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병대 무기386

영국해군강습용 상륙함 HMS OCEAN L12 2022. 11. 26.
프랑스해군의 신형 상륙지휘함 미스트랄 2022. 11. 26.
상륙기동헬기 해군-해병대 분리 도입 (2012) 새롭게 배치할 32대 상륙기동헬기가 해군과 해병대에 분리 도입됩니다. 군 관계자는 모두 40대가 도입되는 신형 헬기의 1차 도입분 32대 가운데 해군이 14대 해병대가 18대를 소유하는 것으로 정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쯤 군 수뇌부가 참여하는 군무회의에서 확정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군은 해병대의 신속한 기동을 위해 상륙헬기 도입을 추진해 왔지만, 상륙 작전이 해군 작전이라는 주장과 실제 사용하는 부대가 보유 운영해야 한다는 해병대 주장이 맞서왔습니다. 해군과 해병대에 도입될 상륙헬기 후보 기종은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입니다. 군 관계자는 "해병대에 배치가 확정된 공격헬기 16대에 상륙기동헬기가 추가되면 해병대 전력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C.. 2022. 11. 10.
해병대와 해군, 헬기 소유권 놓고 마찰 해병대와 해군, 헬기 소유권 놓고 마찰 美 해병대 퇴역 헬기 20대 한국군에 준다고 하자… 미국 해병대의 한 부대가 40여년간 사용하다 퇴역시킬 예정인 CH-46 시 나이트(sea knight) 헬기 20대를 한국 해병대에 주겠다는 의사를 밝혀옴에 따라 국방부는 미 국방부에 공식 입장을 확인하는 한편, 수용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국방부 관계자는 4월 16일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는 미 해병대 제3상륙군(3rd MAF) 사령관이 최근 훈련 기간 중 한국을 방문해 우리 군에 노후 헬기 CH-46 20대를 제공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면서 “제3상륙군 차원의 제안이어서 미 국방부의 공식 입장과 부속품 공급 등 향후 군수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측.. 2022. 11. 8.
미해병대 Marines Successfully Fire New NMESIS Anti-Ship Weapon During Live Exercise Marines Successfully Fire New NMESIS Anti-Ship Weapon During Live Exercise The Marine Corps' new anti-ship missile capability has been developed rapidly thanks to its use of proven subsystems from other programs of record. By JUSTIN KATZon August 17, 2021 at 4:24 PM An artillery Marine from 1st Battalion, 12th Marines maneuvers a Navy Marine Expeditionary Ship Interdiction System launcher across.. 2022. 11. 8.
미해병대 U.S. Marine F-35Bs to Operate off Largest Japanese Warship Later This Year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 helicopter destroyer JS Izumo (DDH-183) steams during a ship maneuvering exercise for Malabar 2017. US Navy Photo U.S. Marine F-35B Lighting II Joint Strike Fighters will operate off a Japanese warship later this year, Marine Corps Commandant Gen. David Berger said on Wednesday. In November, the Marine F-35Bs will embark on one of the two 24,000-ton Izumo-class .. 2022. 11. 8.
미해병대 Marine Corps Focuses on Anti-Ship Missile Capability U.S. Marine Corps The U.S. Marine Corps now prioritizes completing its ground-based, anti-ship missile system in alignment with the Commandant’s Planning Guidance and USMC's Force Design 2030. The service said Tuesday its medium-range missile battery can support the naval expeditionary force when integrated with maritime sensor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rough the Navy/Marine Corps Expeditio.. 2022. 11. 8.
영국해병대 Royal Marines Releases USSV Vessel Requirements The new Royal Navy autonomous minesweeper in Weymouth Bay, Dorset, the UK. Image: MoD/Crown Copyright Home/Europe/Royal Marines Releases USSV Vessel Requirements EUROPESEATECHNOLOGY Royal Marines Releases USSV Vessel Requirements INDER SINGH BISHT SEPTEMBER 14, 2021 LESS THAN A MINUTE FacebookTwitterLinkedInRedditShare via EmailPrint The UK Ministry of Defense (MoD) recently released a notificat.. 2022. 11. 7.
브라질해병대 Brazilian Marine Corps U.S. Marines drive a Joint Light Tactical Vehicles through the water at White Beach as part of the I Marine Expeditionary Force JLTV Operator New Equipment Training course on Marine Corps Base Camp Pendleton, California, Oct. 24, 2019. (U.S. Marine Corps photo by Lance Cpl. Drake Nickels) Brazilian Marine Corps To Get JLTV, New Unimog Trucks Brazilian Navy recently signed two contracts for the a.. 2022. 11. 7.
미해병대 Sikorsky completes first Connecticut-built heavy-lift helicopter for US Marine Corps The first Connecticut-built heavy-lift helicopter – which can withstand longer-range missions in poor environments – is now in the hands of the U.S. Marine Corps. Sikorsky, a Lockheed Martin company, celebrated the CH-53K heavy-lift helicopter's completion at its Stratford, Connecticut, facility last week. CH-53K, K4 Flt 205 and K5 Flt 42, fly in formation from NAS Patuxent River, MD on Jana 9, .. 2022. 11. 7.
해병대 차기 상륙돌격장갑차 엔진 국내 개발 추진 사업비 2조 1100억원 투입 해병대의 차기 상륙돌격장갑차 엔진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서욱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139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를 개최했다. 방추위는 이날 △상륙돌격장갑차-Ⅱ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 △130㎜유도로켓-Ⅱ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 △3500t급 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배치)-Ⅲ 후속함 건조계획안 △화생방정찰차-Ⅱ(차량형) 후속양산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상륙돌격장갑차-II 사업은 현재 해병대가 운용 중인 상륙돌격장갑차의 수명주기 도래 및 입체고속 상륙작전 발전추세를 고려해 기동성과 생존성이 향상된 차기 상륙돌격장갑차를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방추위는 이날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국산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사.. 2022. 11. 7.
미해병대, 수중 폭발물 제거용 수중 로봇 배치 ▲해병 폭발물 처리 부대(EOD) 기술자가 원격 작동 로봇을 물속으로 들여보내고 있다. 미 해병대가 수중에서 눈과 팔이 돼 주는 수중 드론을 도입, 수중에서의 폭발위협 무력화에 나섰다고 ‘내셔널디펜스’가 지난달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 해병대 시스템 사령부는 지난해 9월부터 원격으로 작동되는 폭발물제거(EODㆍexplosive ordnance disposal) 차량, 즉 해병들이 멀리서 폭발물 위협을 식별하고 무력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 모양의 로봇을 배치하기 시작했다. 제1 EOD 중대 해안폭발물 중화 담당 부사관인 매튜 잭슨 상사는 “워싱턴주 레드먼드에 위치한 전략로봇시스템 퓨전(Strategic Robotic Systems Fusion)이 설계한 이 시스템은 고해상도 비디오 기능과 관절 팔.. 2022. 11. 6.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용 기관총 원격조종장치 전력화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제 구성. [사진=방위사업청]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방위사업청은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장착돼 운용되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최초로 전력화했다고 29일 밝혔다. 복합화기란 K6중기관총과 K4고속유탄기관총을 전장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조합된 화기이며,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란 사수가 보호된 상태에서 무장시스템을 원격으로 운용하는 무기체계이다. 기존 상륙돌격장갑차의 경우 사수가 적에게 노출된 상태에서 육안으로 표적을 확인하고 사격했다. 이로 인해 생존성이 떨어지고 사격 명중률이 낮았으며, 기동 간 사격도 제한됐다. 이번에 전력화된 장비는 주·야간 영상장치와 레이저거리 측정기를 이용한 정밀 측정과 포탑 안정화장치 장착을 통해 명중률 향상과 기동.. 2022. 11. 6.
미해병대 BAE Systems to deliver additional ACVs to US Marine Corps BAE Systems will deliver 33 additional Amphibious Combat Vehicles (ACVs) to the US Marine Corps (USMC). Credit: BAE Systems/Business Wire. BAE Systems has secured a follow-on contract from the US Marine Corps (USMC) to deliver 33 additional Amphibious Combat Vehicles (ACVs). The contract modification, valued at around $169m, will represent the second lot of full rate production (FRP) of ACVs. De.. 2022. 11. 6.
미해병대 The Amphibious Fleet in Maneuver Warfare: The Return to the Sea and Bold Alligator By Robbin Laird I am crafting a series on mobile basing as a strategic capability for the joint forc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mobile basing goes up with the importance of complicating your adversaries’ targeting solutions and force projection targets. Seabasing is clearly a key part of being able to do mobile basing, but with the shift from a classic understanding of amphibious operations t.. 2022.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