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논문 자료406

6.25당시와 현재 남북 군사력 비교 (1950 vs 2008) 2022. 12. 22.
항공모함도 보유하고 있는 이탈리아해군의 위용 2009 과거 Regia Marina로 불리다가 1946년 이탈리아공화국으로 재결정되면서 Marina Militare (이탈리아해군)라고 합니다. 반도국가인 이탈리아는 해군력 증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소형이긴 하지만 항공모함 2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각종 최신 프리깃함을 증강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해군의 헬기상륙함과 항공모함등 다양한 함정들이 위용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운용중인 함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항공모함 Giuseppe Garibaldi (551) Cavour (550) 2. 구축함 Orizzonte급 방공함 Andrea Doria (D 553) Caio Duilio (D 554) Durand de la Penne급 구축함 Luigi Durand de la Penne (D 560) (form.. 2022. 12. 22.
‘을지프리덤 가디언’… 한미 ‘을지포커스’ 이름 변경 (2009) 연합전시증원 연습 → '키 리졸브(KR)', 을지-포커스렌즈 연습 →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가 매년 실시해 온 연합연습의 명칭을 바꾸어 내년부터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을 계기로 연합방위 체제에서 공동방위 체제로 바뀌는 만큼 기존 연합훈련의 기본 모델에 수정이 불가피해 진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한미는 연합전시증원(RSOI)연습을 '키 리졸브'(Key Resolve : 약칭 KR)로, 을지-포커스렌즈(UFL) 연습은 '을지-프리덤가디언(Ulchi-Freedom Guardian, UFG)으로 각각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RSOI 연습은 1994년부터, UFL 연습은 1994년부터 포커스렌즈(군사훈련)와 정부주관의 을지연습을 통합해 각각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훈.. 2022. 12. 22.
한국군 현황 - 공군(영문) 2009 Air Force During peacetime, the Hankook Kong Go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or RoKAF) constantly keeps an eye on the enemy and maintains a high level of combat readiness at all times, which allows it to immediately retaliate against the enemy should it launch provocations. During war, the tasks of the air force are: to acquire air superiority and thus prevent the enemy from flying to neutrali.. 2022. 12. 22.
한국군 현황 - 해군(영문) 2009 Navy The mission of the navy during peacetime is not only to deter war, but also to protect national and maritime sovereignty, and perform activities that support national foreign policies and enhance national prestige. Its mission during war is to guarantee the safety of activities at sea by protecting the sea lines of communications (SLOCs), the life line of the country, and exercising control.. 2022. 12. 22.
한국군 현황 - 육군 (영문) 2009 Republic of Korea Army The army consists of the Army Headquarters, the three army commands, the Aviation Command, and the Special Warfare Command. The army possesses component units including 11 corps, 49 divisions, and 19 brigades, some 560,000 troops, some 2,360 tanks, 5,180 pieces of field artillery, and 2,400 armored vehicles. The ground forces are organized into three armies and several ind.. 2022. 12. 22.
이스라엘 VS 대한민국 국방력(무기 부분 비교) 2009 1. 육군비교 육군은 이스라엘 MBT중 신형인 MK계열이 1800대, 한국군 K계열 전차가 1000여대, 장갑차는 이스라엘 약 12700대, 한국육군 2400여대, 견인포는 이스라엘 370문, 한국육군은 약 3000문, 자주포는 이스라엘 950문, 한국 약 1500문으로 전차/장갑차는 이스라엘이 다소 낫고 화력은 한국군이 좀 낫습니다.(부대규모를 생각한다면 한국육군이 화력이 더 강하다고 볼수도 없죠) 이스라엘 육군은 전통적으로 기계화되고 자주포병화되면서 정보전력이 뛰어납니다.미국의 지원도 있지만 모사드의 정보지원은 정확성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하죠. 게다가 오랜 아랍세력과의 긴장관계로 인해 전차전술 운영능력이 뛰어납니다. 우리 육군은 육군항공에서 다수의 헬기전력을 갖고있죠. 특히 대전차공격전술은 .. 2022. 12. 22.
북한, 세계최고의 방공 조밀도 (2009) 평양의 대공(對空)화력 밀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중국 공산주의청년단 기관지 청년참고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의 대공 주력은 SA-2와 SA-3 미사일이며, 발사대가 약 500개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SA-2 미사일은 중.고공, 중.근거리 대공미사일로 사거리가 13∼29㎞이고 3∼22㎞ 높이까지 날아오른다. 그러나 기동성이 떨어지고 명중률이 낮은 데다 전파교란을 당하기 쉽다. 북한이 지난 주 시험발사한 바 있는 SA-3는 중.저공 및 초저공으로 침투하는 비행기를 주타격목표로 한다. 사정 200㎞의 SA-5 장거리 미사일도 일부 보유하고 있으나 둔중에 폭력기 공격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북한 인민군은 이와 함께 1980년대부터 국내 생산하고 있는 소련제 SA-7 휴대용 대공미사일로 무장하고.. 2022. 12. 22.
[weekly chosun]“북한 비상사태에 대비하라” 미·중·러·일 작전 개시 (2009) 미국이 새해부터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Raptor) 12대씩을 본토로부터 일본 남부 오키나와(沖繩) 가데나 공군기지와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 각각 전진 배치할 예정이다. F-22 는 자타공인 세계 최강의 전투기이다. 미 공군이 2006년 주력 전투기인 F-15, F-16, F-18 150대와 F-22 10대를 동원해 모의 공중전을 벌인 결과, F-22가 140 대 0으로 승리한 바 있다. F-22는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고 있고 최대속도가 마하 2.5이며 재급유 없이 반경 1200㎞ 이내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미국은 오는 2012년까지 F-117 스텔스 전폭기를 점진적으로 퇴역시키고 대신 제5세대 전투기인 F-22 188대를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 ▲ 중국의 소브레메.. 2022. 12. 22.
2009년도 국방예산(경상운영비) - 3 4. 국고채무부담행위 조달및보급지원기간을 고려, 연도 개시전 계약을 위한 소요 (억원)전쟁기념사업회 운영 예산구 분기 준(개월)`08 예산`09 예산증 감% 계 1조 8,197 1조 7,847 △350 △1.9 급식 및 피복 3~6 3,251 3,424 173 5.3 국방정보화* 58 - △58 △100.0 장병보건 및 복지향상 113 50 △63 △55.8 군수지원 2~9 1조 2,608 1조 4,373 1,765 14.0 군인사 및 교육훈련* 116 - △116 △100.0 군사시설건설* 2,051 - △2,051 △100.0 * 군사시설, 교육시설, 통신시설 국고채무부담행위를 장기계속계약으로 전환 5. 명시이월비 해외여건 변동으로 인한 외자장비 및 수리부속 도입계약 지연에 대비하고, 기타 불리한 도.. 2022. 12. 22.
2009년도 국방예산(경상운영비) - 2 3. 프로그램별 주요사업 반영내역 가. 인 건 비 나. 급식 및 피복비 다. 국 방 정 보 화 라. 장병보건 및 복지향상 마. 군 수 지 원 바.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사. 군사시설 건설 및 운영 아. 예비전력관리 자.국방홍보원 운영 차. 정책기획 및 국제협력 카. 국방행정지원 타. 주한미군기지이전특별회계 전출금 가. 인 건 비 (억원)인 건 비구 분`08 예산`09 예산증 감% 계 10조 2,146 10조 4,160 2,014 2 급여/수당 8조 2,937 8조 4,413 1,476 1.8 법정부담금* 1조 9,209 1조 9,747 538 2.8 * 건강보험부담금,군인연금기금전출금,공무원연금부담금,공무원퇴직수당부담금 등 부사관 증원(124→ 281억) 157억 병 복무기간 단축에 따른 전투력 저하 방.. 2022. 12. 22.
2009년도 국방예산(경상운영비) - 1 1. 예산편성 중점 새정부 국정과제 및 국방개혁의 충실한 추진여건 확보병영생활관, 군 관사 및 독신숙소 현대화를 앞당겨 추진장병들에 대한 의료지원 능력향상을 위한 의무발전 소요 반영6.25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의 활성화병력감축 및 복무기간 단축대비, 유급지원병 및 부사관증원 소요 반영현존전력의 최적수준 발휘를 위한 필수소요 중점 반영장비유지비 현실화로 육군 K계열, 공군 KF-16 등 주요전력의 장비가동률 향상전투준비태세 유지를 위해 편제장비 부족 및 노후화 개선선진 정예강병 육성을 위한 교육훈련 소요 반영군 우수인력/전문요원 확보 및 양성을 위한 교육소요 반영실전적 훈련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훈련장 및 유류 확보각급부대의 운영·유지 애로사항을 해소금년에 부대운영비를 현실화한데 이어 중령직책별특정업무비 신설.. 2022. 12. 22.
한미연합훈련 1. 한미연합훈련의 시작 FOCUS RETINA 한미연합훈련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것이 팀 스피리트훈련이고 그 다음이 작년까지 한 RSOI 독수리 훈련이다. 그 훈련이 올해부터는 KEY RESOLVE 훈련이라고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최초 대규모의 한미연합 기동훈련인 FOCUS RETINA훈련에 대해선 군사메니아들조차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2008SUS KEY RESOLVE 훈련이 진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미연합훈련의 역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2. FOCUS RETINA 훈련 실시 배경 1.1969년 3월 17일 여주인근에서 최초의 한미연합 훈련인 FOCUS RETINA훈련이 개시되었다 1969년의 3월은 한반도에선 한국전쟁 다음으로 가장 긴장된 시기가 계속되고 있었다. .. 2022. 12. 22.
[유용원의 군사 포커스] 국산 경공격기 KA-1 훈련 동승기 "속초 북쪽 15㎞ 해안도로에 적 차량 출현." "공격하라!" 지난달 19일 오전 10시40분쯤 강원도 고성군 해안 900m 상공. 공군 제15혼성비행단 237전술통제비행대대 소속 국산 경(輕)공격기 KA-1을 조종하던 편대장 김운복(31·공사48기) 대위는 지상 유도요원의 공격 지시에 따라 급상승하며 고도를 1500m까지 높였다. 이내 기수를 왼쪽으로 꺾은 뒤 도로 위의 가상 적군 차량 등 표적을 향해 똑바로 기체를 내리꽂았다. KA-1은 시속 500㎞ 이상의 고속으로 600m 가량을 급강하하며 목표물에서 3.6㎞ 떨어진 곳에서 가상으로 구경 70㎜ 로켓들을 발사했다. 첫 국산 기본 훈련기 KT-1을 개조한 KA-1은 로켓탄, 고폭탄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로켓탄은 양쪽 날개에 최대 14발까지 달 수 .. 2022. 12. 22.
일본과 독도인근에서 충돌할 경우 2005년 가상 시나리오 출처 디펜스 타임즈 2005년 11월호에서 한일간의 무력충돌이 오늘 밤에 일어난다면. 인터넷 싸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한국과 일본, 혹은 한국과 중국간의 무력충돌이 벌어지면 어떻게 될지를 논하는 담론들을 종종 접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새로운 장비의 도입이 핫이슈가 되어서인지 그런 담론에서 논하는 한국군이 적어도 2010 년 이후의 한국군의 모습일 때가 많으며 그런 담론에서는 현재 한국군의 주머니 안에 있는 무기들이 경시되는 모습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는 전력증강의 결과를 대입하는 것보다 현재 우리 전력이 예상 가능한 위협에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물론 이 글을 작성하는 필자역시 일개 매니아에 불과하며 접할 수 있는 정보에 한계.. 2022. 12. 22.