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상군의 7대 군구
중국의 지상군은 모두 7대 군구로 구성되어 그 아래28개 군구와 3개 수비대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또한 24개 집단군으로 각 집단군에는 3개 보병사단과 전차, 포병 장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지상군의 7대 군구 - 동북지역(심양군구) : 집단군5, 미사일부대2, 장갑4, 보병16개 사단 - 북부지역(북경군구) : 집단군6, 미사일부대1, 장갑3, 보병17개 사단 - 서부지역(난주군구) : 집단군2, 미사일부대2, 장갑1, 보병9개 사단 - 남서부 지역 (성도군구) : 집단군2, 미사일부대1, 장갑1, 보병10개 사단 - 남부지역(광주군구) : 집단군2, 보병10개 사단 - 중앙지역(제남군구) : 집단군4, 장갑1, 보병7개 사단, 공군3개 사단 - 동부지역(남경군구) : 집단군3, 장갑1, 보..
2022. 12. 19.
북괴인민군
* 주 : 이 포스트는 세계 군대 지상군의 조직체계 소개 포스트로서 군사력 비교의 목적이 아니다. * 주 : 이 포스트는 크게 국방조직, 지상군 부대편제, 순서로 구성되며 각 개별 국가에 대한 군사력 평가 등의 견해는 생략된다. * 주 : 이 포스트는 한국국방연구원의 동북아 군사력, 야전교범 7-1 소총중대전투, 미해병정보국 발간 북한 핸드북(North Korea Country Handbook) 등을 참조하였다. 북한 인민군은 군 통수권을 행사하는 국방위원장이 인민무력성(인민군 최고사령부)을 거쳐 총참모장을 통해 지휘권을 행사하고 있는데 크게 육군, 해군, 공군 및 예비전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군 지상군은 각 병종별로 20개 군단급 부대를 근간으로 사(여)단, 연대, 대대, 중대, 소대, 분대의 한국..
2022. 12. 19.
북한, 수중세력(정규잠수함,특수전잠수정)
북한의 해군세력중 가장 경게해야 할 세력은 수상함세력이 아니고, 수중세력인 잠수함이다. 잠수함은 은밀함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뭐.. 북한은 은밀성을 추구하는 잠수함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상어급,유고급 소형 잠수함과 특수전용 잠수정외에는 은닉성과 기밀성을 유지하는 수중세력은 없다고 보면된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꾸준히 세력을 성장시키고 있는 것을보면, 미사일세력에 비해 성장세는 둔화 된 상태이지만, 여튼 수중세력의 정점이라는 점에선, 무시해선 안 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특히, 정규잠수함세력은 한국에 비해 딸리는 것은 분명하나, 특수전용 소형잠수함과 소형 침투 잠수정등은 설계기술과 건조능력에서 한국을 앞지르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과거 돌고래급 잠수함인 특수전용 잠수함을 운용한 바 있으나, 성..
2022. 12. 19.
한국군이 운용중인 헬기현황 2009
우리군에서 운용중인 헬기는,,, 1. UH-1 65~78년 직구매 145대로,,, UH-1H는 XXX대 도입되어 128대 보유 중이고 약 XX대 정도가 운용중이며, UH-1N은 공군에서 X대 도입되어 5대 운용 중이나 곧 5대 모두 임무 해제 될 예정이다. 2. 500MD 디펜더 76~88년 기술도입 257대(육군) 500MD 기본형: 207대 도입해 현재 147대가 있고 운용전력은 약 110여대 정도이며, TOW형: 50대 도입되어 45대가 존재하고 약 30여대가 작전中인 상태이다. 3. AH-1 코브라 77~91년 직구매 73대(육군) AH-1F/S형이 70대, AH-1J형(시코브라)이 3대를 운용하고 있다. 4. CH-47D 치누크 88~98년 직구매 30대(1대 손실) 육군 23대 , 공군 HH-..
2022.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