에 간섭하여 군 내부에 혼란을 일으키고, 또한 지휘계통을 무시하고 군령에 간섭하여 내부에 불신감을 조성하는 일이다.
통치자가 내부혼란이나 불신감을 초래하게 되면 다른 국가의 침략을 받게 될 것이다. 이것은 자멸행위이다.
- 孫子兵法;第三篇 謀攻[05]-
夫將者, 國之輔也. 輔周則國必强, 輔隙則國必弱.
故君之所以患於軍者三, 不知軍之不可以進而謂之進, 不知軍之不可以退而謂之退, 是爲縻軍, 不知三軍之事, 而同三軍之政者, 則軍士惑矣, 不知三軍之權, 而同三軍之任, 則軍士疑矣. 三軍旣惑且疑, 則諸侯之難至矣
승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 손자병법;제3편 모공[06]-
승리를 판단할 수 있는 요소로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 싸울 수 있는 경우와 싸워서는 안 되는 경우를 아는 자는 승리한다. 둘째, 많은 병력과 적은 병력의 사용법을 아는 자는 승리한다. 셋째, 상하의 욕망이 같으면 승리한다. 넷째, 완전한 준비를 갖추어진 상태에서 경계를 태만히 하고 있는 적과 교전하면 승리한다. 다섯째, 장수가 유능하고 통치자가 간섭하지 않으면 승리한다. 이 다섯 가지가 승리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이다.
- 孫子兵法;第三篇 謀攻[06]-
故知勝有五: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識衆寡之用者勝, 上下同欲者勝, 以虞待不虞者勝, 將能而君不御者勝. 此五者, 知勝之道也.
'국방 논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제4편 군형[01]- 승패는 적에게 달려 있다 [02]- 공격과 방어 (0) | 2022.11.23 |
---|---|
손자병법;제3편 모공[07]-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0) | 2022.11.23 |
손자병법;제3편 모공[03]- 모략이 최고의 전법이다 [04]- 열세일 때는 후퇴하라 (0) | 2022.11.23 |
孫子兵法;第三篇 謀攻[01]-싸우지 않고 승리하라 [02]-적의 음모를 분쇄하라 (0) | 2022.11.23 |
孫子兵法;第二篇 作戰[04]-노획물을 상으로 고무시킨다 [05]-승리하는 데 가치가 있다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