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논문 자료406 미 육군의 21세기를 위한 준비 -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군사준비태세는 국가이익으로부터 발기되며 그리고 안보전략은 그러한 이익들을 지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진다. 현행 미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은 미국의 역사를 통하여 불변의 진리로 남아있는 확실한 목표에 의하여 정립되어진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 미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 ○ 가치관과 헌법의 바탕 하에서 온전한 영토보존과 주권 그리고 정치적 자유를 유지 ○ 국가와 국민의 복지와 번영을 증진 미 육군은 이러한 국가안보전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미래지향적인 군사준비태세를 구축하고 있다. Force 21과 육군 현대화계획은 정보세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발전시키고 있는 미 육군사업의 핵심분야이다. 가. 내일의 지정학적 환경 최근의 군사준비태세의 연구와 현재의 인구통계.. 2022. 12. 18. 유일 초강대국 군대, 미군으로부터 배우는 교훈 미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이며 미군이 세계의 경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국민들은 없을 정도로 거의 진리에 가까운 말이 되었다. 한때 미국의 통상압력이 거셀 때 한·미 양국간에 잠시 통상 마찰이 있었지만 한국 국민들에게 있어서 미국의 이미지는 단순한 우방 차원을 넘어서서 경제, 문화, 군사, 정치, 학문 등 모든 면에서 유토피아에 가까우며 필자들이 새삼스럽게 언급하지 않아도 미군에 대해서는 다양한 매체들을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들은 자라면서 미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들을 흔히 들을 수 있었다. “미군은 전쟁할 때 직접 적과 치고 박고 싸우지 않고 우선 대포와 전폭기로 적을 무차별로 때린 후에 안전하게 보병들이 탱크를 앞세워 진격한다”, “미군들이 먹는 레이션은 오랜 기간이 지나도 절대.. 2022. 12. 18. 한국 해군의 21세기 전망과 대양해군 건설논의 머 리 말 한국 국민들도 이제 TV와 많은 종류의 시사잡지를 통해서 군사문제에 대한 지식이 매우 높아져 가고 있다. 심지어 어린 학생들까지 전문분야라고 할 수 있는 군사분야에 군인들 못지 않은 식견을 갖는 경우도 있다. 세계 도처에 분쟁이 생길 때 마다 자주 언론에 등장하는 미 해군의 항공모함과 핵 잠수함 등의 뉴스가 보편화되면서 국민들의 군에 대한 기대수준은 매우 선진화되어 있다. 그들은 지난 96년 강릉 공비사태와 최근 2건의 연이은 동해안 침투 사건에서 해상 침투를 발견조차 못한 해군의 작전에 매우 우려를 하고 있고, 동시에 현재 한국 해군의 매우 낙후된 면모를 대다수 느끼고 있다고 본다. 더욱이 최근에 뉴스에서 공개된 선령이 50년 지난 2차대전때 사용된 구축함의 노후화를 보면서 한국 해군의 발전.. 2022. 12. 18. 특수전의 이해 아래 자료는 미통합특수전 사령부에 발간한 특수전의 기본적 이해부분을 이정현님이 번역한 글입니다.(2002년) 미해병대 관련하여 당시에는 미해병대 자체 특수전 사령부가 없던 시절이고 현재는 미해병대는 자체 특수전 사령부를 창설하였습니다. 미해병대가 자체 특수전 사령부를 창설한 이유는 특수전의 교육과 미해병대가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고 있는 전쟁이외 군사활동(군사작전)과 연관이 있습니다. 전쟁이외 군사활동은 최근 포괄적 안보 개념이 대두되면서 발전되고 있는 군사력 활용방법으로 특수전 전술을 비전시 활용하게 됩니다. 전쟁이외 군사활동은 새롭게 정립되고 발전하고 있는 군사력 활용방안으로 한국 해병대도 자체 교범을 제정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쟁이외 군사활동과 관련하여 특수전의 기본적 이해를 위해 게시합니다.. 2022. 12. 18. 별들의 세계 별이 되면 뭐가 달라지나? 『원스타 다는 게 大將 진급보다 더 흥분』 올해 76명이 '별 맛' 지난 10월17일 정부는 육군 군단장(중장) 3명, 사단장(소장) 10명 등 육·해·공군 준장~중장급 장성 105명에 대한 진급 및 보직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에서 김광현(金光鉉·육사32기) 국방부 공보기획과장 등 육군 48명, 함원용(咸元龍·해사31기) 국방부 의전실장 등 해군 15명, 황원동(黃源東·공사24기) 합참 공중작전과장 등 공군 13명 등 총 76명의 육해공군 및 해병대 대령이 준장 진급 예정자로 결정됐다. 이날 오후, 국방부 공보기획과에서는 김광현 대령의 장군 진급 결정과 함께 공보기획과 장교들의 환호성 소리, 장군 진급 축하를 알리는 전화벨 소리로 사무실이 떠나가는 듯했다. 한 장교는 .. 2022. 12. 18.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日本 海上 自衛隊 일본은 섬나라다. 바로 그 점이 해상자위대를 이해하는 중심포인트다. 일본을 공격하려는 적국은 반드시 바다를 통해야 한다. 그러니 당연히 일본으로서는 바다를 책임지는 해자대를 중시할 수밖에 없다. 육상자위대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전력을 보유하는데 반해, 해자대가 세계 3위로까지 평가받는 강력한 전력을 확보한 것도 결국 일본이 섬나라이기 때문이다. 해자대는 호위함대·잠수함대·항공집단·소해대군으로 편성된 자위함대 1개와 지방대 5개로 구성돼 있다. 잠수함대·항공집단·소해대군 등은 우리 해군의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에 해당하며 호위함대는 원양 작전을 담당하는 일종의 기동함대다. 지방대는 지역별 연근해 방어 책임을 맡은 부대로 우리 해군의 함대에 해당한다. 우리 해군은 장기적으로 연근해를 담당하는 .. 2022. 12. 18. 북한군 제3제대 북한의 제3제대는 전략예비군단이라고도 불리는 부대이다. 제3제대는 제1제대, 제2제대처럼 공세적 일변도의 군단이 아닌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성과여부에 따라 제3제대의 임무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제1제대, 제2제대가 공세적 임무가 비교적 활발히 전개 된다고 판단이 설 경우에는 제1제대, 제2제대를 뒤에서 지원사격하고 후방지원을 하는등의 공세적임무가 주를 이루겠지만 만일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이 원할치 못하다고 판단이 설 경우 방어위주의 수세적인 위주로 군단을 재정비한다는 것이다. 즉, 제1제대, 제2제대의 공격성과여부에 따라 제3제대의 임무와 역할이 변경된다는 것이다. 제3제대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축을 425기계화보병군단과 108기계화보병군단이다. 제3제대 4.. 2022. 12. 17. 미국의 ICBM 배치현황 미국의 ICBM 배치현황 년 도 Atlas D Atlas E Atlas F Titan Ⅰ Titan Ⅱ MM Ⅰ MM Ⅱ MM Ⅲ MX 합 계 1959 6 6 1960 12 12 1961 30 27 57 1962 30 27 72 54 20 203 1963 30 27 72 54 54 360 597 1964 0 27 72 54 54 700 907 1965 0 0 0 54 800 854 1966 54 800 150 1,004 1967 54 800 200 1,054 1968 54 800 200 1,054 1969 54 500 500 1,054 1970 54 400 500 100 1,054 1971 54 300 500 200 1,054 1972 54 200 500 300 1,054 1973 54 100 500 4.. 2022. 12. 17. 손자병법;제7편 군쟁[03]- 지형을 파악하라 지형을 파악하라 - 손자병법;제7편 군쟁[03]- 그러므로 제후의 책모를 모르는 자는 미리 외교교섭을 맺지 못하고, 산림의 험준함과 습지대의 지형을 알지 못하는 자는 군대를 행군시키지 못하고, 지형을 잘 아는 토착의 안내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자는 지리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 孫子兵法;第七篇 軍爭[03]- 故不知諸侯之謀者, 不能豫交, 不知山林, 險阻, 沮澤之形者, 不能行軍. 不用鄕導者, 不能得地利. 2022. 12. 17. 해군 군수사령부 1946년 2월 27일해방병단 조함창(정비창) 창설1951년 8월 28일해군 교육도서관(인쇄창) 창설1953년 11월 9일통제부 보급창(제1보급창) 창설1956년 3월 12일통제부 병기탄약창 창설1974년 7월 1일통제부 군수지원단 창설1986년 2월 1일군수사령부 창설 1. 원(백색) 정직, 청렴 생산적인 군수관리와 창의적인 업무추진 2. 상단부 함정을 떠받드는 형태로 필승해군의 초석이 되자는 뜻 3. 도토리, 잎, 꿀 전군 군수지원업무 상징(사령부) 4. 앵커 해군의 상징 5. 미사일 필승해군 상 6. 펜 인쇄(군수회보, 정수표작성)를 상징(인쇄창) 7. 치차 질서, 단결, 근면 각종 기계 및 완전무결한 정비지원 부대단결을 통한 작전부대 군수업무지원 8. 꿀 및 거북선 등무늬 유사시를 대비한 비축물자.. 2022. 12. 17. 軍, 北 ICBM 어떻게 추적하나 (2009) 세종대왕함.대공레이더.아리랑위성 동원 미국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추적, 요격하는 대비태세에 돌입함에 따라 우리 군의 대응 방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은 1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THAAD(고고도방어체계) 미사일을 하와이로 재배치할 것을 지시했다”며 “SBX(해상배치 X밴드 레이더)도 하와이 인근에 배치됐다”고 밝혔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하와이 쪽으로 날아올 것에 대비해 이를 요격하는 미사일체계와 탐지, 추적 레이더시스템을 하와이에 배치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미사일방어(MD)체제는 상승단계-중간단계-종말단계로 구분된 다층방어망으로 구성된다. 적 기지에서 발사된 탄도탄이 30~40km 상승단계에서는 항공기에 탑재된 레이저(ABL)로 요격하.. 2022. 12. 17.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2022. 12. 16. 손자병법;제7편 군쟁[02]- 경쟁적인 진군은 위험하다 경쟁적인 진군은 위험하다 - 손자병법;제7편 군쟁[02]- 고로 군대가 유리한 자리를 경쟁하는 것은 이익이 될 수도 있고 위해가 될 수도 있다. 모든 군대를 통제하여 유리한 곳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것은 오히려 늦어질 수 있다. 개별 지휘관에게 위임하여 경쟁시키면 치중의 부대는 버려져 군수물자에 손실이 갈 수 있다. 조급한 군대가 경장을 하고 급하게 이동하고, 밤낮으로 배 이상으로 행군하여 백 리를 가서 선제의 이익을 쟁취하려고 하면, 3군의 장군이 포로로 잡히게 된다. 강한 병사는 먼저 가지만 피로한 병사는 뒤쳐진다. 이러한 운용법은 군사의 10분의 1도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것이다. 50리 거리를 경쟁하여 이동하여 선제의 이익을 쟁취하려고 하면 상장군이 넘어지고 군대는 반 정도로 감소될 것이다... 2022. 12. 16. 러시아 해병대 2022. 12. 16. 중국 해병대 2022. 12. 1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