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406

2008년도 한국군 전력증강 예산 현황 구 분 ’07예산 ’08예산(안) 증 감 점유율 점유율 % 계 6조6,807 100.0 7조7,844 100.0 1조1,037 16.5 감 시·정 찰 1,740 2.6 2,936 3.8 1,196 68.8 지휘통제·통신 3,220 4.8 4,488 5.8 1,268 39.4 기 동 전 력 5,438 8.1 6,446 8.3 1,008 18.5 함 정 1조1,132 16.7 1조1,858 15.2 726 6.5 항 공 기 1조7,072 25.6 1조5,398 19.8 △1,674 △9.8 화 력·탄 약 7,510 11.2 8,423 10.8 913 12.2 신특수·유도무기 6,626 9.9 1조1,917 15.3 5,291 79.9 국방연구개발 1조2,584 18.8 1조4,823 19.0 2,239 17.. 2022. 12. 19.
2008년도 한국군 신규 전력증강 예산 현황 구 분사 업 명총사업비'08예산안비 고감시정찰(4)HUAV1,87059∙고고도 영상정보 수집군단UAV 창정비 요소개발6110∙창정비 요소 개발탐색구조헬기 탑재장비 보강1588∙자체 보호용 전자전장비 부착기상레이더10414∙군 비행장 노후장비 교체지휘통제(2)기상위성수신체계135∙기상위성수신체계 노후교체33/34방공통제전대6611∙방공통제 중간제대 창설기동전력(4)차기보병전투장갑차(IFV)18,873300∙탑승전투가 가능한 장갑차K-1전차장 열상조준경1,39734∙야간 전투수행능력 향상지상작전사령부 창설94016∙1·3군사령부를 지작사로 통합전구작전 지휘시설1,42921∙전작권 전환에 따른지휘시설 신축함정(2)차기상륙함(LST-Ⅱ)8,71530∙상륙작전능력 향상차기수상함구조함(ATS-Ⅱ)4,66918∙해난.. 2022. 12. 19.
KDX-3 6척, LPX 2척을 건조 한국군이 오는 2020년까지 전략 기동함대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기동함대는 7000t급(級) 이지스함 6척과 5000t급 한국형구축함(KDX-Ⅱ) 12척, 경항공모함(輕航空母艦)과 유사한 대형상륙함(LPX) 2척 등으로 구성된다고 한다. 특히 이지스함은 총합 6척을 보유할 예정이라고하는데, 방공능력이 탁월한 이지스함 6척을 보유하게 될 경우, 이지스함 능력만 놓고 볼 때에는 미국, 일본에 이은 3위권의 이지스함 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기동함대를 건설 하게 되는 데 기동함대는 기존의 이지스함 과 5000톤급의 한국형 구축함 KD-2의 건설계획에 두배에 달하는 숫자로 구성된다고 한다. 한국해군은 특히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인 대형상륙함(LPX)을 원래 예정됐던 2018년에서 20.. 2022. 12. 19.
한국해군, 5성분전단[53상륙전대] 5성분전단은 작전사령부 예하의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는 부대이다. 5전단은 예하에 많은 4개의 전대를 보유하는데, 이들 전대는 각각의 고유임무를 부여받고 그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는 이 5전단이 기동함대로 개편된다는 소문이 있는데, 기동함대에는 기뢰,상륙,구조전대는 없는 것이 관례이니, 기뢰,상륙,구조전대는 작전사령부의 직속 예하부대로 남을 듯 싶다. 대잠,기뢰전력이 방어적인 성격이 짙은 전대라고 한다면, 적국에 상륙하여 돌격하는 부대는 공격적인 성향이 짙은 부대일 것이다. 53상륙전대가 바로 그 성격의 부대이다. 53상륙전대는 운봉급 상륙함 2척이 퇴역함으로서, 전차상륙함LST 4척을 운용하는 부대이다. 운봉급 상륙함은 지난 2006년 12월28일부로 마지막까지 잔존해 있던.. 2022. 12. 19.
한국 육군의 군사력 2009 대한민국 육군 육군은 3개 야전군 11개군단(수방사포함) 46개 사단 19개 여단과 특수전 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교육사령부, 군수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를 예하로 두고 있으며 전차 2300여대, 장갑차 2600여대, 헬기 600여대, 야포 3000여문, 유도무기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육군의 세부 군사력 총 병 력 현역 병 560,000명(특수부대 3만명 포함), 예비군 병력 304만명 전차 : M-47계열 101대 + M-48계열 994대 + K1(K1A1포함) 1173대 + T-80U 35대= 2303대 M-47 전차 460대 도입 - 2005년 101대만 남고 나머진 퇴역 M-48A2C 전차 200대 도입 - 2005년 130대만 남고 나머진 퇴역 M-48A3K(90mm 개량) 전차 .. 2022. 12. 19.
육군의 사단급 부대 보안상 단대호를 생략하며 예속 연대 단대호도 생략합니다. 또한 47개 사단을 모두 다룰수는 없고 한국전쟁에 맹활약한 사단과 주요 전략예비사단만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전진부대입니다. 그 유명한 백선엽장군이 지휘한부대로서 예속부대로는 ㄱ 연대, ㄴ 연대, ㄷ 연대가 있습니다. 이외에 포병연대가 있습니다. 전차대대, 토우중대, 수색대대, 화학대대 등의 직할 부대가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전투는 낙동강 전선을 방어할 당시 유명한 다부동전투를 성공적으로 치루게 됩니다. 또한 현재 이견이 있긴하지만 평양 최초 입성부대이기도 합니다. 현재는 K군단 예속 전투보병사단으로서 그 임무를 다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노도부대입니다. G군단의 전략예비사단으로서 중요한 임무를 띠고 있습니다. 한국전쟁당시 전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 2022. 12. 19.
북한 특수부대 현황 (2009) ★ 창설배경 : 1950년 6.25 전쟁시 북한군이 물밀 듯이 계속 남하하다가 문경고개에서 진격에 어려움에 처하자 김일성이 "경보병 연대가 단 3개만 있어도 적을 부산까지 내 쫓을 수 있었을 것이다" 라고 하면서 무척 아쉬워 말을 하였다. 본래 진격전은 적진을 폭격기에 의한 공중공격후 기계화부대에 의한 전면공격과 공수부대에 의한 후방교란의 3요소가 일체되어야 하지만 과거 한국 전쟁과 같이 정규전만으로는 남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6.25 전쟁시 깨닫고 한국의 지형적인 조건등에 착안하여 정규전과 비정규전의 배합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고 특수부대를 창설하게 된다. 1959년 11월 舊,소련과 중공의 공수부대를 모방하여 제3군단(평안남도 관할) 예속으로 공수훈련 중대를 창설하였다. ★ 특수부대의 변화. *1.. 2022. 12. 19.
대양해군의 비밀병기-잠수함대건설과 항공전력확충 ▶ 제2부 잠수함대 건설과 항공 세력의 확충 수중 세력에 이어 살펴볼 것이 잠수함을 중심으로 한 수중 세력이다. 20세기 후반 들어, 잠수함만큼 각광 받은 전력도 없을 것이다. 함재기를 주축으로 한 항공 세력도 물론 대단한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항공 세력은 미국을 비롯한 몇몇 초강대국의 전유물이다. 그러나 잠수함은 중규모 강국은 물론이고 중진국에도 보급됨으로써, 옹골찬 해군 건설을 원하는 여러 나라를 만족시키고 있다. 잠수함이 각광받은 가장 큰 이유는 여간해서는 탐지되지 않는 은밀성 때문이다. 현대 과학은 600㎞ 떨어진 곳에 있는 비둘기를 탐지해 내는 레이더까지 개발해 냈다. 그러나 물 속은 매우 특수한 공간이어서 불과 수㎞ 떨어진 곳에 있는 1만t급 잠수함을 탐지하는 장비조차 개발하지 못하.. 2022. 12. 19.
대양해군의비밀병기-이지스구축함과 기동함대 한국 해군은 일본 해상자위대에 비해 구축함 수 3 대 38, 해상 초계기 수 8 대 100, 잠수함 수 9 대 17로 현저히 뒤지고 있다. 전투지수 비교에서 일본 해자대의 23%에 불과한 것이 한국 해군의 현황이다. 이러한 전력으로는 해양주권을 수호할 수 없다. 그래서 시급한 것이, 세종대왕급 항공모함과 충무공급 이지스함, 문무대왕급 대형 구축함을 주축으로 한 기동함대 창설과 3000t급 중잠수함, 1800t급의 KSS-Ⅱ 잠수함, 1200t급의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구성된 잠수함대의 건설이다. ▶ 제1부 이지스 구축함과 기동함대 건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제독으로 꼽히는 조선의 이순신과 영국의 넬슨은 일본과 프랑스 함대를 맞아 완승을 눈앞에 둔 결전에서 최후를 맞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순신과 넬슨 시대의.. 2022. 12. 19.
한국군 무기 가격 (2009) KD-Ⅰ경구축함 : 2,250억원 KDX-Ⅱ 구축함 : 3,900억원 KDX-Ⅲ 방공구축함 : 9,800억원 ( 일본 1,497억¥ : 해상자위대 2002년도 업무계획안 ) KD-Ⅰ용 가변심도소나(VDS) : 130억원 Mk-41 VLS 4기(32 cel) : 1,176억원 (9,800만$ : 2001.6.17 디펜스 뉴스) ※ Aegis system : 3,700억원 (2002년 5월 입찰가 - 약 9억5,000만$/ 3척분 ; 요격용미사일 개발비용 포함) ※ APAR system : 3,350억원 (2002년 5월 입찰가 - 약 6억8,000만??/ 3척분 ; 요격용미사일 개발비 불포함) 209급 잠수함 (1, 2, 3번함) : 1,547억원 209급 잠수함 (4, 5, 6번함) : 1,143억원 2.. 2022. 12. 19.
북한군 지상군, 해군, 미사일 분포도 (2009) 북한군 지상군,해군,미사일 분포도 북한은 휴전선 부근 최전방 부근에 1제대 기계화 전연군단인 4, 2, 5, 1 4개의 기계화군단을 배치 해 두고 있다. 특히 1제대 전선을 뒷 받침하는 전력인 2제대 전력을 1제대 바로 뒤에 포진시켜 1제대 공격의 연속성을 더해주고 있다. 2제대는 1제대가 기계화군단인 것에 비하여 1제대를 지원하는 목적이 강하므로 포병전력과 기갑전력이 주류를 이룬다. 물론 기계화전력도 존재한다. 3제대는 아주 독특한 성격의 제대이다. 1,2제대의 공격이 수월하게 전개 된다고 판단이 설 경우에는 공격적인 제파전력이 되지만, 1,2,제대의 공격이 수월치 않고, 한국군-미국군의 반격이 만만치 않다고 느껴질때에는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전력이 된다. 쉽게 말하면, 상황 상황에 따라 3제대 임무의 .. 2022. 12. 19.
한국의 방위산업체들 현황 (2009) [ 방위산업체 상위 5개사 ]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 http://www.koreaaero.com/) 1999년 10월 대우중공업·삼성항공산업· 현대우주항공 등 3사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항공기체계 종합업체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사업을 이끄는 방산업계 선두주자다. 2000년 4월 국산 전투기 KF-16 최종호기 납품을 시작으로 KT-1 기본훈련기 출하 및 지상 훈련장비 CPT 1호기 납품, 경정찰헬리콥터 BO-105(KLH) 최종호기 납품, 보잉 747 주날개 골격 500호기 및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시제 1호기 출하 등의 실적을 올렸다. 특히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 KT-1 기본훈련기의 양산체제 구축에 들어가 국산 항공기의 해외 수출시대를 열었다... 2022. 12. 19.
부대명칭 부대명칭에 대해... 부대에는 보통 세 가지 이름이 있다. 고유명칭과 통상명칭, 그리고 애칭이다. 고유명칭(Long Name)은 일반 명령혹은 부대편제표에 따라 명명된 원래의 부대 명칭을 말한다. ‘1사단’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고유 명칭이다. 군사 보안상 부대성격·편성·부대규모· 작전 ·장비등을 비닉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대명은 통상명칭(Common Name)이라고 부른다. 3275부대 등이 좋은예다. 애칭은 부대의 역사와 상징물을 감안해 부여된 이름이다. 여기에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사자·호랑이·용·독수리 등 동물이다. 특히 호랑이와 독수리는 육군 각 사단과 예하 부대에서는 상징명칭으로 쓰지않는 부대가 없을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용은 육군 2군단과 25사단·32사단·62사단 등 사단급 이상부.. 2022. 12. 19.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2009)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일본 해상자위대는 일본 열도 주변의 전역을 기동적으로 방위하는 4개 호위대군과 일본 열도 주변을 5 해역으로 나누어 연안 경비를 수해하는 7개 지방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호위대군은 이른바 88함대로 불리는 것으로 헬기 탑재 구축함(DDH) 1척, 미사일 구축함(DDG) 2척, 범용 구축함(DD) 5척 등 8척의 함정과 8대의 헬기를 기본으로 한다. 지방대는 호위대군에서 물려받은 구축함과 보유중인 호위함, 미사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담당구역의 연안 경비나 자위함대의 후방지원을 담당한다. 그외의 잠수함대, 소해대, 상륙함대 등은 이를 지원하게 된다. 그러나 2004년 12월 발표된 신방위계획대강에 의해 일본 해상자위대의 구조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로인해 기존의 4개 호위.. 2022. 12. 19.
도섭과 도하의 차이점 1. 도하 : 말 그대로 강을 건너는 걸 말하는 건데 여기서 강이란 수심이 깊어서(보통 2m이상) 전차나 장갑차가 자체의 방수능력과 수심을 극복할 수 없을때 공병이 설치한 부교나 단정, 문교 등을 이용하여 강을 극복하는걸 말합니다. - 부교 : 가장 흔히 알고있는 도하장비로 세트화된 다리상판을 소형 선박이 견인하여 강을 가로질러서 만든 임시 교량을 말하며 만약 바다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강이라면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도하시간이 결정되기도 합니다. 가장 신속하면서 많은 병력과 장비가 이동할 수 있지만 적의 폭격이나 공습에 취약하다는 큰 단점이 있어서 도하를 실시하게 되면 보통 연막으로 적의 시야를 가리고 방해전파를 발사하여 적에게 도하 기도를 들키지 않아야만 성공적인 도하작전이 가능합니다. - 단정 : 도.. 2022.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